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Bio-logger Attachment Location on Blood Characteristics and Bio-logger Attachment Efficiency in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바이오로거 부착 위치가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의 혈액 성상 및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에 미치는 영향

  • Sung-Yong Oh (Marine Biotechnology & Bioresource Research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 Received : 2023.09.06
  • Accepted : 2023.09.27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e effect of bio-logger tagging location on blood characteristics and bio-logger attachment efficiency in spotted sea bass (mean body weight 2356.7 g) was investigated. The fish were tagged at four different tagging locations: no-tag (control), operculum attachment (OA), dorsal muscle attachment (DA), and cauda peduncle muscle attachment (CA). The blood properties and bio-logger attachment efficiencies were examined on days 1, 7, 14, and 35 after tagging the bio-logger at each tagging location.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the concentrations of hematocrit and hemoglobin in whole blood, and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total protein (TP), glucose, total cholesterol, cortisol, and superoxide dismutase in plasma were not affected by the attachment location of the bio-logger, however, the TP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OA than in the control group on day 7. After tagging for 35 days, the efficiencies of bio-logger attachment in the OA, DA, and CA after tagging for 35 days were 33.3%, 100.0%, and 33.3%,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 the most appropriate bio-logger attachment location is DA, providing basic information on bio-logger utilization methods for ecological and biological biotelemetry surveys of the spotted sea bass.

Keywords

서론

생물원격측정(biotelemetry)은 생물의 이동 정보를 전달하는 프로세스로서, 어류의 행동과 생리학을 연구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며 진화하는 분야 중 하나로서(Bridger and Booth, 2003), 다양한 환경인자(빛, 깊이 및 수온) 측정용 센서와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장착한 바이오로거(bio-logger)의 활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볍고 소형이며 위성 감지 기능, 배터리 및 데이터 저장 기능 등이 확장된 바이오로거의 개발은 다양한 크기 및 연령의 어류에 대한 이동 경로 및 서식지 파악 등 어업분야 뿐만 아니라 양식어류의 행동 모니터링 및 생리반응 파악 등 연구 분야 확대와 더불어 활용성이 증가하고 있다(Bridger and Booth, 2003; Hussey et al., 2015; Macaulay et al., 2021). 바이오로거의 종류로는 담수 환경의 단거리 radio telemetry, 고정 위치에 설치된 수신기 또는 추적 선박에 장착된 모바일 수신기에 의해 주기적으로 감지되고 기록되는 음향태그(acoustic tag)와 지구관측위성(advanced research and global observation satellite, ARGOS)을 통한 지상 수신기에 전송하는 위성 태그(satellite tag) 등을 들 수 있다(Hussey et al., 2015). 이 중 radio wave는 담수에서만 가능하기 때문에, 수중 원격측정은 음향(Donaldson et al., 2014)과 위성(Hazen et al., 2012) 측정이 주요 방식이 되고 있다. 음향 태그의 경우 수신기가 감지할 수 있는 범위(일반적으로 수 킬로미터) 내에서 자료 수집이 이루어지는(Hazen et al., 2012) 반면, PSAT (pop-up satellite archival tag)와 같은 위성 태그는 사전 프로그램밍된 시간에 대상동물에서 분리되어 수표층에 도달한 후 태그 내 각종 센서의 데이터를 위성으로 전송하여 광범위한 범위의 자료 수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그 활용 범위가 증가하고 있다(Schaefer et al., 2007; Weng et al., 2009; Hazen et al., 2012).

