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수도권 고령가구의 주거이동 선택에 대한 연구: 거주기간을 중심으로

Residential Mobility Choices of Elderly Household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 Analysis of the Length of Residence

  • 최정미 (전주대학교 부동산학과) ;
  • 김경희 (전주대학교 부동산학과) ;
  • 임미화 (전주대학교 부동산국토정보학과)
  • Chongmi Choi ;
  • Kyounghee Kim ;
  • Mihwa Lim
  • 투고 : 2024.06.28
  • 심사 : 2024.09.27
  • 발행 : 2024.12.30

초록

2025년 초고령사회가 임박한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중 수도권에 거주하는 고령인구는 약 44.10%이다. 2050년에는 48.7%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정책적 수요 역시 증가하는 추세로 고령 가구를 위한 주거정책 수립이 시급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고령가구의 거주기간이 주거 이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했으며 이에 따른 고령가구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고령가구의 경우 현 거주지역에서 거주기간이 길수록 주거 이동 의사가 없고, 더 나아가 주거 이동 의사가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지역 내 이동을 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택의 점유 형태가 자가인 경우 거주기간이 길수록 주거 이동 의사가 더욱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거 안정성이 고령가구의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및 본 연구에서도 고령가구의 주거 이동은 거주기간 및 주거환경 만족도와 밀접한 영향이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고령가구의 주거와 관련된 정책 마련 시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A super-aged society is expected in 2025, as the elderly population, aged 65 or older,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ill account for approximately 44.10%.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expected to continue to increase up to 48.7% by 2050. Hence, there is an urgent need to establish housing policies for elderly household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length of residence of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on their choice of residential mobility,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eholds, and provide policy implic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elderly households in the metropolitan area have less intention to move as the length of their residence in the current location increases. Even if they intend to move, they decide to move within the current region. In particular, owner-occupiers' intention to move decreases further as the length of their residence increases, indicating that residential stability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for elderly households. These results, in line with previous studies, and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idential mobility of elderly households is closely related to the length of residence and satisfaction with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related to housing for elderly household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태환(2006), "기성시가지 내에 아파트 거주민의 주거 이동 의향에 관한 연구", 「부동산학 연구」, 12(2): 51~60.
  2. 김도연(2011) "노인가구의 주거 이동을 통한 주택 환경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도연.김현철.진정(2012) "농촌지역 노인가구 구성원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4(3): 83~94.
  4. 김용진(2012), "도시 노인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근린 환경 요소: 자립적 생활 능력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5. 김진엽(2023),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 이동에 미치는 영향분석",「LHI Journal」, 14(2): 1~17.
  6. 김태현(2008), "서울시 내 주거 이동의 시.공간적 특성: 수도권 거주 가구의 주택 거주기간을 고려하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7. 김혜원(2009) "노년층의 자녀 동거 여부와 거주지 이동의 관계: 이동 방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8. 박종훈(2019), "주택의 사회-경제적 함의: 투기적 수요, 소유-점유 불일치, 주거격차",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9. 성수연(2022), "고령인구 밀집 지역의 사회 공간적 특성과 계속 거주 영향 요인 분석: 서울시를 사례로", 박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0. 이승권(2011), "노년기 주거 이동과 주거환경 선택 요인 ", 박사학위논문, 강원대학교.
  11. 이창효.이승일(2012), "가구 구성원 변화에 따른 주거 이동의 영향 요인 분석: 수도권 거주 가구의 주택거주기간을 고려하여", 「국토계획」, 47(4): 205~217.
  12. 이희진.이연숙.이수진(2010), "환경적 지원성과 활동적 노인의 총체적 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 주거학회」, 21(2): 77~86.
  13. 임미화(2013),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 이동 발생 요인", 「부동산연구」, 23(2): 79~94.
  14. 임미화(2019), "수도권 가구의 비수도권으로 주거 이동계획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27(2): 117~134.
  15. 정의철.이경애(2013), "고연령 소유가구의 주거 이동 및 주택점유 형태 결정요인 분석, 「주택연구」, 27(2): 51~53.
  16. 최열.김형준(2012), "수도권 및 비수도권의 주거 이동 결정요인 비교분석", 「국토계획」, 47(4): 219~231.
  17. 최열.최진아.김지현(2007), "노인 주거 이주 및 입지 결정요인 분석", 「부동산학보」, 29: 12~22.
  18. 최영석(2012), "주거 이동으로 인한 정주 환경 변화가 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19. 최효비.최열(2022),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활용한 노인가구의 주거 이동 의사 결정요인 분석: 부산.울산.경남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부동산분석」, 8(2): 75~94.
  20. 통계청(2021), "고령자 통계", 세종.
  21. 통계청(2023a), "국내 인구이동통계", 세종.
  22. 통계청(2023b), "장래인구추계", 세종.
  23. 황선혜.이연숙.윤혜경(2010),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후 주거 이동계획 패턴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10(5): 101~166.
  24. Kaplan, D. and R. L. Venezky (1994), "Literacy and Voting Behavior: A Bivariate Probit Model with Sample Selection", Social Science Research, 23(4): 350~367.
  25. Maddala, G. S. (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etr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국토교통부, "2021, 주거실태조사", 2023.10.21. 읽음. https://mdis.kostat.go.kr/dwnSvc/ofrSurvSearch.do?curMenuNo=UI_POR_P9240.
  27. 통계청, "인구밀도(인구주택총조사기준): 시도", 2023. 11.7c 읽음.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8024&conn_path=I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