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ilitary education: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Papers Since 2000

군인 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 Ji-young Nam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 Kyung-ok Jeong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 Chong-soo Cheung (Department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Soongsil University)
  • Received : 2023.05.16
  • Accepted : 2023.09.12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present a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military education by identifying and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education related to soldiers in academic research published in Korea. Method: In domestic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2000 to 2022, 269 final papers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papers conducted on the subjects of 'soldiers' and 'education'.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was analyzed by categorizing it into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type, number of researchers, research topic, and research content. Result: First, since 2010, the number of studies has gradually increased, and 31 articles were published in 2021, with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Second,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entire military, followed by the Army and Nursing Officers. Thir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a little more in research methods. Fourth, the number of researchers with two or more researchers was steadily increasing. Fifth, most of the research topics were development, design, and improvement. Sixth, in terms of detailed research contents, most of the studies were related to soldiers' spirit(mental force) education and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military education was studied in various subjects.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should be in-depth research from various perspectives with a lot of interest in military education and safety.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표된 학술 연구에서 군인과 관련된 교육 분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군인 교육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0년에서 2022년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논문에서 '군인'과 '교육'을 주제로 수행된 논문 중 최종 논문 269편을 선별하였다. 최종 선정한 문헌은 연도, 연구대상, 연구방법 유형, 연구자 수, 연구주제, 연구내용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2010년부터 연구 수가 점차 증가하였는데, 2021년에 31편이 발표되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전군(全軍)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육군과 간호장교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방법에는 질적연구 방법이 조금 더 많이 활용되었다. 넷째, 2인 이상의 연구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주제는 개발, 설계, 개선을 주제로 한 논문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살펴보면, 군인들의 정신(전력)교육, 군사교육·훈련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군인 교육이 다양한 주제로 연구됨을 확인하였다. 향후 연구의 방향은 군인 교육과 안전에 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관점에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

서론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우리나라는 분단국가라는 특수성으로 인해 「헌법」 제39조제1항에서 국민의 4대 의무 중 하나로 국방의 의무를 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20대 남성은 국방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병사’로 군에 입대하거나 ‘장교’, ‘부사관’ 등 군 간부로 복무하게 된다. 반면 여성은 「병역법」제3조제1항에 따라 지원에 의하여 ‘현역’ 및 ‘예비역’으로만 복무할 수 있다. 2023년 1월 9일 자유아시아방송(RFA:Radio Free Asia)은 세계 각 지역의 통계와 지도를 제공하는 월드 아틀라스(World Atlas)가 발표한 세계 각국 군인 수의 순위 중에서 한국군은 55만 5,000명을 보유해 8위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군대에서 사용되는 교육이란 ‘군사요원에게 군사지식 및 기술의 부여와 함께, 지적 능력, 덕성, 체력을 함양하기 위한 교수 및 학습활동을 말한다. 아울러, 넓은 의미에서 훈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고, ‘훈련은 개인 및 부대가 부여된 임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식과 행동을 체득하는 조직적 숙달과정’으로 정의하고 있다(국방부, 1993). 군인에 대한 교육은 최근 급속하게 변화하는 군사환경에 따른 군의 확대된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것과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Kim, 2003). 군대 내에서 이루어지는 군 교육의 특성은 군 조직의 특수성과 맥을 같이 하는데, 군인 본연의 임무 수행과 관련되는 군사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적 역할과 군 생활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사회화 과정을 위한 지덕체를 고루 갖춘 전인교육을 학습하는 사회교육적 역할을 수행한다(Choi, 2002).

