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EM 전공 대학생의 진로동기, 진로탐색행동에 대한 인식 차이와 영향요인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STEM Student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 황순희 (홍익대학교(세종) 교양과) ;
  • 조성희 (경희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 Hwang, Soonhee (Department of Liberal Arts and Science, Hongik University) ;
  • Cho, Sunghee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23.12.15
  • 심사 : 2024.01.22
  • 발행 : 2024.01.31

초록

In recent times, STEM graduates are confronting a decline in employment rates influenced by economic, social, cultural, and policy-related factors. Career decisions are closely linked to education, college experiences, and university settings. To comprehend the reasons behind the decline in STEM employment, it is essential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factors.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mong 2,393 STEM undergraduates in Korea. Additionally, factors affecting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ere investigated. The findings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ived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based on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And analyzing the data, 37.8% of career motivation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s,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For career exploration behavior, 30.1% is explained by contextual supports, career barriers, individual backgrounds (gender, grade, GPA), university characteristics (major field, location), field to enter after graduation, and timing of job preparation. Practical implications underscore the need for tailored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considering individual backgrounds and university characteristics, to effectively address challenges faced by STEM graduates in the evolving employment landscape.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2023 공학교육학술대회(2023년 9월 22일, 제주 라마다프라자 제주호텔, 주제: '엔데믹 시대의 공유협력을 위한 공학교육')에서 발표한 내용을 확대하고 보완한 연구이다. 아울러 이 연구는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o. WISET 정책연구보고서-2022-04) 결과의 일부를 재분석하고 보완한 연구임을 밝힌다.

참고문헌

  1. 강명희 외(2016).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과 진로 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진로동기간의 구조관계 규명 -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교육연구, 29(2), 27-48.
  2. 강영숙(2016).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동기, 진로소명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청구논문. 국민대학교.
  3. 강희순(2010). 대학생의 성별, 학년, 진로의식이 진로개발 준비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논단, 9(3), 83-140.
  4. 구영애.박수진.안성식(2020). 대학생의 전공 선택동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취업진로연구, 10(2), 45-70. https://doi.org/10.35273/JEC.2020.10.2.003
  5. 김경리.이현주(2022). 대학생의 전공선택 동기 유형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 교양교육연구, 16(2), 453-465.
  6. 김민선.최보금(2014). 맥락적지지와 전공소속감의 관계에서 공학효능감과 결과기대의 매개효과: 공과대학 신입생들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2(4), 111-138.
  7. 김민정(2016). 대학생의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9(2), 89-107.
  8. 김민정.엄진(2022). 여대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스트레스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5), 259-273.
  9. 김보경(2012).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셀프리더십, 문제해결력 및 진로동기의 인과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10. 김영미(2016). 계층화된 젋음: 일, 가족 형성에서 나타나는 청년기 기회불평등. 사회과학논집, 47(2), 27-52.
  11. 김은선.이희수(2018). 대학생의 기회불평등 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8(1), 115-136. https://doi.org/10.35273/JEC.2018.8.1.006
  12. 김지연.이경희(2016).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9), 1-28.
  13. 김지연.이기학(2014).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진로교육연구 27(3), 1-25.
  14. 김태환(2019). 대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가족지지, 취업불안, 진로탐색행동, 자율적 진로탐색 동기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5. 노윤진(2023). 지방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 진로장벽, 지역내 정착의도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연구. 박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16. 박예인.하정(2019). 가족의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7(3), 81-91.
  17. 박우정.최바올(2020).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에 따른 중도탈락의도, 전공만족도, 대학생활적응, 학업성취도 차이. 청소년학연구, 27(7), 183-209.
  18. 박정희.김홍석(2009).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6(11), 125-144.
  19. 박한샘.조화진(2018).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진로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3), 591-616.
  20. 변수연(2016). 이공계 대학생의 이공계 진로 진출 의사에 영향을 끼치는 대학의 구성적 환경 요인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54(1), 375-399.
  21. 서보람.이기성(2018).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서.사무경영연구, 27(1), 87-116.
  22. 서유진(2007). 진로장애와 낙관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23. 소연희(2022). 진로동기, 전공수업참여 및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 공과대학과 사범대학 학생에 따른 다집단 분석. 진로교육연구, 35(2), 23-41.
  24. 신지영.박성실.형정은(2012).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5(1), 19-35.
  25. 신하영.문보은(2017). 이공계 대학생의 대학생활 경험과 취업의 질: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20(5), 59-73. https://doi.org/10.18108/JEER.2017.20.5.59
  26. 안윤정.문윤경(2014). 대학생의 진로동기와 변화인식이 역량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7(3), 135-161.