바이오로거 PSAT는 해산어의 수직, 수평 그리고 계절적 이동 등 다양한 분야의 생물원격측정에서 활용되고 있다(Musyl et al., 2011b). 그러나 설정된 기간 동안 대상생물의 정상적인 행동 및 생리에 부정적인 영향이 없고 폐사가 유발되지 않으며 설정된 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부착상태를 유지해야만 목적으로 하는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Bridger and Booth, 2003; Smircich and Kelly, 2014). 하지만 바이오로거 PSAT 체외 부착은 생물 종과 개체 크기에 따라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부착 방류 후 개체의 사망률 증가와 장기 생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으로 인해 PSAT 부착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Grusha and Patterson, 2005; Steinhausen et al., 2006; Methling et al., 2011; Smircich and Kelly, 2014; Jepsen et al., 2015; Park and Oh, 2018; Oh and Jeong, 2021), 바이오로거 활용 전 대상어종별 안정적인 체외 부착 방법 및 생리적 영향 등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PSAT는 대상어류에 따라 등지느러미 부근의 근육(Domeier et al., 2003; Horodysky and Graves, 2005) 또는 등지느러미에(Moyes et al., 2006; Musyl et al., 2011a) 부착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부착 부위에 따른 생리적 영향 및 바이오로거 부착 효율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점농어(Lateolabrax maculatus)는 농어목(Perciformes) 농어과(Lateolabracidae) 농어속(Lateolabrax)에 속하는 어종으로서(Kim et al., 2001), 중국, 베트남 및 한국까지 분포하는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Yokogawa and Seki, 1995). 점농어는 광염성의 경제성 높은 양식 대상 종이자 향후 주요 어족자원으로서 지리적 군집 정보뿐만 아니라 양식 효율 향상을 위한 다양한 생리적 정보가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전혀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점농어에 대한 바이오로거 활용을 위한 conditioning 기술(Oh and Jeong, 2022) 개발 기초연구로서, PSAT와 동일한 dummy mrPAT (mark report PAT) 부착 부위에 따른 시간 경과별 점농어의 혈액 성상 변화 및 PSAT 부착효율 파악을 통해 안정적인 체외 부착 부위를 조사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어 및 바이오로거 부착

실험어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실험동에서 사육 중인 점농어(체중 2,356.7±309.1 g, 전장 63.8±3.8 cm, mean±SD) 12마리를 사용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실험어는 생물여과조, 포말 분리기 및 사육수조로 구성된 순환여과식 시스템에서 사육 관리하였으며, 실험 전 어체중의 1.0–1.5%의 비율로 배합사료(단백질 함량 42.5%)를 공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바이오로거는 Park and Oh (2018)Oh and Jeong (2021)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dummy mrPAT (Wild-life Computers Inc., Redmond, WA, USA)를 사용하였으며, 해당 태그의 무게와 길이는 각각 40 g과 127 mm이었다. 모든 실험어는 사료 섭취 후 핸들링 및 바이오로거 부착에 따른 소화 불량 및 스트레스 감소를 위해 2일간 절식 후 dummy mrPAT를 부착하였다. Dummy mrPAT 부착은 부착 위치별로 아가미 뚜껑 부착구(operculum attachment, OA), 등근육 부착구(dorsal muscle attachment, DA) 및 꼬리자루근육 부착구(caudal peduncle muscle attachment, CA)로 설정하여 위치별로 3마리씩 부착하였고, 대조구로 미부착 개체 3마리를 사용하였다(Fig. 1). Dummy mrPAT 부착은 실험어의 스트레스 저감 및 폐사 방지를 위해 2-phenoxyethanol (Junsei Chemical Co., Ltd., Koshigaya, Japan) 150 mg/L로 마취한 후 체중 측정 다음 부착하였다. 부착 방법은 OA의 경우 두부 상단에서 아래로 1.0–1.5 cm 위치의 아가미뚜껑 부위에 바늘(두께 1.2 mm)로 양쪽 아가미뚜껑에 구멍을 뚫어 mono filament (두께 0.64 mm)를 삽입하여 dummy mrPAT를 연결하여 부착하였다. 실험구 DA의 경우 등지느러미 아래 1.0–1.5 cm 부위의 근육에 동일하게 바늘을 이용하여 구멍을 낸 후 mono filament (두께 0.64 mm)를 삽입하여 부착하였다. CA의 경우 등지느러미와 꼬리지느러미 사이, 즉 꼬리자루(caudal peduncle) 중간 부분 아래 1.0 cm 부위의 근육에 동일한 방법으로 부착하였다. 바이오로거 부착 후 모든 실험어는 부착 부위에 povidone iodine solution으로 소독처리한 후 항생제 oxytetracycline 200 mg/L의 해수에서 1분간 약욕한(Oh and Jeong, 2021) 후 순환여과식 시스템 내 사육수조(1.5×1.5×0.6 m) 2개에 무작위로 각각 6마리씩 수용하였다. 실험 기간 동안 사료 공급에 따른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절식하였고, 수온은 18.0–18.2°C, 염분은 34.5–34.8 psu, 용존산소는 6.5–7.0 mg/L, pH는 7.0–8.0, 암모니아성 질소는 0.31–0.45 mg/L, 아질산성 질소는 0.002–0.005 mg/L, 질산성 질소는 1.3–5.8 mg/L 범위였으며, 총 35일간 실험이 이루어졌다.