군 복무 자체가 교육의 연속이다. 군인 교육을 통해 획득하는 다양한 학습경험이 국가와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군인 교육에 관한 연구가 날로 활발해져 가고 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군인 교육 전반에 관련된 연구동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한 논문은 거의 없으며, 특정 주제에 국한한 연구만 진행되었다. 예를 들면, 병사의 군 생활 적응 및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동향을 분석한 연구(Jeona et al., 2011; Jin et al., 2015; Yun et al., 2020), 직업군인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Yoo, 2017), 정신전력분야에 관한 연구경향을 분석한 연구(Seo, 2020), 병사대상 병영문화 개선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Yun, 2021), 군 병사를 위한 심리 정서 관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Kim et al., 2022)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군인 교육에 관한 연구의 현실태를 최초로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한다는 것은 앞으로 군인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일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0년 이후 2022년까지 이루어진 군인 교육이 어떻게 연구되었는지 전반적인 국내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군인 교육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위와 같은 연구목적과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연구문제 1. 군인 교육 연구의 연도별 발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군인 교육 연구의 연구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군인 교육 연구의 연구방법 유형별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군인 교육 연구의 연구자 수별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5. 군인 교육 연구의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6. 군인 교육 연구의 세부 분야별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 방법

분석 대상 선정기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정했다. 석사와 박사 학위 논문은 일정 기간 후 학술지에 게재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중복을 피하고자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SCIENCE ON, DBpia, 구글 학술정보 검색 사이트에서 키워드 검색을 하였다. 주요 키워드는 ‘군인 교육’으로 설정하였고, ‘군인’을 ‘국군’, ‘장병’, ‘육군’, ‘공군’, ‘해군’, ‘해병’, ‘병사’, ‘장교’, ‘사관’, ‘부대’로 변경해서 ‘교육’의 단어와 함께 추가로 조사하였다. 주요 키워드 ‘군인 교육’으로 하였을 때, 2023년 2월 1일 검색일 기준, 학술논문 735편이 검색되었다. 핵심 키워드가 1개만 포함된 논문을 제외하고, 본 연구의 대상 논문을 명확하게 선정하기 위하여 1차 키워드 검색으로 도출된 학술지 논문의 연구 제목과 키워드를 직접 확인하였다. 논문의 주제나 내용이 본 연구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예를 들면, 북한군 군사훈련, 일제강점기 군사교육, 사관생도 입학전형 교육성적 등의 논문들이다. 그리고 연구의 질적 수준을 확보하기 위해 KCI 등재 학술지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논문만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2000년부터 2022년까지 연구 발표된 국내 학술지 논문 중 최종적으로 269편의 논문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기준 및 분석 방법

본 연구는 군인 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이 없기에 타 분야의 연구동향 분석에서 주로 사용한 틀을 활용하였다(Baek et al., 2021). 동향 분석 관련 선행 연구(Kim et al., 2011; Son et al., 2011; Kang, 2015; Lee, 2020; Yun, 2021)를 참조하여 연구시기, 연구 대상, 연구자 수, 연구방법 유형, 연구주제,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구체적인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법의 형태를 취하였는데, 이것은 분석 대상 학술지의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자료들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계량적인 방법으로 연구주제, 이론적인 시각, 연구방법론 등을 조사하는 방법이다(Lee et al., 2011). 주로 텍스트 분석을 통해서 반복되는 단어나 주제를 탐색하는 내용분석법은 질적 데이터의 축소(reduction), 핵심 의미를 찾는 데 활용된다(Patton, 2002). 그리고 분류과정에서 복수 영역에 해당하는 연구물은 연구동향 분석의 특성을 왜곡시키거나 누락하지 않도록 중복으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 준거별로 빈도와 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및 해석

연도별 발표 동향

2000년부터 2022년까지 발표된 군인 교육 연구 관련 분석대상 국내 학술지 269편의 연도별 발표 동향은 Table 1과 같다. 연구가 지속해서 수행되었고,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1. Announcement trends by year

JNJBBH_2023_v19n3_471_t0001.png 이미지

전반적인 연도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2000년부터 2009년까지는 매년 5편 이하 적은 편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나 2011년을 제외한 2010년부터는 연구 편수가 점차 증가하였다. 그리고 2020년부터는 급격히증가하며 2021년에 가장 많은 수의 논문 31편(11.5%)이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발표 동향은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군인 교육에 관한 관심이 점차로 증가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대상별 동향

