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통계청(2021), 「장래인구추계」, 주요 연령 계층별 추계인구.
- OECD(2021), 「Health Status」.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윤현숙.유희정(2014),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 조유향.정영해(2014), 한국 전.후기 노인의 삶의 질 관련 요인과 성별 차이. 농촌의학.지역보건, 39(3), 176-186. https://doi.org/10.5393/JAMCH.2014.39.3.176
- 이민수.최윤경.정인과.곽동일(2000), 한국 어느 도시 지역의 노인성 우울증 역학조사. 노인정신의학. 4. 54-163.
- 오병훈(2006), 노인자살문제와 예방.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Borg, M & Kristiansen, K(2004), Recovery-oriented professionals: Helping relationships in mental health services, Journal of Mental Health, 13:5, 493-505. https://doi.org/10.1080/09638230400006809
- Butler, R. N., & Lewis, M. I(1998), Aging and Mental Health: Positive Psychological and Biomedical Approaches. 5th edition. Allyn and Bacon. 28-118.
- Wickrama, K. A. S., Lorenz, R. D. O. and Elder, G. 1997. Marital Quality and Physical Illness: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59, 143-155. https://doi.org/10.2307/353668
- Kiecolt-Glaser, J, K., & Newton, T, L. (2001). Marriage and health: His and hers. Psychological Bulletinulletin, 127(4), 472-503.
- Dean, A., Kolody, B., & Wood, P. (1990). Effects of Social Support from Various Sources on Depression in Elderly Perso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31(2), 148-161. Published by: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
- 김미호.문재우(2013), 노인의 가족관계와 사회적 관계가 우울과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10, 1-26.
- Seo, B. S., & Shin, H. S. (1992), The influence of the aged parents-adult children solidarityon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aged parents,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12(2), 99-108.
- 김종선(2016), "한국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16.
- 한명자(2019), "노인의 대인관계능력과 분노조절능력이 집단활동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박사학위논문,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 정순둘(2007), 한국여성의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 청년, 중년, 노년층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36: 210-220.
- Krause, N. & Benjamin A. (2000), "Role-Specific Feelings of Control and Mortality." Psychology and Aging 15: 617-626. https://doi.org/10.1037/0882-7974.15.4.617
- 정문진(2017),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건강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 정경희(2018), 노인의 가족 현황과 전망. 보건복지포럼, 6-18.
- 김향아(2015),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16-634.
- 가문정(2018), "성인 자녀와의 관계와 노인의 건강: 접촉 빈도, 금전적 지원, 지리적 근접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윤지은.전혜정(2009), "중고령자의 경제활동상태와 정신건강.소득 수준과 가족관계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29(2): 743-759.
- 윤현숙.염소림 (2016). 노인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족연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사회복지학, 68(1), 53-71. https://doi.org/10.20970/KASW.2016.68.1.003
- 이준상.김향아 (2017). 노인의 가족관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지, 12(2), 27-36.
- 천재영.이난희(2011), 노인의 우울에 대한 가족갈등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연구.
- 김재엽.김동배.최선희(1998),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8(3). 103-122.
- 한경혜(2019), 가족과 가구 영역의 주요 동향. 한국의사회동향 2019, 56-68. https://doi.org/10.3139/147.019013
- 양옥경.이민영(2003), "가족관계척도 활용을 위한 타당도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4(0), 5-34.
- 손의성(2006), "노인이 인지한 자녀지원, 자녀관계 만족이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자립적인 삶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상사회사업연구, 3(2): 69-94.
- 김동배.박은영.김세진(2010), "손자녀 주양육자 및 공동양육자의 사회참여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183-209.
- 권중돈.조주연(2000),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 20(3): 61-76.
- 서욱경(2016), "중국가정의 가족여가활동이 가족기능과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가정학과 석사학위 논문.
- 이승원.김동배.이주연(2008), "중.고령자의 은퇴유형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족관계 만족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2(1):107-125.
-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 강희숙.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 성. 대한보건연구, 26(4), 451-459.
- Blazer, D. G. (2003), Depression in late life: review and commentary.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8(3), 249-265. https://doi.org/10.1093/gerona/58.3.M249
- 권구영(2012), 조손가정 아동의 우울감과 학교적응 유연성간 관계: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GRI 연구논총, 14(1), 205-230.
- 김진순.손태용.금란.홍금덕(1999), 일 지역의 보건소 및 경로당 이용노인의 우울성향과 관련요인. 한국노년학, 19(3), 141-153.
- 강희숙.김근조.(2000), "일부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건강과 우울과의 관련성".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6(4):451-459.
- 이미애(2009), 노인의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 대처방안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5, 170-192.
- 정호영.노승현(2007), 노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우울과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27(4); 789-805.
- 박봉선(2019), 노인 우울감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한세대학교 대학원.
- 최현석(2018), 인간의 모든 성격: 나를 나이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서해문집.
- 이신숙(2013), 노부모가 인지하는 성인자녀에 대한 양가감정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6), 633-647.
- 황세경(2023), 가족관계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Blazer. D. G.(1995). Social support and mortality in an elderly community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1(5), 684-694.
- Rosenberg. M.(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FL: Academic Press.
- Branden. N.(1994). Our urgent need for selfesteem. Executive Excellence.
- 김순분.이재모(2021), 사회적 관계망과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치학회보, 29(1), 113-135. https://doi.org/10.34221/KJPS.2021.29.1.5
- 권태연(2009), 노년기 연소노인. 중고령노인. 초고령 노인 집단의 스트레스 요인과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 요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40(1), 163-196. https://doi.org/10.16999/KASWS.2009.40.1.163
- 곽아람.박정원.박진희(2019), 노인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사회복지상담연구, 3(1), 5-32.
-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21), 제16차 한국복지패널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김동배.유병선.민정선(2011), 노인 집단에서 나타나는 건강 수준 차이의 요인 분석. 사회복지연구. 42(3), 267-290. https://doi.org/10.16999/KASWS.2011.42.3.267
- 김명숙.고종욱(2013), 여가활동이 노인건강에 미치는 영향과 가족지지의 매개역할. 60, 35-54.
- 최태을.권경주.최미영(2016), 베이비붐 세대의 노후준비상태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71(4), 221-242. https://doi.org/10.21194/KJGSW.71.4.201612.221
- 송종원(2015), 가족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2(2), 31-47.
- 강은미.이영철(2018), 경로당 이용 노인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서울특별시 경로당을 중심으로. 융합정보논문지, 8(5), 173-181.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5.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