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고재현.박신영.이진형(2023), "코로나19가 의료분야 산업 매출에 미친 영향: 서울지역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연구」, 41(1): 47~71. https://doi.org/10.46665/jkes.2023.3.41.1.47
- 구형모(2019), "서울 고시원의 시공간 분포 탐색과 주거환경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9(2): 105~118.
- 김경민.나건웅(2021), "코로나에도 살아남은 MZ 핫플레이스 한국의 브루클린 '성수'", 「매경이코노미」, 2136: 50~53.
- 김기중.고승욱.성진욱(2023), "공간 밀도분석을 이용한 재정비 대상지 탐색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 14(2): 35~50.
- 김성태(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관광위험지각과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9(5): 133~150.
- 김수현.김태현.임하나.최창규(2015), "소매업의 매출액을 결정하는 보행량 및 건조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편의점, 화장품소매점,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3): 299~318.
- 김정환.박지현.최창현.김형수(2018), "호우피해자료에서의 고차원 자료 및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소한 회귀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8(6): 801~808. https://doi.org/10.12652/KSCE.2018.38.6.0801
- 김종욱(2022),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 변화", 「노동리뷰」, 205: 91~95.
- 김지선.이형룡(2022),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호텔고객의 변화된 인식비교: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31(4): 1~15. https://doi.org/10.24992/KJHT.2022.6.31.04.1
- 김현철.이승일(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117~134. https://doi.org/10.23129/SEOULS.20.1.201903.117
- 나건웅.반진욱(2022), "포스트 코로나 신상권 지도 ② 홍대입구_'먹고 마시자' 20대 보복소비 최대 수혜지 홍대입구서 합정.상수.연남까지 '북적'", 「매경이코노미」, 2168: 58~61.
- 남기찬.하수정.홍사흠.조성철.조정희(2017), "지역의 소비구조 탐색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 서울: 국토연구원.
- 박지완.전이봄.이승일(2023), "골목상권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성장-쇠퇴 유형화와 성장상권 영향요인 분석: 코로나19 전후를 대상으로", 「지역연구」, 39(1): 53~66. https://doi.org/10.22669/KRSA.2023.39.1.053
- 변필성(2007), "공간계량경제모델링: 지리학의 제 1법칙과 공간회귀모델", 「국토」, 304: 111~119.
- 서만훈.이재송.최열(2016),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도시특성 요소를 고려한 자연재해 피해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6(4): 723~733. https://doi.org/10.12652/KSCE.2016.36.4.0723
- 여은실.최창규(2015), "역세권 상업지역의 업종별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7~157.
- 오유진.추승우(2023), "코로나 19에 따른 관광객의 호텔 이용행태 비교", 「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학술발표대회」, 137~146.
- 유강은(역)(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서울: 그린비(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New York: Random House).
- 유현지(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3): 45~75.
- 윤나영.최창규(2013),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환경요인의 관련성 분석", 「국토계획」, 48(4): 135~150.
- 이정란(2017), "업종다양성에 따른 상권의 형성 과정 및 변화 특성", 「환경논총」, 59: 116~116.
- 이정민(2022), "혼합적 토지이용이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이정우.김혜영.전철민(2015), "가로유형별 물리적 환경특성과 보행량간의 연관성 분석", 「도시설계」, 16(2): 123~140.
- 이주아.구자훈(2013), "가로의 물리적 여건과 보행량의 영향관계 분석: 서울시 도심권역, 강남권역, 여의도권역의 중심업무지구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8(4): 269~286.
- 임하나.김태현.최창규(2014), "보행 실제거리와 인지거리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7): 97~115.
- 임하나.성은영.최창규(2017),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서울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구분하여", 「도시설계」, 18(6): 37~49. https://doi.org/10.38195/judik.2017.12.18.6.37
- 임하나.이수기.최창규(2016), "서울시 토지이용 혼합유형과 보행량의 연관성 실증분석", 「국토계획」, 51(7): 21~38.
