DOI QR코드

DOI QR Code

Symptoms of the subject in a movie based on Lacan's work on psychosis - Focusing On Lars von Trier's film

라캉의 정신병 연구에 근거한 영화 속 주체의 증상 - 라스 폰 트리에의 <살인마 잭의 집>을 중심으로

  • HAN JINGZHI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한경지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3.11.15
  • Accepted : 2024.02.16
  • Published : 2024.02.25

Abstract

The House that Jack Built (2018), a film about how the protagonist Jack is reborn as a "mad artist" with psychotic symptoms during a 12-year killing spree, provides an interesting opportunity to analyze the film in terms of psychoanalysis and religion. Jack, an engineer who suffers from OCD, finds pleasure in the accidental murder of a character and considers killing people as an art form, overcoming his OCD in the process. The question we are interested in is whether the symptoms of OCD are truly overcome by the act of repeated killing. The idea is that Jack's OCD is not overcome by killing, but rather that the symptoms disappear as he moves from neurosis to a stabilized psychotic state. According to the theory of the famous French psychoanalyst Lacan, the hallucinations or delusions that human subjects experience when they lose their realistic stability are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hey are confronted with The Real,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cracks of the symbolic system. Phenomena such as Jack's illusory reality and delusions in the movie are pathological symptoms of the absence of a paternal figure in his life, causing the Name-of-the-Father to fail to take hold. This paper deciphers the psychotic structure of Jack, the protagonist of Lars von Trier's House of Jack, through Lacanian psychoanalysis.

영화 <살인마 잭의 집 The House that Jack Built>은 주인공 잭이 12년간의 연쇄살인과정에서 점차 정신병 증상을 지닌 '광기의 예술가'로 재탄생되는 모습을 다룬다. 강박증 증상을 지니고 있는 엔지니어 잭은 한차 레의 우연한 살인으로 향락을 느끼면서 사람을 죽이는 것을 하나의 예술 형태로 간주하고 이 과정에서 강박증을 극복하게 된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문제는 과연 반복 살인이라는 행위로 강박증 증상이 극복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이다. 따라서 본고는 잭의 강박증은 살인과정에서 극복 된 것이 아니라 신경증에서 안정화 된 정신병 상태로 이행하면서 그 증상이 사라졌다는 관점을 밝히는 것이다. 프랑스의 유명한 정신분석학자 라캉(Lacan)의 이론에 따르면 인간 주체가 현실적인 안정성을 잃을 때 경험하는 환각이나 망상은 상징계의 틈새로 비집고 들어오는 실재(The Real)와 직면할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영화 속 잭의 망상으로 구축된 가짜현실과 같은 현상은 잭에게 부성은유의 부재로 인해 '아버지의 이름'(The Name-of-the- Father)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한 원인으로 나타나는 병리적 증상이다. 따라서 본고는 라스 폰 트리에( Lars von Trier) 감독의 영화 <살인마 잭의 집>의 주인공 잭이 지닌 정신병 구조를 라캉의 정신분석을 통해 해독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자크 라캉, 「에크리」,홍준기 역, 새물결, 2019.
  2. 프로이트, 「억압에 관하여」,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윤희기 역, 열린 책들, 2004.
  3. 홍준기, 「라캉과 현대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9.
  4. 김석, 「에크리-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2007.
  5. 맹정현, 「리비돌로지-라캉 정신분석의 쟁점들」, 문학과 지성사, 2009.
  6. 강응섭, 「자크 라캉의 세미나 읽기」, 세창미디어,
  7. ⽶歇尔.福柯, 「疯癫与文明」, 刘北成, 杨远婴, 译, 北京: ⽣活.读书.新知三联店.2003.
  8. 但丁, 「神曲」, 朱维基, 译, 上海: 上海译文出版社, 2011.
  9. J. Lacan, 「Seminar. Book III: The Psychoses」,Jacques-Alain Miller. Trans, N. W.W.North & Company,1997.
  10. J. Lacan, 「Seminar. Book VII: The Ethics of Psychoanalysis」, Jacques-Alain Miller. Trans, N, W.W.North & Company,1997.
  11. P. Verhaeghe, 「Beyond Gender: From Subject to Drive」, New York: Other P, 2001.
  12. 안상혁, 「사도세자의 현존과 환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이준익 감독의 영화 <사도>를 중심으로」,「한국영상학회」, 14.6 (2016): 121-135.
  13. 진빛남, 변혁, 「영화 속 '과정 중의 주체'에 관한 연구 - 라스 폰 트리에의 <안티크라이스트> 중 여성 캐릭터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13.3 (2015): 117-130.
  14. 손현석, 「라스 폰 트리에 영화의 우울증과 소멸의식」, 「영상예술연구」 27(2015):89-118.
  15. 육현승, 「라스 폰 트리에의 영화<도그빌>에서의 잉여와 욕망의 문제」, 「한국브레히트학회」 44 (2021): 55-279.
  16. 전범수, 「영화 <파이트 클럽> 주인공의 정신질환과 극복과정」, 「지식과 교양」 11(2023): 197-215.
  17. 윤보협, 「증환의 캐릭터, 그 독자성의 발현과 서사 기능」, 「씨네포럼」 35 (2020):125-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