KSSHBC_2023_v56n5_651_f0001.png 이미지

Fig. 1. Three different bio-logger attachment locations applied in this study: Operculum attachment (OA, a and aa), dorsal muscle attachment (DA, b and bb), and caudal peduncle muscle attachment (CA, c and cc).

혈액 성상

바이오로거 부착 위치별 OA, DA 및 CA 실험구와 대조구의 체내 생리반응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부착 1일, 7일, 14일 및 35일째 모든 부착구와 대조구 내 실험어에서 채혈하여 혈액성상 및 스트레스 호르몬 분석을 하였다. 각 실험어의 채혈은 스트레스 저감을 위해 2-phenoxyethanol (150 mg/L)로 1분간 마취한 후, 헤파린이 처리된 주사기를 이용하여 미부 혈관에서 채취하였다. 채혈된 혈액 중 전혈을 사용하여 hematocrit, hemoglobin을 측정하였고, 혈액을 원심 분리(12,000 rpm, 5분, 4°C)하여 혈장을 추출한 후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glucose (GLU), total protein (TP), total cholesterol (TCHO)를 자동혈액분석기(DRI-CHEM 4000i; FUJIFILM, Tokyo,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혈장 내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sol과 superoxide dismutase (SOD)는 ELISA kit (CUSABIO, Wuhan, China)를 사용하여 competitive inhibition technique ELISA법으로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은 제조사에서 제공한 실험방법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Epoch Microplate spectrophotometer (BioTek, Winooski, VT, USA)를 이용하여 파장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렇게 측정된 흡광도 값과 Gen5 software (BioTek, Winooski, VT, USA)에서 만들어진 logistic (log-log) curve-fit standard curve를 사용하여 cortisol과 SOD의 농도를 계산하였다.

부착효율

바이오로거 부착 위치별 OA, DA 및 CA 실험구의 시간 경과에 따른 dummy mrPAT 부착효율을 조사하기 위해 혈액성상 조사 시점과 동일하게 부착 1일, 7일, 14일 및 35일째에 바이오로거 탈락 여부를 조사하였다.

통계 처리

모든 자료는 SPSS 11.5 (SPSS Michigan Avenue,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구 그룹간의 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경우 Tukey’s multiple range test로 평균간 유의성을 95% 신뢰 수준에서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생물원격측정은 일반적으로 바이오로거를 표지방류한 대상 생물의 군집을 대표하기 때문에 바이오로거의 부착 유무가 대상어류의 생존을 포함한 다양한 생리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치지 않아야 하지만(Mellas and Haynes, 1985; Bridger and Booth, 2003; Cooke et al., 2011), 바이오로거의 부착위치, 체내외 부착 또는 이식 방법에 따라 대상어류에 상처를 유발하고 정상적인 유영, 성장, 먹이 섭취 및 생존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Thorstad et al., 2013; Smircich and Kelly, 2014; Jepsen et al., 2015).

