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mmercial Facility Diversity on the Formation of Consumption Centre: Application of Spatial Regression Models

상업시설의 다양성이 소비중심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간회귀모형의 적용

  • 김설희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
  • 김흥순 (한양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4.01.29
  • Accepted : 2024.03.02
  • Published : 2024.03.31

Abstract

To create dynamic and bustling urban environments, a diverse array of commercial facilities is indispensable. These facilities are recognised as pivotal in attracting and accommodating a larger floating population, thereby suggesting that a greater diversity of commercial establishments fosters heightened consumer expenditure. With this premise, our study endeavour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mmercial facility diversity on the Consumer Centre Index. Focused on the temporal context of 2021 and the spatial context of Seoul, our analysis utilizes the Consumer Centre Index, derived from Kernel Density analysis, as the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encompass factors reflecting commercial attributes and urban characteristics. Employ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level, we discern that the clustering of similar industries exerts a more pronounced positive effect on consumer activation compared to the clustering of disparate industries. Additionally, th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centrating industries that bolster consumer activation. Anticipated outcomes of this study include insights beneficial for optimizing commercial facility location policies within the consumer market.

활기 넘치는 거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상업시설의 입지가 필요하다. 상업시설은 지역 유동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상업시설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소비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상업시설의 혼합이 소비중심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2021년을 시간적 범위로 설정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로 하였다. 커널밀도분석을 통하여 산출한 소비중심지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상업 특성을 반영한 요인과 도시 특성 등을 반영한 요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방법은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였고 분석단위는 행정동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이종업종의 집적보다 동종업종의 집적이 소비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업종들의 집적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소비시장에서 상업시설 입지 정책의 효율적인 관리에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현.박신영.이진형(2023), "코로나19가 의료분야 산업 매출에 미친 영향: 서울지역 병.의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연구」, 41(1): 47~71.  https://doi.org/10.46665/jkes.2023.3.41.1.47
  2. 구형모(2019), "서울 고시원의 시공간 분포 탐색과 주거환경 분석," 「한국지도학회지」, 19(2): 105~118. 
  3. 김경민.나건웅(2021), "코로나에도 살아남은 MZ 핫플레이스 한국의 브루클린 '성수'", 「매경이코노미」, 2136: 50~53. 
  4. 김기중.고승욱.성진욱(2023), "공간 밀도분석을 이용한 재정비 대상지 탐색에 관한 연구", 「토지주택연구」, 14(2): 35~50. 
  5. 김성태(2020), "코로나 19 확산에 따른 관광위험지각과 감정반응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리조트연구」, 19(5): 133~150. 
  6. 김수현.김태현.임하나.최창규(2015), "소매업의 매출액을 결정하는 보행량 및 건조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 편의점, 화장품소매점, 커피전문점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0(3): 299~318. 
  7. 김정환.박지현.최창현.김형수(2018), "호우피해자료에서의 고차원 자료 및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소한 회귀모형 개발",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8(6): 801~808.  https://doi.org/10.12652/KSCE.2018.38.6.0801
  8. 김종욱(2022), "코로나19 유행 시기의 사교육비 및 사교육 참여율 변화", 「노동리뷰」, 205: 91~95. 
  9. 김지선.이형룡(2022),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 19 전.후 호텔고객의 변화된 인식비교: 텍스트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31(4): 1~15.  https://doi.org/10.24992/KJHT.2022.6.31.04.1
  10. 김현철.이승일(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20(1): 117~134.  https://doi.org/10.23129/SEOULS.20.1.201903.117
  11. 나건웅.반진욱(2022), "포스트 코로나 신상권 지도 ② 홍대입구_'먹고 마시자' 20대 보복소비 최대 수혜지 홍대입구서 합정.상수.연남까지 '북적'", 「매경이코노미」, 2168: 58~61. 
  12. 남기찬.하수정.홍사흠.조성철.조정희(2017), "지역의 소비구조 탐색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전략 연구", 서울: 국토연구원. 
  13. 박지완.전이봄.이승일(2023), "골목상권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성장-쇠퇴 유형화와 성장상권 영향요인 분석: 코로나19 전후를 대상으로", 「지역연구」, 39(1): 53~66.  https://doi.org/10.22669/KRSA.2023.39.1.053
  14. 변필성(2007), "공간계량경제모델링: 지리학의 제 1법칙과 공간회귀모델", 「국토」, 304: 111~119. 
  15. 서만훈.이재송.최열(2016), "공간적 자기상관성과 도시특성 요소를 고려한 자연재해 피해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36(4): 723~733.  https://doi.org/10.12652/KSCE.2016.36.4.0723
  16. 여은실.최창규(2015), "역세권 상업지역의 업종별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47~157. 