「국군조직법」 제2조(국군의 조직)에 의하면 “국군은 육군, 해군 및 공군으로 조직하며, 해군에 해병대를 둔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군인사법」 제2조와 「군형법」 제1조에서는 “군인이란 현역에 복무하는 장교, 준사관, 부사관 및 병(兵)을 말하며, 군적(軍籍)을 가진 군(軍)의 학교의 학생ㆍ생도와 사관후보생ㆍ부사관후보생 및 「병역법」 제57조에 따른 군적을 가지는 재영(在營) 중인 학생들은 군인에 준하는 법 적용을 받는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 기준에 의하여 본 연구에서는 크게 현역군인과 준군인으로 분류하였고, 직업군인 후 제대한 군인과 예비역을 제대군인이라는 한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수탁교육을 받는 외국군인과 여군을 기타로 묶어 분류하였다.

연구대상별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으며, 분석한 논문 중에 연구대상을 두 개 이상 선정한 논문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측정하였다. 군인 교육을 키워드로 한 논문의 대상을 살펴보면, 현역군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 176편(64.0%)으로 가장 많았고, 준군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83편(30.2%), 제대군인이 총11편(4.0%), 외국군과 여군을 대상으로 한 기타 논문이 5편(1.8%)인 것으로 나타났다.

Table 2. Trends by research subjects

JNJBBH_2023_v19n3_471_t0002.png 이미지

*269개의 논문 중 연구대상이 중복측정 되어 산출된 논문 편수.

연구대상별 동향을 분석한 논문들에서 현역군인과 준군인을 좀 더 상세하게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현역군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 가운데에서는 전군(全軍)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 86편(48.9%)으로 가장 많았고, 육군을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57편(32.4%)으로 그 뒤를 이었다. 그리고 공군이 총12편(6.8%), 간호장교가 총11편(6.3%), 해군이 총 7편(4.0%), 해병대가 총3편(1.7%)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군조직으로 본다면 상당수의 연구가 육군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3. Detailed trends by research subject

JNJBBH_2023_v19n3_471_t0003.png 이미지

*연구대상이 중복측정 되어 산출된 논문 편수.

준군인을 대상으로 한 논문은 총83편(30.3%)으로 사관학교 중에서는 간호사관학교 생도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22편(27.5%)으로 가장 많았고, 일반대학에서는 부사관학과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총14편(16.9%)로 많이 연구되었다. 직업군인으로 복무하다 제대한 군인과 예비역에 대한 논문은 총11편, 외국군이 각각 총3편(1.1%)씩, 그리고 여군이 총2편(0.7%)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유형별 동향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군인교육 관련 논문들을 분석기준인 연구방법 유형으로 분류하여 동향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았다. 양적연구의 실험연구와 질적연구의 내용분석이 각각 총67편(24.9%)씩으로 대다수를 차지하였고, 그 외에 사례연구 총50편(18.6%), 혼합연구 총46편(17.1%), 조사연구 총32편(11.9%), 문헌연구 총7편(2.6%) 순이었다. 크게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총116편(43.5%)의 질적연구가 총99편(36.8%)의 양적연구 보다 좀더많이 연구된 결과로 나타났다.