바이오로거 부착 또는 삽입이 대상어류에 미치는 부정적 생리적 영향은 다양한 병리학적 변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혈액학적 분석을 통해 어류의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Rożyński et al., 2017; Park and Oh, 2018; Zakęś et al., 2019; Oh and Jeong, 2021). 바이오로거 부착 부위에 따른 시간 경과 별 점농어의 혈액 내 hematocrit, hemoglobin, GOT, GPT, GLU, TP 그리고 TCHO 변화를 Fig. 2에, cortisol과 SOD를 Fig. 3에 나타내었다. 바이오로거 부착 부위에 따른 점농어 혈액 내 주요 스트레스 지표(Park and Oh, 2018)인 hematocrit, hemoglobin, GOT, GPT, GLU, TCHO, cortisol 그리고 SOD는 시간 경과에 따라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혈액 내 TP의 경우 부착 1일, 14일 및 35일째의 경우 대조구와 부착구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05), 부착 7일째 OA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P<0.05). Oh and Jeong (2021)은 평균 체중 10.2 kg의 방어(Seriloa quinqueradiata)를 대상으로 본 실험과 동일한 dummy mrPAT를 등근육 부위에 anchor를 하나 또는 둘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silicon tube 내 mono filament를 삽입하여 부착시킨 후 부착 1일, 14일 그리고 28일째 채혈하여 미부착구(즉, 대조구)와 혈액 성상을 비교한 결과 hematocrit, hemoglobin, GOT, GPT, Na+, K+, Cl-, cortisol 그리고 SOD는 시간 경과에 따라 미부착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ark and Oh (2018)는 조피볼락(Sebasstes schlegelii)과 참돔(Pagrus major)를 대상으로 등근육에 dummy mrPAT를 부착한 경우에도 혈액 내 GOT, GPT, TCHO, cortisol, SOD 그리고 catalase 농도는 시간 경과에 따라 미부착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본 실험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어종에 따라 부착 1일째 hematocrit, hemoglobin 그리고 GLU 농도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Park and Oh, 2018). 특히 조피볼락에서 부착 1일째 hematocrit의 농도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고, 참돔에서 부착 1일째 GLU의 농도가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방어의 경우 부착 28일째 실험구에 따라 GLU와 TP 농도가 대조구보다 증가하거나 GLU, TP 그리고 TCHO 농도가 감소하는(Oh and Jeong, 2021) 경향을 보여 부착 방법, 부착 후 시간 및 어종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험에서도 OA 실험구에서 부착 7일째에 TP 농도가 유의하게 낮아져 이전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horstad et al. (2000)은 Atlantic salmon Salmo salar을 대상으로 두 가지 크기(15.1 g과 25.0 g)의 dummy transmitter를 등근육 또는 체강(body cavity) 내 이식이 혈액 내 hematocrit, GLU 그리고 chloride에, Makiguchi and Ueda (2009)은 masu salmon Oncorhynchus masou를 대상으로 radio transmitter를 등근육 또는 복강 내 이식이 혈액 내 cortisol, GLU 및 hematocrit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하지만 Mohan et al. (2020)은 blacktip shark Carcharhinus limbatus를 대상으로 PSAT를 등지느러미에 부착 후 포획시 hematocrit의 유의한 감소와 GLU의 유의한 증가를 보고하였고, Jepsen et al. (2001)의 경우 체강 내 바이오로거 이식 3시간 후 cortisol, lactate 및 GLU 농도의 유의하게 증가한다는 보고를 볼 때, 어종별 부착부위 및 부착방법에 따라 체내 혈액 성상의 영향 정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 밖에 부착위치를 포함한 부착 방법뿐만 아니라 부착 시 이루어지는 포획(catch) 및 마취 작용 역시 어류에게 스트레스 요인(Cooke et al., 2011; Rożyński et al., 2017)으로 간주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역시 요구된다.

KSSHBC_2023_v56n5_651_f0002.png 이미지

Fig. 2. Change of hemoglobin and hematocrit in blood and GPT, GOT, glucose, total protein and total cholesterol in blood plasma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subjected to three different tagging locations (Control, Non-tagging; OA, Operculum attachment; DA, Dorsal muscle attachment; CA, Caudal peduncle muscle attachment) with dummy mrPAT (mark report PAT) for 35 days. Values (mean±SE, n=3) with different letters on the same da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GPT,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O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KSSHBC_2023_v56n5_651_f0003.png 이미지

