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학습병행 재직자학위연계 교육과정 참여학생의 학습성과와 대학측 대응 노력 간의 연관성 고찰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utcomes of Employees Participating in Work-Study Integrated Degree Programs and University Efforts in Response

  • 최성연 (동양미래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과)
  • Choi, Sungyon (Department of Computer Information Engineering, Dongyang Mirae University)
  • 투고 : 2023.12.21
  • 심사 : 2024.01.23
  • 발행 : 2024.01.31

초록

The degree-linked programs for employees, operated by joint training centers in specialized universities that have implemented work-study integrated programs, are educational programs that require an annual government budget of around 80 billion KRW. However, the 70+ universities running these programs face issues such as a decline in academic achievement and an increase in dropout rates among students. In this paper, I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observed and measured information to examine whether the participating students in these programs are achieving an appropriate level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universities need to invest in to achieve that level. To do this, I hypothesized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s input factor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used the SPSS program to analyze the statistical data, confirming the validity of the hypothesis. The collected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through a survey developed using a Likert 4-point scale, which quantified the distribution of grades among students enrolled in IT-related departments offering the degree-linked programs for employees and the emotional contact efforts made by the universities to motivate them for academic success. Particularly, through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se input factors, unlike those for students in general education programs, require more personalized and frequent intera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2021.12). 일학습병행 보도자료.
  2. 고용노동부(2023.12). 일학습병행 정책발표자료.
  3. 김대영(2019). 일학습병행 훈련과정이 주관적 경력 성공에 미치는 영향 : 프로티언 경력 태도의 매개 효과. 교육문화연구, 25(1), 203~223. https://doi.org/10.24159/JOEC.2019.25.1.203
  4. 김대영.임승완(2020). 기업현장교사의 OJT 실행 능력, 학습근로자의 훈련과정 만족, 직무만족 및 조직 몰입의 관계 : 학습근로자의 일학습병행 이해 수준에 의한 조건부 과정 분석. 교육문화연구, 26(4), 565~595. https://doi.org/10.24159/JOEC.2020.26.4.565
  5. 김선연.신효진(2012). 대학생의 학과교수 만족도 구성요인 타당화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207-226. https://doi.org/10.24211/TJKTE.2012.29.1.207
  6. 김안나.이병식(2003). 대학생들의 핵심능력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환경요인분석. 한국교육, 30(1), 367-392.
  7. 김은경(2005).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대학생의 성장 및 발달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9(4), 877-895.
  8. 김은주(2014).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209-231.
  9. 김은지(2015). 대학 수업에서 학습 몰입과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학습자 내.외적 요인 간의 구조적 관계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6(3), 107-129.
  10. 김종두.조광주(2017). 일.학습병행제 참여자의 성취동기와 만족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1(6), 213-223.
  11. 남향숙.이주연(2013). 미용대학 계약학과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1(4), 631-640.
  12. 류장열.류인규(2018). 세무.회계학부의 NCS 기반 일학습병행제 도입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비즈니스연구, 2(1), 12-28.
  13. 박원우 외(2010). 적정 표본크기(sample size) 결정을 위한 제언. 노사관계연구, 21, 51-85.
  14. 박인선(2019). 대학생의 중도이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학만족, 자기효능감, 대학적응의 상호작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통대학교.
  15. 박찬준(2020). 중소기업 일학습병행제의 훈련 참여 이유에 관한 연구. 산업진흥연구, 5(1), 47-52. https://doi.org/10.21186/IPR.2020.5.1.047
  16. 박찬준.윤관식(2019). 일학습병행 참여 학습근로자의 중도탈락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 기업경영리뷰, 10(4), 213-230.
  17. 변현수(2017). 부모 관여, 학업 스트레스 및 감성지능이 자아존중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로고스경영연구, 15(1), 105-122.
  18. 신기식.강민정(2023). 일학습병행제 참여자의 교육훈련만족도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즈니스융복합연구, 8(1), 83~90.
  19. 안세화(2020). 대학연계형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중도탈락 요인분석. 경상논총, 38(1), 95~108.
  20. 안세화(2021). 일학습병행 학습근로자의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잡 크래프팅의 조절효과. 질서경제저널, 24(2), 67~84.
  21. 윤예니(2009). 학급차원의 보편적 긍정적 행동지원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2. 윤정민(2017). 일학습병행제 참여 학습근로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제주대학교.
  23. 이성각.조현진(2019). 지도교수의 감성리더십이 교수신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광주.전남 관광분야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1(3), 405-420.
  24. 이순구(2022). 전문대 재학생단계 일학습병행 정착을 위한 탐색적 연구. 관광레저연구, 34(1), 239-254.
  25. 이유미(200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과 교사효능감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5(2). 1-20.
  26. 이현준(2017).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7. 이희경.김정숙(2018). 학사학위 전공심화과정 학생의 학교 만족도 실태 및 요구. 유아교육학논집, 22(1), 5-32.
  28. 임이랑.오인수(2016).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학습역량 환경/지지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285-309.
  29. 임성범(2014). 대학행정서비스 만족도 측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2(3), 115-148.
  30. 장신철.최기성(2021). 일학습병행법 시행 관련 쟁점과 향후 과제. 산업관계연구, 31(1), 53~82.
  31. 정주영(2018). 사범계열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연구. 교육연구논총, 39(4), 31~45. https://doi.org/10.18612/CNUJES.2018.39.4.31
  32. 조남홍(2008). 체육수업에서 교사-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33. 조성진(2018). 코칭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현장실험연구. 교양교육연구, 12(4), 161~176.
  34. 최성희(2020). 해운.항만물류 관련 성인학습자의 평생교육 참여의도와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6(1), 165-181.
  35. 최재성(2023). 사업실명제 내역서. 일학습병행 사업수행보고서. 산업인력공단.
  36. 최정윤.이병식(2009). 대학생의 학습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대학의 효과분석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7(1), 199-222.
  37. 한국산업인력공단(2023.01). 일학습병행 학습기업 모집 공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