Table 4. Trends by type of research method

JNJBBH_2023_v19n3_471_t0004.png 이미지

연구자 수별 동향

연구자 수에 따른 동향을 살펴보면, Table 5와 같았다. 1인 연구가 총121편(45.0%), 2인 연구가 총62편(23.0%), 3인 연구가 총45편(16.7%), 4인 연구가 총23편(8.6%), 5인 이상 연구가 총18편(6.7%)으로 나타났다. 1인 연구자가 가장 많기는 하나, 해가 거듭될수록 1인 연구자의 수가 점차로 줄어들고 2인 이상의 공동연구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Table 5. Trend by number of researchers (%)

JNJBBH_2023_v19n3_471_t0005.png 이미지

연구주제별 동향

연구주제별 동향의 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았다. 두 개 이상의 주제를 가지고 있는 연구에 대해서는 중복하여 측정하였다. 개발, 설계, 개선에 관한 주제로 총108편(39.1%)의 논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들의 많은 부분은 준군인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설계, 개선에 관한 논문이었다. 그다음으로는 군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여러 교육에 대한 효과, 만족도와 같은 주제로 다룬 논문이 총75편(27.2%)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어서 군인 교육에 대한 고찰, 동향을 주제로 한 논문이 43편(15.6%), 군인 교육의 실태, 현황을 주제로 다룬 논문이 26편(9.4%), 군인 교육 관련 인식, 요구를 주제로 한 논문이 20편(7.2%), 그리고 군인 교육 관련 법, 제도 및 정책을 주제로 한 논문이 4편(1.4%)이었다.

Table 6. Trends by research subjects

JNJBBH_2023_v19n3_471_t0006.png 이미지

*269개의 논문 중 연구주제가 중복측정 되어 산출된 논문 편수.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 동향

군인 교육에 관한 논문을 세부 분야별로 상세하게 분류해보면 Table 7과 같다. 세부 분류한 연구내용이 분석기준에서 두 개 이상 적용되면 중복하여 측정하였다. 분석한 논문 가운데 국가관 · 안보관 확립과 필승의 군인정신을 함양하는 정신(전력)교육에 대한 논문이 총42편(14.7%)으로 가장 많았고, 군사교육 · 훈련에 관한 논문이 총38편(13.3%)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교수법, 교육방법, 교육콘텐츠(VR/AR/XR/MR)에 관한 논문이 총 35편(12,2%)이었고, 준군인 대상 학교교육에 관한 논문이 총32편(11.2%)이었다.

Table 7. Trends of research contents by detailed field

JNJBBH_2023_v19n3_471_t0007.png 이미지

*269개의 논문 중 연구의 세부 분야 대상이 중복측정 되어 산출된 논문 편수.