Fig. 3. Change of cortisol, and superoxide dismutase in blood plasma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subjected to three different tagging locations (Control, Non-tagging; OA, Operculum attachment; DA, Dorsal muscle attachment; CA, Caudal peduncle muscle attachment) with dummy mrPAT (mark report PAT) for 35 days. Values (mean±SE, n=3) with different letters on the same day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바이오로거 부착 위치에 따른 시간 경과에 따른 dummy mrPAT 부착효율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바이오로거 부착 후 1일과 7일째까지는 부착 위치에 따른 dummy mrPAT가 탈락하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OA 실험구의 경우 부착 14일째에 부착효율은 66.6%이었고, DA와 CA 실험구에서는 탈락현상이 없었다. 실험 종료시인 35일째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은 OA, DA 그리고 CA 실험구에서 각각 33.3%, 100% 그리고 33.3%로 나타나 DA 실험구가 가장 높았다. 바이오로거의 부착 위치는 등지느러미(Henderson et al., 1966; McCleave and Horrall, 1970; Castro-Santo et al., 1996; Mohan et el., 2020), 등근육(Mellas and Haynes, 1985; Thorstad et al., 2000; Makiguchi and Ueda, 2009; O’Connor et al., 2009; Park and Oh, 2018; Oh and Jeong, 2021), 꼬리자루 부위 근육(Carr and Chaney, 1977; Beaumont and Masters, 2003), 그리고 아가미 뚜껑(Ralston and Horn, 1986) 등과 같이 다양한 위치가 보고된 바 있으며, 부착 위치 및 부착방법에 따라 부착율은 달라진다. Oh and Jeong (2021)은 본 실험과 동일하게 등근육에 domeier medium anchor (Wildlife Computers Inc.)을 활용하여 부착하거나 silicon tube를 등근육에 삽입 후 mono filament를 silicon tube 내로 삽입하여 바이오로거를 부착한 결과 anchor 방식은 부착 14일만에 모두 탈락한 반면, silicon tube 방식은 부착 28일째에 약 66.7%의 부착효율을 보였다. O’Connor et al. (2009)은 silver perch Bidyanus bidyanus를 대상으로 등근육에 바이오로거를 부착한 결과 부착 145일째까지 60% 이상 그리고 256일째에는 40%의 부착효율을 보고하였다. Carr and Chaney (1977)은 red drum Sciaenops Ocellata 꼬리자루 부근 근육에 비탄성 harness를 활용한 바이오로거 부착을 통해 2개월 이상 바이오로거 탈락 없이 유지하였고, Beaumont and Masters (2003)는 pike Esox Iudius 2마리를 대상으로 꼬리자루 등쪽 근육에 바이오로거 부착하여 각각 9일과 8주 동안 부착을 보고하여 본 실험 CA 실험구의 부착 14일째 100%와 35일째 33.3%의 부착효율과는 차이를 보였다. Ralston and Horn (1986)은 Cebidichthys violaceus 6마리를 대상으로 아가미뚜껑 안쪽에 바이오로거를 부착하여 6–14일 동안의 위치 추적을 보고하여 최소 이 기간 동안은 부착을 유지한 것은 알 수 있었지만, 최종적인 부착효율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이와 같이 바이오로거의 부착 위치에 따라 부착효율은 달라지며, 이와 아울러 어종, 어류 크기, 바이오로거 크기 및 종류, 부착 방법 등에 따라 부착효율에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대상생물별 최적 부착 방안에 대한 conditioning 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Oh and Jeong, 2021).

Table 1. Bio-logger attachment efficiency of spotted sea bream Lateolabrax maculatus tagged with different tagging locations for 35 days

KSSHBC_2023_v56n5_651_t0001.png 이미지

*OA, Operculum attachment; DA, Dorsal muscle attachment; CA, Caudal peduncle muscle attachment. Values (mean±SE, n=3) with the same superscripts in the same column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바이오로거 부착 위치별 시간 경과별 점농어 체외 상태 변화를 Fig. 4, Fig. 5 그리고 Fig. 6에 나타내었다. 부착 실험구 모두 부착 7일째부터 부착 35일째까지 부착 부위에 붉은 환부 부위가 확대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며, OA 실험구의 경우 부착 14일째부터 아가미뚜껑이 갈라져 바이오로거가 탈락하였다(Fig. 4). 실험구 DA와 CA의 경우 부착 부위 근육 일부가 파이는 등 손실되는 현상이 나타났으며, CA 실험구에서는 부착 부위 근육 일부가 떨어져 탈락하면서 바이오로거가 탈락하였다(Fig. 5, Fig. 6).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에 따른 대상생물의 체외 손상은 이전 많은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다(Thorstad et al., 2000; Collins et al., 2002; Cottril et al., 2006; Oh and Jeong, 2021). 바이오로거 외부 부착 부위는 부착 와이어(wire)에 의한 근육과 외피(integument)에 광범위한 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표지의 탈락 및 대상어류의 유영력 감소 등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Counihan and Frost, 1999; Jepen et al., 2015; Oh and Jeong, 2021). Oh and Jeong (2021)은 dummy mrPAT를 부착한 방어 등근육의 손상을 보고하였으며, shortnose sturgeon Acipenser brevirostrum (Collins et al., 2002)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다. Cottril et al. (2006)은 American eel Anguilla rostrata의 경우 바이오로거 부착 와이어에 의한 심각한 조직 손상으로 낮은 부착효율(약 9%)의 원인으로 작용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 밖에 Thorstad et al. (2000)은 Atlantic salmon을 대상으로 크기가 다른 dummy transmitter를 등근육에 부착시킨 결과 더 큰 dummy 부착구에서 더 높은 비율의 상처 개체를 보고하여 다양한 원인이 표피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을 볼 때, 피부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 개발이 앞으로 요구된다.