  27. 연규진.양지웅.정주리(2019).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근거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구. 교육연구, 41(2), 1-22.
  28. 오영교(2017). 잠재계층 분석방법을 적용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유형분석.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9. 오은영.김강식(2018). 전공선택동기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질서경제저널, 21(4), 59-73.
  30. 오한솔.이지혜(2020). 고학년 대학생의 진로불안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장벽의 매개효과와 생애목표의 조절된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3(1), 85-108.
  31. 우지윤.김영화(2021). 지방대학생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불안의 관계: 사회비교경향성과 자기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3), 295-308.
  32. 유지영(2016). 융복합시대 우리나라 지방대학생의 경제적.일상적 좌절에 관한 연구: 지방대학생 & 서울소재 대학생 비교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4(1), 43-52. https://doi.org/10.14400/JDC.2016.14.1.43
  33. 이건우.최바올(2020). 공학계열 대학생의 심리적.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희망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진로교육연구, 33(1), 109-129.
  34. 이기학.우영지.양은주(2008). Validation of the Korean Contextual Career Supports and Barriers. 교육방법연구, 20(2), 127-150. https://doi.org/10.17927/TKJEMS.2008.20.2.127
  35. 이나라.이항심(2019). 이공계열 대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공학 자기효능감, 학업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6(8), 231-258.
  36. 이현주(2010). 부모의 진로관련행동 및 애착과 남녀대학생의 진로정체감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3(1), 41-59.
  37. 장용희.이재신.신의수(2016). 지방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 주관적 행복감과 매개효과 검증. 교육종합연구, 14(3), 163-184.
  38. 장이슬.송병국(2015).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2(7), 363-392.
  39. 조설희.김순미(2022). 대학생의 핵심역량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동기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30(3), 101-120.
  40. 조성희.황순희(2023). FGI 분석을 통한 공과대학생의 전공 유지와 진로 결정의 영향 요인 탐색. 공학교육연구, 26(3), 20-34. https://doi.org/10.18108/JEER.2023.26.3.20
  41. 주영주.고경이.정유진(2015).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8(3), 65-83.
  42. 최동선(2003).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애착간의 관계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43. 최영미.정미경(2019). 남녀 대학생의 진로결정관계성, 진로장벽, 진로결정효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1), 459-479.
  44. 최현주.신혜진(2017). 성별에 따른 진로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스트레스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2(3), 445-465.
  45. 한종임.장유진(2021).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진로탄력성과 진로타협경향성의 조절된 매개모형. 진로교육연구, 34(2), 121-142.
  46. 황순희(2022). 공과대학 여학생의 셀프리더십, 사회적지지, 대인관계 유능성 간의 관계. 공학교육연구, 25(5), 20-32. https://doi.org/10.18108/JEER.2022.25.5.20
  47. 황순희.최금진.조성희(2023). STEM 전공 대학생의 대학생활경험과 진로결정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 교육문화연구, 29(5), 123-152. https://doi.org/10.24159/JOEC.2023.29.5.123
  48. Balakrishnan, B., & Low, F. S.(2016). Learning experience and socio-cultural influences on female engineering students' perspectives on engineering courses and careers. Minerva, 54, 219-239. https://doi.org/10.1007/s11024-016-9295-8
  49. Betz, N.(2005). Career self-efficacy. In Contemporary models in vocational psychology (pp. 63-86). Routledge.
  50. Blustein, D. L., Prezioso, M. S., & Schultheiss, D. P.(1995). Attachment Theory and Career Development: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The Counseling Psychologist, 23(3), 416-432.
  51. Carrell, S. E., Page, M. E., & West, J. E.(2010). Sex and science: How professor gender perpetuates the gender gap.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5(3), 1101-1144. https://doi.org/10.1162/qjec.2010.125.3.1101
  52.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53. Day, R., & Allen, D.(2004).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protege career succes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4, 72-91. https://doi.org/10.1016/S0001-8791(03)00036-8
  54. Fouad, N. A. et al.(2010).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amily Influence Scal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8(3), 276-291. https://doi.org/10.1177/1069072710364793
  55. Fouad, N. A. et al.(2010). Barriers and supports for continuing in mathematics and science: Gender and educational level differ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7(3), 361-373. https://doi.org/10.1016/j.jvb.2010.06.004
  56. Hacker, S.(2017). Pleasure, power and technology: Some tales of gender, engineering, and the cooperative workplace. London, Routledge.