그리고 인성, 상담, 의사소통 등에 관련된 논문이 25편(8.7%), 건강, 운동, 여가에 관련된 논문이 23편(8.0%), 직무교육, 보수교육에 관한 논문이 21편(7.3%)이었다. 성교육, 성폭력, 성범죄, 재난, 자살예방, 소방, 응급처치 등 안전에 관련된 논문이 17편(5.9%), 군인들의 자기계발을 위한 언어, 컴퓨터, 금융, 사이버보안, 창의 발명, IT융복합, 학업중단문제해소 등에 관련된 논문이 12편(4.2%)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교육과 군사회복지, 다문화, 양성평등, 인권, 내적가치에 관한 논문이 각 11편(3.8%)씩 이었다. 이 외에 리더십에 관한 논문이 9편(3.1%), 병사들의 군적응과 관련된 정신건강, 적응, 병영문화 등에 관한 논문이 7편(2.4%), 기타 논문 3편(1.0%)은 세례, 예비아버지, 그리고 자녀를 다룬 내용이었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22년까지 군인 교육과 관련된 국내 학술논문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앞으로 지향해야 할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지의 등재 및 등재후보 논문 총269편을 대상으로 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방법 유형별, 연구자 수별, 연구주제별, 그리고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로 준거를 통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동향을 보면, 군인 교육 관련 연구가 2010년도 이후 양적으로 점차 증가하다 2020년부터 급격히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군인 교육에 관한 관심으로 높아지면서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관련 연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활발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둘째, 연구대상을 크게 현역군인, 준군인, 제대군인, 기타로 구분할 때, 현역군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준군인, 제대군인, 외국군과 여군을 대상으로 한 기타 순로 나타났다. 각 연구대상을 좀 더 상세하게 구분하면, 현역군인 대상은 전군(全軍)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육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많았다. 이는 우리나라 군대의 특성상 군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육군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준군인은 간호사관학교 생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는데, 이는 2000년부터 꾸준히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주제별 연구동향에서 학교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편수를 보인 것과도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연구대상이 이처럼 치중되기보다는 해군, 공군, 해병대 등을 대상으로 폭넓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셋째, 연구방법 유형면에서는 실험연구, 조사연구의 양적연구방법과 내용분석, 사례연구의 질적연구방법, 그리고 혼합연구방법이 비슷한 비중으로 연구에 활용되었다. 다만 문헌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소수였지만, 군인 교육 연구가 방법론적인 부분에서 특정한 방법론에 치우치지 않고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연구자 수별 연구동향을 보면 1인 연구자 수가 많으나, 해가 거듭될수록 1인 연구자의 수가 점차로 줄어들고 2인 이상의 공동연구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해진 연구주제와 정교해진 자료수집과 분석 방법에 따라 연구자 간에 공동협력의 필요성이 높아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연구주제별 연구동향을 보면 개발, 설계, 개선을 주제로 한 연구가 총 연구의 40%에 가까운큰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들 연구의 많은 부분이 학생 신분이기도 한 준군인의 교육프로그램 개발, 교육과정 설계, 개선에 관한 논문이었다. 이어서 군인 교육에 대한 고찰, 동향을 주제로 한 연구, 군인 교육의 실태, 현황을 주제로 한 연구, 군인 교육 관련 인식, 요구를 주제로 한 연구, 그리고 군인 교육 관련 법, 제도 및 정책을 주제로 한 연구 순이었다. 이것은 지금까지의 군인 교육 연구가 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 개발에 주를 이루어 왔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앞으로 군인 교육이 유용한 연구로의 도약을 위해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실태, 현황, 요구, 정책 등 다양한 주제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여섯째, 연구내용의 세부 분야별 동향은 정신(전력)교육에 관한 연구와 군사교육 · 훈련에 관한 연구가 다수를 차지하였다. 자세히살펴보면, 국가와 국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군인들의 국가관 · 안보관 확립과 필승의 군인정신을 함양하는 교육에 집중되었다. 이와 함께 교수법, 교육방법, 교육콘텐츠(VR/AR/XR/MR)에 관한 연구와 준군인 대상 학교교육에 관한 연구도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다음으로는 인성, 상담, 의사소통에 관련된 연구와 건강, 운동, 여가에 관련된 연구, 그리고 직무교육, 보수교육에 관련된 연구도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또한, 안전에 관련된 연구, 군인들의 자기계발을 위한 언어, 컴퓨터, 금융, 사이버보안, 창의 발명, IT융복합, 학업중단문제해소 등에 관련된 연구, 군사회복지, 다문화, 양성평등, 인권, 내적가치에 관한 연구와 직업교육에 관한 연구도 적지 않게 이루어졌다. 이 외 리더십에 관한 연구, 병사들의 군적응과 관련된 정신건강, 적응, 그린캠프, 병영문화,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기타 주제로 세례, 예비아버지, 그리고 자녀를 다룬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중 안전에 관한 연구는 성교육, 성폭력, 성범죄, 재난, 자살예방, 소방, 응급처치 등의 내용이 수행되었다.

