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Spatial Dependencies of Retail Market Areas in Seoul : Economic effects of COVID-19

서울 소매업 상권의 공간적 의존성 분석 : 코로나19 전후 변화를 중심으로

  • 이민주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 전재식 (건국대학교 부동산학과) ;
  • 강승범 (연세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3.11.28
  • Accepted : 2024.01.17
  • Published : 2024.03.30

Abstract

Despite extensive discussions on the repercussions of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there is a lack of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and changes in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distri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COVID-19 on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by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dependency and interactions of these districts. Using data from the fourth quarters of 2019 to 2021 for 1,490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we employed the 3-Stage Least Squares (3SLS) estimation method for simultaneous equation modeling to empirically examine how spatial dependencies among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have evolved due to the influence of COVID-19. The results indicate the existence of spatial dependence among retail business districts in Seoul, with developmental districts exerting a negative influence on nearby districts. Furthermore, the analysis reveals changes in dependency patterns after the onset of COVID-19, interpreted as a decrease in commercial activities in developmental districts due to the impact of the pandemi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new insights into Seoul's retail business districts through a spatially dependent analysis, offering a foundation for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small business owners, to respond appropriately to changes in business districts by considering their interrelationships.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며 국내 경기 위축과 생활 양상 변화에 따른 상권에 관한 다양한 논의는 이루어져 왔지만, 상권 간 관계 및 관계 변화에 관한 분석은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서울지역 소매업 상권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어 소매업 상권의 지리적 의존성과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공간적 의존성을 파악하고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의존관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실증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매업종의 발달상권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2021년까지의 4분기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연립방정식 모형의 추정기법인 3단계 최소제곱법(3 Stage Least Squares, 3SLS)을 통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소매업 상권 간 공간적 의존성이 확인되며, 발달상권이 인근 상권에 미치는 영향이 음(-)의 방향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공간적 의존성이 변화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발달상권의 상업활동이 감소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공간적 의존성을 고려한 분석을 통해 서울시 소매업 상권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정부, 지자체, 소상공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상권 간 관계를 고려하여 상권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는 데서 시사점을 가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3A2A01089625)