- 임하나(2015),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다양성 엔트로피 지수의 개발과 유용성 검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장진영.최성택.이향숙.김수재.추상호(2015), "토지이용유형별 보행량 영향 요인 비교ᆞ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집」, 14(2): 39~53.
- 정산설.김경배.이훈(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관광학연구」, 45(5): 33~56. doi: 10.17086/JTS.2021.45.5.33.56
- 정혜영.이혜주.김혜란.이명훈(2013), "용도지역을 고려한 용적률 실현 특성에 관한 연구: 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안) 에 따른 5대 생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5): 233~249.
- 조월.이수기(2021), "서울시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과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56(7): 87~102. https://doi.org/10.17208/jkpa.2021.12.56.7.87
- 조월(2021), "근린환경이 도시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 빅데이터와 해석 가능한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 조항훈.김흥순(2023), "도시특성이 건축물의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424개 행정동에 대한 공간회귀분석의 적용", 「LHI Journal」, 14(3): 77~92.
- 지상훈(2021), "코로나19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폐업 행태: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96: 71~88.
- 진영효(1997), "용어해설: 혼합적 토지이용과 복합용도 개발, 기업촉진지구제", 「도시문제」, 32(343): 137~141.
- 채희원.신정엽(2015), "수도권 도시 공간의 사회적 다양성 변화 탐색", 「한국지리학회지」, 4(1): 139~154. https://doi.org/10.25202/JAKG.4.1.9
- 최열.이재송(2014),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한 산업 및 용도지역 특성과 환경 오염과의 상관관계 분석", 「국토계획」, 49(1): 247~261. doi: 10.17208/jkpa.2014.02.49.1.247.
- 최이명.서한림.박소현(2011), "근린 보행목적시설과 생활동선범위에 대한 실증분석: GPS 와 통행일지를 활용한 북촌 30 대, 40 대 주부들의 보행패턴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8): 91~102. https://doi.org/10.3917/pld.091.0027
- 하정원.이수기(2021), "서울시 근린지역 상업 매출 감소와 회복탄력성 영향요인분석", 「국토계획」, 56(5): 165~181. https://doi.org/10.17208/jkpa.2021.10.56.5.165
- 홍경희(1990), 「도시지리학」, 경기: 법문사.
- Brown, B. B., I. Yamada, K. Smith, C. D. Zick, L. Kowaleski-Jones and J. X. Fan (2009), "Mixed Land Use and Walkability-Variations in Land Use Measures and Relationships with BMI, Overweight, and Obesity", Health & Place, 15: 1130~1141.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9.06.008
- Cerin, E., E. Leslie, L. Toit, N. Owen and L. D. Frank (2007), "Edstinations That Matter: Associations with Walking for Transport", Health&Place, 13(3): 713~724.
- Christian, H. E., F. C. Bull, N. J. Middleton, M. W. Knuiman, M. L. Divitini, P. Hooper, A. Amarasinghe and B. Giles-Corti (2011), "How important is the Land Use Mix Measure in Understanding Walking behaviour: Results from the RESID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8: 55.
- Coupland, A. (1996), Reclaiming the City: Mixed Use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 Im, H. and C. Choi (2015), "Does the Entropy Index of Land Use Mix (LUM) Positively Effect Pedestrian Volume?", In 55th Annual ACSP Conference, Houston, Tx.
- Lee, C. and A. V. Moudon (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ro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 204~215. https://doi.org/10.1016/j.trd.2006.02.003
- Maly, M. (2000), "The Neighborhood Diversity Index: A Complementary of Racial Residential Settlement", Journal of Urban Affairs, 22(1): 37~47. https://doi.org/10.1111/0735-2166.00038
- Sung, H., D. Go, C. G. Choi, S. Cheon and S. Park (2015), "Effects of Street-Level Physical Environment and Zoning on Walking Activity in Seoul, Korea", Land Use Policy, 49: 152~160.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15.07.022
- 서울특별시(2023),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2023.9.21 읽음.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5572/S/1/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