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Cultural Landscapes' with Big Data Analysis: Focusing on the Case of Shinan-gun, Jeollanam-do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문화경관' 유형과 특성 연구: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 OH Jungshim (Sangmyung University K-Culture Creative Content Research Institute )
  • 오정심 (상명대학교 K-Culture 창의콘텐츠연구소 )
  • Received : 2022.12.05
  • Accepted : 2023.02.02
  • Published : 2023.03.30

Abstract

The World Heritage Committee decided to make "cultural landscapes" a world heritage category in the 16th Session of the UNESCO General Conference. The decision was made from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s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al environment or between cultural heritage and natural heritage. Many countries have created policies and institutions to protect their own cultural landscapes along with the changing times. Korea, however, has not obviously defined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its cultural landscapes, but manages policies and institutions based on the concept of a scenic spot, which has some similar meanings. In addition, it even borrows the "list of landscape adjectives," one of the representative methods for managing landscapes, from foreign countries. With this background, this paper suggested how to define cultural landscapes according to the global development flow. It created a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by gathering the adjectives that can properly express local cultural landscapes in Korea. In particular, it collected 4,556 articles from a local newspaper by focusing on the case of Shinan-gun, Jeollanam-do, and analyzed key words and adjectives included in them by using big data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by this paper, such as the "classification table of cultural landscape types," "list of cultural landscape adjectives" and "network map of nouns/adjectives" can be applied to research on other localities, and furthermore, used as basic data for finding and prot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al landscapes in Korea.

세계유산위원회는 제1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문화경관을 세계유산의 범주에 넣기로 정했다. 인간과 자연환경 또는 문화유산과 자연유산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인식한 데서 나온 결정이다.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따라 세계 여러 나라들은 자국의 문화경관을 보호하기 위한 정책과 제도를 마련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세계 발전 흐름과 다르게 문화경관의 개념과 범주를 명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채 비슷한 뜻을 가진 명승 개념으로 관련 정책과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리고 경관을 관리하는 대표적 방법의 하나인 '경관 형용사 목록'마저 외국에서 개발한 내용을 가져와 번역해서 쓰고 있다. 이런 배경에서 본 논문에서는 세계 발전의 흐름을 담아 문화경관의 개념 및 범주를 정의했다. 그리고 우리나라 지역의 문화경관 특성을 나타내기에 알맞은 형용사를 모아서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을 만들었다. 구체적으로 전라남도 신안군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신문에서 문화경관 관련 기사 4,556건을 수집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으로 핵심 표현 등을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 연구 결과로 제시한 '문화경관 구성 요소 분류표', '문화경관 형용사 목록', '명사·형용사 네트워크 맵'은 다른 지역 연구에 적용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지역의 문화경관 특성을 밝히고 보호하는 일에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NRF-2022S1A5B5A16048933)이다.

References

  1. 노시훈, 2019, 「도시재생사업에 있어서 문화경관의 보존과 활용연구」, 「인문학연구」 57, pp.7~41. https://doi.org/10.52743/HR.57.1
  2. 노시훈, 2020, 「문화경관유산의 보존을 통한 도시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 생투앙 벼룩시장의 ZPPAUP, AVAP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18, pp.147~181.
  3. 노희영.손유진 연구, 2022, 「국내 정원경관이미지의 대표 형용사 선정과 분류 연구」, 「한국정원디자인학회지」 8(1), pp.15~26. https://doi.org/10.22849/JKIGD.2022.8.1.002
  4. 문화재청, 2017, 「세계유산협약 이행을 위한 운영지침」, 문화재청, pp.1~333.
  5. 박재민.김무한, 2014, 「장소기억을 통한 문화경관의 층위 해석 -형용사를 사용하여」, 「한국조경학회지」 42(1), pp.10~18. https://doi.org/10.9715/KILA.2014.42.2.010
  6. 반영운.이태호.백종인.김민아, 2012, 「경관 영역 및 공간 유형별 대표 경관 형용사 선정」,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5(2), pp.95~101.
  7. 사이람, 2019, 「'SNA를 활용한 연구동향 분석' 교육 자료」.
  8. 오정심, 2022, 「다시, 문화콘텐츠란 무엇인가? - 빅데이터를 통해 꿰뚫어 보다」, 부크크.
  9. 오정심, 2021, 「빅데이터 분석 기반 문화콘텐츠 학위논문 연구 동향(2004년~2020년)」, 「문화정책논총」 35(3), pp.185~218.
  10. 오정심, 2020, 「빅데이터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무형문화유산 분야 연구동향 및 지식체계 분석」, 「무형유산」 (8), pp.93~127. https://doi.org/10.22956/NIHC.2020..8.005
  11. 이광윤, 2010, 「유럽경관협약에 비추어 본 경관법의 현황과 쟁점」, 「법학연구」 30, pp.171~188.
  12. 이지나.정희선, 2018, 「I.B. BIshop의 19세기 말 조선 여행기 속 재현 양상 분석 연구: 주제어와 형용사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pp.1~17. https://doi.org/10.26863/JKARG.2018.02.24.1.1
  13. 임승빈, 2018, 「경관분석론」,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4. 전종한, 2013, 「세계유산의 관점에서 본 국가 유산의 가치 평가와 범주화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6), pp.929~943.
  15. 조성준, 2019, 「세상을 읽는 새로운 언어, 빅데이터」, 21세기북스.
  16. 주신하.임승빈, 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pp.1~10.
  17. 최원석, 2012, 「세계유산의 문화경관 유형에 관한 고찰」, 「문화역사지리」 24(1), pp.27~49.
  18. 황기원, 2011, 「경관의 해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9.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08, 'Operational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World Heritage Convention', pp.1~163.
  20. Date Vineet, 2012, "Cultural landscape preservation: analysis of five preservation models", Master, The Clemson University.
  21. Fleming Kaylene, 1984, 'Cultural landscape: a theoretical perspective' in Landscape 48. pp.112~117.
  22. 신안군청, www.shinan.go.kr(접속일: 2022.08.30.).
  23. 신안신문, www.sanews.co.kr(접속일: 2022.08.30.).
  24. 전남제일신문, www.jeilnews.com(접속일: 2022.08.30.).
  25. 남악신문, http://namaknews.com(접속일: 2022.08.30.).
  26. 목포시민신문, http://www.mokposm.co.kr/(접속일: 2022.08.30.).
  27. https://www.bunka.go.jp/seisaku/bunkazai/shokai/keikan(접속일: 202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