KSSHBC_2023_v56n5_651_f0004.png 이미지

Fig. 4. Skin status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with dummy mrPAT (mark report PAT) attached to operculum at days 1 (A), 7 (B), 14 (C), and 35 (D) of attachment.

KSSHBC_2023_v56n5_651_f0005.png 이미지

Fig. 5. Skin status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with dummy mrPAT (mark report PAT) attached to dorsal muscle at days 1 (A), 7 (B), 14 (C), and 35 (D) of attachment.

KSSHBC_2023_v56n5_651_f0006.png 이미지

Fig. 6. Skin status of spotted sea bass Lateolabrax maculatus with dummy mrPAT (mark report PAT) attached to caudal peduncle muscle at days 1 (A), 7 (B), 14 (C), and 35 (D) of attachment.

이상의 결과에서 점농어 바이오로거 체외 부착을 위한 최적 부착 위치는 등근육 부위로서 일부 체외 표피 손상이 나타났지만, 체내 혈액 성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실험 기간 동안 바이오로거 부착효율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부위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Jepsen et al. (2015)이 보고한 바이오로거를 활용한 다양한 어종의 보고에서도 등근육 부위가 가장 적절한 부착위치로 제시하고 있지만, 이들도 역시 각 어종에 적합한 부착 방법은 다양한 사안별 연구를 통해 찾아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점농어의 지리 생태학적 정보 수집, 어족 자원 관리 및 양식 생리 파악을 위한 안정적인 바이오로거 이용 방안 및 향후 생물원격측정 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사사

