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Eco-Area Application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Complexes : Focusing on Eco-Area Ratio, Eco-Area Diversity, and Eco-Area Connectivity

공동주택단지 생태면적 적용 특성 분석 : 생태면적률, 생태면적 다양성, 생태면적 연계성을 중심으로

  • 안승빈 (가천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 김찬호 (중앙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이창수 (가천대학교 도시계획.조경학부)
  • Received : 2024.02.07
  • Accepted : 2024.03.20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inctions in evaluation index items between overseas and domestic ecological area-related systems, derive analytical indicators, and assess recently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overall ecological area ratios. The objective is to analyse variances in the application of ecological area characteristics, categorizing them into ecological area analysis indicators and presenting their implications. The spatial scope covers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in both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Thirty-six completed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basic ecological area data were compiled. Subsequently, the data was utilized to categorize three analysis indicators-ecological area ratio, ecological area diversity, an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by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s well as by type of apartment complex (sale housing versus rental housing) and size (large-scale, medium-scale, and small-scale). Results of the analysis indicate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and greater diversity in ecological area spatial types in metropolitan areas compared to non-metropolitan areas, and in pre-sale housing complexes compared to rental housing complexes. Mediumand large-scale apartment complexes exhibit higher ecological area ratios, with ecological area diversity being more pronounced. Ecological area connectivity reveals more numerous and varied connection points and types in metropolitan areas than in non-metropolitan areas.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arge-scale development should prioritize securing ecological area ratios and diversity in apartment complexes. Enhancing biodiversity necessitates establishing connections within and beyond the ecological area network of the complex.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linking the ecological area network within the complex.

본 연구의 목적은 국외와 국내 생태면적 관련 제도의 평가지표 항목 차이를 고찰하고 분석지표를 도출한 후 준공된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생태면적률이 전체 적용되기 전과 후, 최근 준공 공동주택단지의 생태면적 분석지표로 구분하여 생태면적 특성 적용 차이점을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준공이 완료된 수도권과 비수도권 공동주택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준공된 공동주택단지 36개소를 분석 대상지로 선정, 생태면적 기초자료를 구축 후 그 자료를 활용하여 생태면적률, 생태면적 다양성, 생태면적 연계성의 세가지 분석지표로 구분하여 수도권 지역, 비수도권 지역의 지역별, 분양주택단지・임대주택단지 등의 공동주택단지 유형별, 대규모・중규모・소규모의 단지 규모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면적률과 생태면적 공간유형 다양성은 비수도권 지역보다 수도권 지역이, 임대주택단지보다 분양주택단지가 더 높고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단지 규모가 소규모보다는 중규모, 대규모일 경우가 생태면적률이 더 높고 생태면적 다양성도 더 다양하게 반영되었다. 생태면적 연계성의 경우 수도권 지역이 비수도권 지역보다 생태면적 연계 개소와 연계 유형이 더 많고 다양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생태면적률과 생태면적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공동주택단지 개발시 중규모, 대규모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생물다양성 향상을 위해 공동주택단지 내부와 외부의 생태면적 네트워크 연계가 필요하다. 향후 단지내부의 생태면적 네트워크 연계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훈.이은석.이주림(2007), "공동주택 단지의 생태면적률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8(3): 131~142. https://doi.org/10.23129/SEOULS.8.3.200709.131
  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of Environment (2023.7.1),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Sejong. (in Korean)
  3. 남보라.윤재욱(2009), "한국의 생태면적률과 독일의 BFF 적용사례 비교", 「대한건축학회」, 5(2): 105~108.
  4. Seoul Metropolitan City (2023.10.30.), "Ecological Area Ratio Operation Manual", Seoul. (in Korean)
  5.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4), 「지구단위계획에서 환경성 제고를 위한 녹지평가지표 개발과 계획기법 연구"」, 서울.
  6. 송병화(2016), "생태면적률 산정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7. 송병화(2021), "생태면적률 적용사례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단지 외부환경 개선방안", 「조형디자인연구」, 24(2): 91~110.
  8. 오충현.김한수(2006), "우리나라 수도권 신도시 주거단지의 생태면적률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4(4): 105~115.
  9. 은찬희(2020), "공동주택단지 조경의 생태면적률 적용에 대한 설계자와 시공자의 중요도 차이분석",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0. 장대희.김현수.강병근(2010), "공동주택 외부공간 시공 후 평가를 통한 생태면적률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6): 91~96.
  11. 최재혁.임병호.이시영(2022), "그린인프라 구축을 위한 개발제한구역의 활용가치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3(1): 67~84.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23), "녹색건축 인증기준 해설서", 고양.
  13. Ministry of Environment (2005.12), "Ecological Area Ratio Application Manual", Sejong. (in Korean)
  14. 환경부(2012), 「OECD 환경전망 2050 평가 및 국내 환경정책적 수용방안 연구」, 세종.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6.7.1), "Ecological Area Ratio Application Manual", Sejong. (in Korean)
  16. 환경부(2022), 「생태면적률 적용 확대를 위한 개선 방안 마련 연구」, 세종.
  17. 황재연.곽승연.김상규.박민주(2022), "공원 분석 지표 개발 및 현황 분석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LHI Journal」, 13(1): 99~112.
  18. LH (2013~2022), "LH-Promoted Apartment Landscaping Construction Completion Drawing", Jinju. (in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