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This paper was supported by 2024 Baekseok University Research Fund
DOI QR Code
SSD는 높은 속도와 신뢰성을 바탕으로 HDD를 빠르게 대체하며 광범위하게 현대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장치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SSD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대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각각의 SSD의 상태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LED 깜빡임 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 방법은 SSD의 동작 및 상태에 따라 LED의 깜빡이는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전통적인 SSD의 LED 활용 방법은 단순히 SSD의 전원 켜짐, 데이터 전송, 오류 등을 표현하기 위해 LED의 깜빡임 속도와 시간을 제어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LED의 색상 및 깜빡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SSD의 LED 깜빡임을 이용하여 정해진 규칙의 신호를 전송하는 새로운 통신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켜져 있는 LED 신호의 유지시간에 따라 신호를 숫자와 문자 체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신호를 조합하여 다양한 정보 체계를 설계하였다. 또한, 이렇게 조합된 신호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전송받은 신호를 인클로저의 수신부에서 직관적으로 식별 가능한 표현 형태로 디스플레이 하는 방식을 설계하였다. 이러한 접근방법은 기존 SSD의 추가적인 통신 채널을 확보하고, 시스템의 성능과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SD SSD are rapidly replacing HDD as the storage device of choice for modern computer systems due to their high speed and reliability. Since these SSD are used in large quantities in enterprise environments, the LED blinking method is used to check the status of each SSD. This method controls the blinking rate of the LEDs based on the behavior and status of the SSD. The traditional method of using LED in SSD simply controls the blinking speed and time of the LED to indicate power on, data transfer, error, etc. However, in recent years,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transmit data using the color and blinking of L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ommunication method that uses the LED blinking of SSD to transmit signals according to a certain rule. In the proposed method, the signals are classified into numeric and character system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the on LED signal, and various information systems are designed by combining the classified signals. In addition, a protocol is designed to transmit these combined signals, and a method is designed to display the transmitted signals in an intuitively identifiable representation at the receiving end of the enclosure. This approach is expected to free up additional communication channels of existing SSD and increas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of the system.
This paper was supported by 2024 Baekseok University Research F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