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및 건강행태가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and Health Behavior on Health Literacy

  • 김민영 (호원대학교 치위생학과)
  • Min-Young Kim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Howon University)
  • 투고 : 2024.08.26
  • 심사 : 2024.10.10
  • 발행 : 2024.10.31

초록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및 건강행태가 건강정보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2021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은 19~64세 성인 총 106,930명이었고, χ2 test와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어 및 문자 건강정보이해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거주지,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건강검진 여부, 영양표시 확인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 만성질환 이환(당뇨), 흡연은 문자 건강정보이해능력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수준이 좋은 집단이, 건강행태를 실천하는 집단이 건강정보이해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건강정보이해능력 향상을 위해 주관적 구강건강수준 및 건강행태를 고려한 건강정보 제공 및 전달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and health behavior of adults on health literacy. Data from the 2021 Community Health Survey were used. The study subjects were 106,930 adults aged 19~64, and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age,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health examination, and nutrition labelling check significant effect language and text health literacy. Income level, chronic disease morbidity(diabetes mealtimes), and smoking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text health literacy. Groups with good subjective oral health levels and groups that practice health promotion behaviors were found to have high health literacy. In order to improve the health literacy of ad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 provision and delivery system that considers subjective oral health level and health behavio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