  17. 오유진.추승우(2023), "코로나 19에 따른 관광객의 호텔 이용행태 비교", 「한국관광레저학회 2023 학술발표대회」, 137~146. 
  18. 유강은(역)(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서울: 그린비(Jacobs, J. (1961),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New York: Random House). 
  19. 유현지(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3): 45~75. 
  20. 윤나영.최창규(2013), "서울시 상업가로 보행량과 보행환경요인의 관련성 분석", 「국토계획」, 48(4): 135~150. 
  21. 이정란(2017), "업종다양성에 따른 상권의 형성 과정 및 변화 특성", 「환경논총」, 59: 116~116. 
  22. 이정민(2022), "혼합적 토지이용이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3. 이정우.김혜영.전철민(2015), "가로유형별 물리적 환경특성과 보행량간의 연관성 분석", 「도시설계」, 16(2): 123~140. 
  24. 이주아.구자훈(2013), "가로의 물리적 여건과 보행량의 영향관계 분석: 서울시 도심권역, 강남권역, 여의도권역의 중심업무지구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8(4): 269~286. 
  25. 임하나.김태현.최창규(2014), "보행 실제거리와 인지거리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보행환경 특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7): 97~115. 
  26. 임하나.성은영.최창규(2017), "상업시설의 다양성과 가로활력과의 관련성 실증분석: 서울시 상업지역과 주거지역을 구분하여", 「도시설계」, 18(6): 37~49.  https://doi.org/10.38195/judik.2017.12.18.6.37
  27. 임하나.이수기.최창규(2016), "서울시 토지이용 혼합유형과 보행량의 연관성 실증분석", 「국토계획」, 51(7): 21~38. 
  28. 임하나(2015), "보행량에 영향을 미치는 토지이용 다양성 엔트로피 지수의 개발과 유용성 검증",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29. 장진영.최성택.이향숙.김수재.추상호(2015), "토지이용유형별 보행량 영향 요인 비교ᆞ분석", 「한국ITS학회논문집」, 14(2): 39~53. 
  30. 정산설.김경배.이훈(2021), "코로나19 상황에서 자연기반 여행은 사람들의 여행행복을 증진시키는가?", 「관광학연구」, 45(5): 33~56. doi: 10.17086/JTS.2021.45.5.33.56 
  31. 정혜영.이혜주.김혜란.이명훈(2013), "용도지역을 고려한 용적률 실현 특성에 관한 연구: 2030 서울시 도시기본계획 (안) 에 따른 5대 생활권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8(5): 233~249. 
  32. 조월.이수기(2021), "서울시 POI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활력과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56(7): 87~102.  https://doi.org/10.17208/jkpa.2021.12.56.7.87
  33. 조월(2021), "근린환경이 도시활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도시 빅데이터와 해석 가능한 기계학습을 활용하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34. 조항훈.김흥순(2023), "도시특성이 건축물의 탄소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424개 행정동에 대한 공간회귀분석의 적용", 「LHI Journal」, 14(3): 77~92. 
  35. 지상훈(2021), "코로나19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폐업 행태: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96: 71~88. 
  36. 진영효(1997), "용어해설: 혼합적 토지이용과 복합용도 개발, 기업촉진지구제", 「도시문제」, 32(343): 137~141. 
  37. 채희원.신정엽(2015), "수도권 도시 공간의 사회적 다양성 변화 탐색", 「한국지리학회지」, 4(1): 139~154.  https://doi.org/10.25202/JAKG.4.1.9
  38. 최열.이재송(2014), "공간회귀모형을 이용한 산업 및 용도지역 특성과 환경 오염과의 상관관계 분석", 「국토계획」, 49(1): 247~261. doi: 10.17208/jkpa.2014.02.49.1.247. 
  39. 최이명.서한림.박소현(2011), "근린 보행목적시설과 생활동선범위에 대한 실증분석: GPS 와 통행일지를 활용한 북촌 30 대, 40 대 주부들의 보행패턴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7(8): 91~102.  https://doi.org/10.3917/pld.091.0027
  40. 하정원.이수기(2021), "서울시 근린지역 상업 매출 감소와 회복탄력성 영향요인분석", 「국토계획」, 56(5): 165~181.  https://doi.org/10.17208/jkpa.2021.10.56.5.165
  41. 홍경희(1990), 「도시지리학」, 경기: 법문사. 
  42. Brown, B. B., I. Yamada, K. Smith, C. D. Zick, L. Kowaleski-Jones and J. X. Fan (2009), "Mixed Land Use and Walkability-Variations in Land Use Measures and Relationships with BMI, Overweight, and Obesity", Health & Place, 15: 1130~1141.  https://doi.org/10.1016/j.healthplace.2009.06.008
  43. Cerin, E., E. Leslie, L. Toit, N. Owen and L. D. Frank (2007), "Edstinations That Matter: Associations with Walking for Transport", Health&Place, 13(3): 713~724. 
  44. Christian, H. E., F. C. Bull, N. J. Middleton, M. W. Knuiman, M. L. Divitini, P. Hooper, A. Amarasinghe and B. Giles-Corti (2011), "How important is the Land Use Mix Measure in Understanding Walking behaviour: Results from the RESID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8: 55. 
  45. Coupland, A. (1996), Reclaiming the City: Mixed Use Development, London: Routledge. 
  46. Im, H. and C. Choi (2015), "Does the Entropy Index of Land Use Mix (LUM) Positively Effect Pedestrian Volume?", In 55th Annual ACSP Conference, Houston, Tx. 
  47. Lee, C. and A. V. Moudon (2006), "The 3Ds+R: Quantifying Land Use and Urban From Correlates of Walking",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D, 11: 204~215.  https://doi.org/10.1016/j.trd.2006.02.003
  48. Maly, M. (2000), "The Neighborhood Diversity Index: A Complementary of Racial Residential Settlement", Journal of Urban Affairs, 22(1): 37~47.  https://doi.org/10.1111/0735-2166.00038
  49. Sung, H., D. Go, C. G. Choi, S. Cheon and S. Park (2015), "Effects of Street-Level Physical Environment and Zoning on Walking Activity in Seoul, Korea", Land Use Policy, 49: 152~160.  https://doi.org/10.1016/j.landusepol.2015.07.022
  50. 서울특별시(2023), "서울시 상권분석서비스", 2023.9.21 읽음. https://data.seoul.go.kr/dataList/OA-15572/S/1/datasetView.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