  57. Heppner, P. P., & Krieshok, T. S.(1983). An applied Investigation of problem-solving appraisal,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servicerequests, utilization, and subsequent evaluations. Vocational Guidance Quarterly. 31, 240-249. https://doi.org/10.1002/j.2164-585X.1983.tb01542.x
  58. Hughes, R.(2014). The evolution of the chilly climate for women in science, In J. Koch & B. Irby (eds.) Girls and Women in STEM (pp. 71-94).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Publishing, Inc.
  59. Lent, R. W., Brown, S. D., & Hackett, G.(1994). Toward a unifying social cognitive theory of career and academic interest, choice, and perform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5, 79-122. https://doi.org/10.1006/jvbe.1994.1027
  60. Lent, R. W. et al.(2001). The role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in the choice of math/science educational options: A teat of social cognitive hypothe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8, 474-483. https://doi.org/10.1037/0022-0167.48.4.474
  61. Lent, R. W. et al.(2003). Relationship of contextual supports and barriers to choice behavior in engineering majors: A test of alternative social cognitive mode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0, 458-465. https://doi.org/10.1037/0022-0167.50.4.458
  62. Lent, R. W. et al.(2011). Social cognitive predictors of the interests and choices of computing majors: Applicability to underrepresented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8, 184-192. https://doi.org/10.1016/j.jvb.2010.10.006
  63. Lent, R. W. et al.(2013). Social cognitive predictors of adjustment to engineering majors across gender and race/ethnic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83, 22-30. https://doi.org/10.1016/j.jvb.2013.02.006
  64. London, M.(1983). Toward a theory of career motiv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8(4), 620- 630. https://doi.org/10.2307/258263
  65. London, M., & Noe, R. A.(1997). London's career motivation theory: An update on measurement and research.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1), 61-80.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105
  66. Lopes, T. P.(2006). Career development of foreign-born workers: Where is the career motivation research?. Human Resource Development Review, 5(4), 478-493. https://doi.org/10.1177/1534484306293925
  67. Luzzo, D. A., & Jenkins-Smith, A.(1996). Perceived occupational barriers among Mexican-American college students. TCA Journal, 24(1), 1-8. https://doi.org/10.1080/15564223.1996.12034467
  68. Mano-Negrin, R., & Tzafrir, S. S.(2004). Job search modes and turnover. Career development international, 9(5), 442-458. https://doi.org/10.1108/13620430410550727
  69. Marra, R. M. et al.(2012). Leaving engineering: A multi- year single institution stud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1(1), 6-27. https://doi.org/10.1002/j.2168-9830.2012.tb00039.x
  70. Nicpon, M. F. et al.(2006).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with college freshmen's academic performance and persistence.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8(3), 345-358. https://doi.org/10.2190/A465-356M-7652-783R
  71. Noe, R. A., Noe, A. W., & Bachhuber, J. A.(1990). An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es of career motivatio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37(3), 340-356. https://doi.org/10.1016/0001-8791(90)90049-8
  72. O'Brien, R. M.(2007). A caution regarding rules of thumb for variance inflation factors. Quality & quantity, 41, 673-690. https://doi.org/10.1007/s11135-006-9018-6
  73. Rogers, M. E., Creed, P. A., & Glendon, A. I.(2008). The role of personality in adolescent career planning and explor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73(1), 132-142. https://doi.org/10.1016/j.jvb.2008.02.002
  74. Seymour, E., & Hewitt, N. M.(1997). Talking about leaving: Why undergraduates leave the sciences. Boulder, CO: Westview Press.
  75. Stumpf, S. A., Colarelli, S. M., & Hartman, K.(1983). Development of the career exploration surve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22(2), 191-226. https://doi.org/10.1016/0001-8791(83)90028-3
  76. Swanson, J. L., & Woitke, M. B.(1997). Theory into practice in career assessment for women: Assessment and interventions regard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5(4), 443-462. https://doi.org/10.1177/106907279700500405
  77. Tang, M., Fouad, N. A., & Smith, P. L.(1999). Asian Americans' career choices: A path model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their career choi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142-157. https://doi.org/10.1006/jvbe.1998.1651
  78. Taveira, M. D. C., & Moreno, M. L. R.(2003). Guidance theory and practice: the status of career exploration.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ling, 31(2), 189-207. https://doi.org/10.1080/0306988031000102360
  79. Werbel, J. D.(2000). Relationships among career exploration, job search intensity, and job search effectiveness in graduat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3), 379-394. https://doi.org/10.1006/jvbe.2000.1746
  80. WISET(2022). STEM 분야 여성인재 성장기반 구축을 위한 성별특성 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81. Zikic, J., & Hall, D. T.(2009). Toward a More Complex View of Career Exploration.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8(2), 181-191. https://doi.org/10.1002/j.2161-0045.2009.tb00055.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