References

  1. 강성구.천상현.이민진. 2022, 주상권과 인접상권 중심지 간의 공간변화 다이내믹스: 홍대 일대 상권 사례, 「국토연구」, pp.25-41.
  2. 김동준.김기중.이승일, 2019, 서울시 홍대상권 내 업종변화 필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국토계획」, 54(2): pp.5-16. https://doi.org/10.17208/jkpa.2019.04.54.2.5
  3. 김성문, 2011, 「대규모 소매점포의 인근지역 집적개발이 기존점포의 매출효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4. 김성문.안지상.심교언, 2014, 대형할인점의 매출액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대형할인점 BIG3(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를 대상으로.「도시행정학보」, 27(2), pp.19-38.
  5. 권도율.전재식, 2022, 코로나 19 전후 서울 상권 매출의 공간적 변화,「부동산학연구」, 28(3), pp.25-44. https://doi.org/10.19172/KREAA.28.3.2
  6. 박성희.송재민, 2022, COVID-19 발생 전.후의 사회적. 경제적 활력 변화 연구 - 서울시 상권을 대상으로 -, 「지역연구」, 38(3), pp.51-63. https://doi.org/10.22669/KRSA.2022.38.3.051
  7. 박지현.이승준.류승완, 2022,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사람들의 오프라인 소비패턴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한국생산관리학회지」, 33(3), pp.433-448. https://doi.org/10.32956/kopoms.2022.33.3.433
  8. 신우진.신우화, 2009, 서울시 소매업종 공간분포패턴에 관한 연구, 「부동산연구」, 19(2), pp.279-296.
  9. 서울시 우리마을가게상권분석 서비스, https://golmok.seoul.go.kr/
  10. 오성훈.정동섭.김사헌, 2021, 「2021 소매 산업 전망: 소매산업의 새로운 규칙」, Deloitte Insights 2021 4.
  11. 오영기.이병길.이상경, 2022, 서울시 상권 위계와 중심지체계 비교분석,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1), pp.65-76. https://doi.org/10.46416/JKCIA.2022.04.24.1.65
  12. 우철민, 2012, 「대형유통상업시설의 경쟁적 입지에 따른 매출액 영향에 관한 연구, 대형할인점과 백화점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13. 이금숙.박소현.함유희, 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동안 나타나는 서울시 지하철 통행 변화와 역 배후지역의 지리적 특성,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2), pp.127-142. https://doi.org/10.23841/EGSK.2021.24.2.127
  14. 이슬.김태건.김갑성, 2022, 코로나 19 발생에 따른 서울시 골목상권 유형별 회복탄력성 및 영업 위기에 관한 분석, 「부동산학연구」, 28(2), pp.7-25. https://doi.org/10.19172/KREAA.28.2.1
  15. 이승호.홍민기, 2020, 코로나19 확산과 가계 지출 변화, 한국노동연구원, 정책연구 2020-14.
  16. 이정란.최막중, 2018, 동종과 이종의 도.소매 업종구성에 따른 상권 변화의 특성,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0(2), pp.137-154.
  17. 이정민.김동준.이승일, 2021, 상업시설 업종별 밀도가 음식점 폐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발달상권과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6(1). pp.108-120. https://doi.org/10.17208/jkpa.2021.02.56.1.108
  18. 임현정.최상범, 2022, 코로나19가 서울시 상권 매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행정동 단위 유동인구 군집화를 통한 업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 「서울도시연구」, 23(1), pp.47-65. https://doi.org/10.23129/SEOULS.23.1.202203.47
  19. 정은애.성현곤, 2016, 서울시 소매업 동종 및 이종의 공간적 군집 특성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분석: 미용실, 슈퍼. 편의점, 한식업종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1(5), pp.63-83.
  20. 정재훈.남진, 2019, 위치기반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활동인구 유형 및 유형별 지역 특성 분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1. 주재욱.노승철.윤종진, 2021, 코로나19 확산이 서울 지역에 미친 경제적 손실, 「서울연구원 정책리포트」, 322호, pp.1-22.
  22. 제승욱.강정규.김영근. 2018, 상가 업종 다양성에 따른 상권 변화 실증 분석, 「주거환경」, 16(2), pp.357-369.
  23. 최은준.천상현.이수기, 2021, 사업체의 생존.폐업 기간을 활용한 서울시 상업공간의 변화분석, 「지역연구」, 37(4), pp.3-19. https://doi.org/10.22669/KRSA.2021.37.4.003
  24. 하정원.김선재.이수기, 2021, COVID-19 확산과 서울시 소상공인 매출의 시공간 변화 특성 분석: 시공간 큐브 모형을 활용하여, 「국토계획」, 56(2), pp.218-234. https://doi.org/10.17208/jkpa.2021.04.56.2.218
  25. Broersma, L., and Oosterhaven, J., 2009, Regional labor productivity in the Netherlands: Evidence of agglomeration and congestion effect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9(3), pp.483-511. https://doi.org/10.1111/j.1467-9787.2008.00601.x
  26. Buchanan, J.M., 1965, An Economic Theory of Clubs, JOURNAL ARTICLE, Economica, New Series, Vol. 32, No. 125, pp.1-14. https://doi.org/10.2307/2552442
  27. Christaller, W. Die Zentralen Orte in Suddeutschland, Fischer, jian, trans. by C.W. Baskin., 1966, Central Places in Southern Germany, PrenticeHall, Englewood-Cliffs, Nj, 1933.
  28. Chow, M., K. Stanford and S. Hathan., 2021, 4 COVID-era trends that will have a lasting impact on the products and experiences people want, Think with Google, accessed Mar 16,2022, https://gotthemy.com/?_=%2Fintl%2Fen-apac%2Ffuture-ofmarketing%2Fdigital-transformation%2Fcovidtrends-1-year%2F%23pA182yAp60jUiWtQW4GRIDGYW7ZWTHL30GWdgpWe0g%3D%3D.
  29. Denise, Dipasquale and William, C. Wheaton., 2004, Urban Economics and Real Estate Markets, 부연사.
  30. Deller, S. C., and Harris, T. R., 1993, Estimation of minimum market thresholds for rural commercial sectors using stochastic frontier estimators,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 Policy, 23(1), pp.3-17.
  31. De Vos, J., 2020, The effect of COVID-19 and subsequent social distancing on travel behavior, Transportation Research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Vol.5, 100121.
  32. Eaton, B., and Lipsey, R., 1979, Comparison Shopping and Clustering of Homogeneous Firm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19, pp.421-435. https://doi.org/10.1111/j.1467-9787.1979.tb00610.x
  33. Ghosh, A., and Craig, S., 1983, Formulating Retail Location Strategy in a Changing Environment, Journal of Marketing, 47, pp.56-68. https://doi.org/10.1177/002224298304700307
  34. Henningsen, A., and Hamann, J. D., 2008, systemfit: A package for estimating systems of simultaneous equations in R.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23, pp.1-40. https://doi.org/10.18637/jss.v023.i04
  35. Hotelling, H., 1929, Stability in Competition, The Economic Journal, 39(153).
  36. Kang C.D, 2016, Spatial Access to Pedestrians and Retail Slaes in Seoul,Korea, Habitat International, 57, pp.110-120. https://doi.org/10.1016/j.habitatint.2016.07.006
  37. Krugman, P., 1991, Increasing returns and economic geography,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99(3), pp.483-499. https://doi.org/10.1086/261763
  38. Mushinski, D., and Weiler, S., 2002. A note on the geographic interdependencies of retail market area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42(1), pp.75-86. https://doi.org/10.1111/1467-9787.00250
  39. Schmidt, W. and A. Raman., 2012, When supplychain disruptions matter, Harvard Business School.
  40. Shonkwiler, J. S., and Harris, T. R., 1996, Rural retail business thresholds and interdependencie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36(4), pp.617-630. https://doi.org/10.1111/j.1467-9787.1996.tb01121.x
  41. Teller, C. and Elms, J.R., 2010. Managing the Attractiveness of Evolved and Created Retail Agglomeration Formats, Marketing Intelligence and Planning, 28(1), pp.25-45. https://doi.org/10.1108/02634501011014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