본 연구는 2020년도 정부(산업통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지원(20203030020080, 해상풍력 단지 해양공간 환경 영향 분석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PN91870)으로 이루어진 연구입니다. 본 연구의 진행 및 분석을 도와주신 최희정 기술원 및 정유경 연구원께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eaumont WRC and Masters JEG. 2003. A method for the attachment of miniature radio tags to pike Esox lucius. Fish Manag Ecol 10, 407-409. https://doi.org/10.1111/j.1365-2400.2003.00346.x. 
  2. Bridger CJ and Booth RK. 2003. The effects of biotelemetry transmitter presence and attachment procedures on fish physiology and behavior. Rev Fish Sci 11, 13-34. https://doi.org/10.1080/16226510390856510. 
  3. Castro-Santos T, Haro A and Walk S. 1996. A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 (PIT) tag system for monitoring fishways. Fish Res 28, 253-261. https://doi.org/10.1016/0165-7836(96)00514-0. 
  4. Carr WES and Chaney TB. 1977. Harness for attachment of an ultrasonic transmitter to the red drum, Sciaenops ocellata. Fish Bull 74, 998-1000. 
  5. Collins MR, Cooke DW, Smith TIJ, Post WC, Russ DC and Walling DC. 2002. Evaluation of four methods of transmitter attachment on shortnose sturgeon, Acipenser brevirostrum. J App Ichthyol 18, 491-494. https://doi.org/10.1046/j.1439-0426.2002.00386.x. 
  6. Cooke SJ, Woodley CM, Eppard MB, Brown RS and Nielsen JL. 2011. Advancing the surgical implantation of electronic tags in fish: A gap analysis and research agenda based on a review of trends in intracoelomic tagging effects studies. Rev Fish Biol Fish 21, 127-151. https://doi.org/10.1007/s11160-010-9193-3. 
  7. Cottrill RA, Okland F, Aarestrup K, Jepsen N, Koed A, Hunter KJ, Butterworth KG and McKinley RS. 2006. Evaluation of three telemetry transmitter attachment methods for female silver-phase American eels (Anguilla rostrata Lesueur). J Great Lakes Res 32, 502-511. https://doi.org/10.3394/0380-1330(2006)32[502:EOTTTA]2.0.CO;2. 
  8. Counihan TD and Frost CN. 1999. Influence of externally attached transmitters on the swimming performance of juvenile white sturgeon. Trans Am Fish Soc 128, 965-970. https://doi.org/10.1577/1548-8659(1999)128%3C0965:IOEATO%3E2.0.CO;2. 
  9. Domeier ML, Dewar H and Nasby-Lucas N. 2003. Mortality rate of striped marlin (Tetrapturus audax) caught with recreational tackle. Mar Freshw Res 54, 435-445. https://doi.org/10.1071/MF01270. 
  10. Donaldson MR, Hinch SG, Suski CD, Fisk AT, Heupel MR and Cooke SJ. 2014. Making connections in aquatic ecosystems with acoustic telemetry monitoring. Front Ecol Environ 12, 565-573. https://doi.org/10.1890/130283. 
  11. Grusha DS and Patterson MR. 2005. Quantification of drag and lift imposed by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and estimation of the metabolic cost to cownose rays (Rhinoptera bonasus). Fish Bull 103, 63-70. 
  12. Hazen EL, Maxwell SM, Bailey H, Bograd SJ, Hamann M, Gaspar P, Godley BJ and Shillinger GL. 2012. Ontogeny in marine tagging and tracking science: Technologies and data gaps. Mar Ecol Prog Ser 457, 221-240. https://doi.org/10.3354/meps09857. 
  13. Henderson HF, Hasler AD and Chipman GG. 1966. An ultrasonic transmitter for use in studies of movements of fishes. Trans Am Fish Soc 95, 350-356. https://doi.org/10.1577/1548-8659(1966)95[350:AUTFUI]2.0.CO;2. 
  14. Horodysky AZ and Graves JE. 2005. Application of pop-up satellite archival tag technology to estimate postrelease survival of white marlin (Tetrapturus albidus) caught on circle and straight-shank ("J") hooks in the western North Atlantic recreational fishery. Fish Bull 103, 84-96. 
  15. Hussey NE, Kessel ST, Aarestrup K, Cooke SJ, Cowley PD, Fisk AT, Harcourt RG, Holland KN, Iverson SJ, Kocik JF, Mills Flemming JE and Whoriskey FG. 2015. Aquatic animal telemetry: A panoramic window into the underwater world. Science 348, 1255642. https://doi.org/10.1126/science.1255642. 
  16. Jepsen N, Davis LE, Schreck CB and Siddens B. 2001. The physiological response of chinook salmon smolts to two methods of radio-tagging. Trans Am Fish Soc 130, 495-500. https://doi.org/10.1577/1548-8659(2001)130%3C0495:TPROCS%3E2.0.CO;2. 
  17. Jepsen N, Thorstad EB, Havn T and Lucas MC. 2015. The use of external electronic tags on fish: an evaluation of tag retention and tagging effects. Anim Biotelem 3, 49. https://doi.org/10.1186/s40317-015-0086-z. 
  18. Kim YU, Myoung JG, Kim YS, Han KH, Kang CB and Kim JG. 2001. The Marines Fishes of Korea. Hanguel, Busan, Korea, 382. 
  19. Macaulay G, Warren-Myers F, Barrett LT, Oppedal F, Fore M and Dempster T. 2021. Tag use to monitor fish behaviour in aquaculture: A review of benefits, problems and solutions. Rev Aquac 13, 1565-1582. https://doi.org/10.1111/raq.12534. 
  20. McCleave JD and Horrall RM. 1970. Ultrasonic tracking of homing cutthroat trout (Salmo clarki) in Yellowstone Lake. J Fish Res Board Can 27, 715-730. https://doi.org/10.1139/f70-075. 
  21. Makiguchi Y and Ueda H. 2009. Effects of external and surgically implanted dummy radio transmitters on mortality, swimm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status of juvenile masu salmon Oncorhynchus masou. J Fish Biol 74, 304-311.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8.02131.x. 
