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s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emphasizing competency cultivation was announced, the researcher analyzed the connection between competency,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link between the competency of the curriculum revision research report, its sub-elements, the 'process and skills' of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and the achievement standard verb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five curriculum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connec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of the mathematics department are implemented as "process-skills" of the content system, which is further specified and presented as an achievement-based verb. Second, the five competencies were not implemented with the same weight in all areas, and the appropriate process-skills were differentia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the content of knowledge-understanding by area/grade group. Third, verb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were more rich than before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Fourth, 'understanding' throughout the entire area was still presented as the highest propor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researcher discussed clearly establishing the meaning of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 the future and developing and presenting "understanding" as a more specific process or skills.
역량 함양을 강조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역량이 구현된 양상을 역량,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연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개정 연구 보고서의 역량과 그 하위요소,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 성취기준 동사 간의 연계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의 다섯 가지 교과 역량(문제해결, 추론, 의사소통, 연결, 정보처리)은 대부분 내용 체계의 '과정·기능'으로 구현되고, 이는 성취기준 동사로 더욱 구체화되어 제시되었다. 둘째, 다섯 가지 역량은 모든 영역에서 동일한 비중으로 구현된 것은 아니며, 영역별/학년군별로 다루는 지식·이해의 내용에 따라 적합한 과정·기능이 차별화되어 제시되었다. 셋째, 2022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이전에 비해 성취기준에서 동사를 더욱 풍부하게 구체화하여 제시하였다. 넷째, 전체 영역을 통하여 '이해하기'는 여전히 가장 높은 비중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향후 문제해결 역량의 의미와 타 역량과의 관계에 대하여 명확히 정립하고 '이해하기'를 보다 구체적인 과정이나 기능으로 개발하여 제시할 것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