  22. Mellas EJ and Haynes JM. 1985. Swimming performance and behavior of rainbow trout (Salmo gairdneri) and white perch (Morone americana): Effects of attaching telemetry transmitters. Can J Fish Aquat Sci 42, 488-493. https://doi.org/10.1139/f85-066. 
  23. Methling C, Tudorache C, Skov PV and Steffensen JF. 2011. Pop up satellite tags impair swimming performance and energetics of the European Eel (Anguilla anguilla). PLoS One 6, e20797.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20797. 
  24. Mohan JA, Jones ER, Hendon JM, Falterman B, Boswell KM, Hoffmayer ER and Wells RJD. 2020. Capture stress and post-release mortality of blacktip sharks in recreational charter fisheries of the Gulf of Mexico. Conserv Physiol 8, coaa041. https://doi.org/10.1093/conphys/coaa041. 
  25. Moyes CD, Fragoso N, Musyl MK and Brill RW. 2006. Predicting postrelease survival in large pelagic fish. Trans Am Fish Soc 135, 1389-1397. https://doi.org/10.1577/T05-224.1. 
  26. Musyl MK, Brill RW, Curran DS, Fragoso NM, McNaughton LM, Kikkawa BS and Moyes CD. 2011a. Post-release survival,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s, and thermal niche partitioning in five species of pelagic sharks. Fish Bull 109, 341-368. 
  27. Musyl MK, Domeier ML, Nasby-Lucas N, Brill RW, McNaughton LM, Swimmer JY, Lutcavage MS, Wilson SG, Galuardi B and Liddle JB. 2011b. Performance of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Mar Ecol Prog Ser 433, 1-28. https://doi.org/10.3354/meps09202. 
  28. O'Connor JP, Koehn JD, Nicol SJ, O'Mahony DJ and McKenzie JA. 2009. Retention of radio tags in golden perch (Macquaria ambigua), silver perch (Bidyanus bidyanus) and carp (Cyprinus carpio). Mar Freshw Res 60, 334-340. https://doi.org/10.1071/MF08170. 
  29. Oh SY and Jeong YK. 2021. Effects of external pop-up satellite archival tag (PSAT) tagging method on blood indices and PSAT attachment efficiency of yellowtail Seriola quinqueradiata. Korean J Fish Aquat Sci 54, 38-45. https://doi.org/10.5657/KFAS.2021.0038. 
  30. Oh SY and Jeong YK. 2022. Conditioning method and application for fish bio-logging. Abstr Spr Conf Kor Environ Impact Assess 75-76.
  31. Park JW and Oh SY. 2018. Physiological responses of marine fish to external attachment of pop-up satellite archival tag (PSAT). Ocean Pol Res 40, 169-176. https://doi.org/10.4217/OPR.2018.40.3.169. 
  32. Ralston SL and Horn MH. 1986. High tide movements of the temperate-zone herbivorous fish Cebidichthys violaceus (Girard) as determined by ultrasonic telemetry. J Exp Mar Biol Ecol 98, 35-50. https://doi.org/10.1016/0022-0981(86)90074-2. 
  33. Rozynski M, Kapusta A, Demska-Zakes K, Hopko M, Sikora A and Zakes Z. 2017. The effects of surgically implanted dummy tags on the survival, growth performance, and physiology of pikeperch Sander lucioperca. Fish Physiol Biochem 43, 999-1010. https://doi.org/10.1007/s10695-017-0347-2. 
  34. Schaefer KM, Fuller DW and Block BA. 2007. Movements, behavior, and habitat utilization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in the northeastern Pacific Ocean, ascertained through archival tag data. Mar Biol 152, 503-525. https://doi.org/10.1007/s00227-007-0689-x. 
  35. Smircich MG and Kelly JT. 2014. Extending the 2% rule: The effects of heavy internal tags on stress physiology, swimming performance, and growth in brook trout. Anim Biotelemetry 2, 16. https://doi.org/10.1186/2050-3385-2-16. 
  36. Steinhausen MF, Andersen NG and Steffensen JF. 2006. The effect of external dummy transmitters on oxygen consumption and performance of swimming Atlantic cod. J Fish Biol 69, 951-956.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6.01143.x. 
  37. Thorstad EB, Okland F and Finstad B. 2000. Effects of telemetry transmitters on swimming performance of adult Atlantic salmon. J Fish Biol 57, 531-535.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0.tb02192.x. 
  38. Thorstad EB, Rikardsen AH, Alp A and Okland F. 2013. The use of electronic tags in fish research - An overview of fish telemetry methods. Turkish J Fish Aquat Sci 13, 881-896. https://doi.org/10.4194/1303-2712-v13_5_13. 
  39. Weng KC, Stokesbury MJW, Boustany AM, Seitz AC, Teo SLH, Miller SK and Block BA. 2009. Habitat and behavior of yellowfin tuna Thunnus albacares in the Gulf of Mexico determined using pop-up satellite archival tags. J Fish Biol 74, 1434-1449. https://doi.org/10.1111/j.1095-8649.2009.02209.x. 
  40. Yokogawa K and Seki S. 1995. Morphological and genetic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sea bass of the genus Lateolabrax. Jpn J Ichthyol 41, 437-445. https://doi.org/10.11369/jji1950.41.437. 
  41. Zakes Z, Rozynski M and Demska-Zakes K. 2019. Effect of PIT tagging on hematology and plasma composition of juvenile pikeperch (Sander lucioperca (L.)). Aquacult Int 27, 971-981. https://doi.org/10.1007/s10499-019-0035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