군은 사망사고를 발생 원인에 따라 크게 ‘안전사고’와 ‘군기사고’로 분류한다. 안전사고는 고의성이 없는 불안전한 인간의 행동과 물리적 상태 및 조건에 의해 사망을 초래하는 사고이고, 군기사고는 군 관련 각종 법규를 고의 또는 과실로 위반하여 발생한 사건, 사고로 징계나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는 사고이다. 국방부에서 제공한 통계에 의하면 2014년부터 줄곧감소해 오던 사망사고가 2021년도에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본 통계자료에 의하면 군대 내 안전사고의 경우에는 ‘교통사고’와 ‘익사’가, 군기사고의 경우에는 ‘자살’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군사망사고진상규명위원회’의 제8차 조사활동 보고서(2022.04~09)에 의하면 과거 군 수사 당시 자해 사망으로 분류된 사건의 비중은 54%였고, 병사는 19%, 사고사는 17%, 타살은 3%였다. 이러한 통계 결과로 ‘자살’과 관련한 교육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최근 군 내 안전사고 현황을 보면 연도별로는 2017년 70건, 2018년 90건, 2019년 75건, 2020년 62건, 2021년 115건, 2022년 10월 현재 58건이 발생하였다. 인명피해는 사망113명, 중상 364명, 경상 230명이다. 재산피해 규모는 2017년 78억원, 2018년 1천204억원, 2019년 568억원, 2020년 108억원, 2021년 493억원, 2022년 10월 현재 71억원으로 집계되었다. 군별로는 육군이 261건으로 과반(56%)을 차지하였고, 공군 133건(28%), 해군 43건(9%), 해병대 23건(5%), 국방부 직할부대 10건(2%) 등이 뒤를 이었다.

이에 군은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국방부는 2020년에 국방 안전 혁신 방안을 마련하여 2025년까지 군 안전사고 사망자 수를 절반으로 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과 노력에 비해 군 안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생애주기에 의하면 청년기인 군 장병들은 ‘안전교육 독립기’에 해당한다. 이 단계 특성에 따라 갖추어야 할 안전 역량을 충족하고 안전사고를 줄이기 위해 효과적인 안전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안전 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향후 군인 대상 안전교육에 있어 군 강사양성 교육과정 및 교재 개발, 신종복합 재난안전, 중대시민재해 등의 다양한 주제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는 국내 학술지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모든 연구를 포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한계를 지닌다(Kim et al., 2022). 추후 이 한계점을 보완하여 군인 교육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서 깊이 있는 후속 연구들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행정안전부의 ‘재난안전 분야 인력양성사업’을 통해 지원받아 수행된 연구의 결과이며 이에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1. Back, J.-B, Kwon, Y.-S. (2021). "Analysis of domestic heatwave research tre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4, pp. 755-768.
  2. Choi, B.O. (2002). An Exploratory study of the model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3. Department of Defense (1993). Mid- to Long-term Plan for Defense Education and Training.
  4. Jeong, W.-C, Park, Y.-J. (2011).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military service adjustment of soldiers in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18, No. 1, pp. 49-71.
  5. Jin, E.-S, Lim, Y.-S. (2015). "Domestic research trend on the adaptation program of soldier."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 22, No. 6, pp. 33-56.
  6. Kang, S.-W. (2015).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in safet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Focused on tendency and task."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Vol. 28, No. 2, pp. 1-24.
  7. Kim, C.-Y, Kim, S.-J. (2022).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grams for military soldiers."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13, No. 6, pp. 1993-2006. https://doi.org/10.22143/HSS21.13.6.137
  8. Kim, W.-K, Jeon, J.-A. (2011). "Trends of research on older adult education in Korea from 2000 to 2011." Korea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Vol. 45, No. 4, pp. 235-263.
  9. Kim, W.-S, Choi, Y.-W, Hong, Y.-J, Yoon, D.-K. (2022). "A comparative analysis of complex disaster research trends using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8, No. 4, pp. 908-921.
  10. Kim, Y.-C. (2003).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ilitary education and training as an effective adult lifelong education mechanism."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9, No. 3, pp. 101-122.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Current Status of Fatal Accidents in the Military. https://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22&tblId=DT_122009_008. 2023.05.05
  12. Lee, B.-R. (2020). "Research trends on studying abroad at an early age: Analysis of domestic journal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20, No. 24, pp. 99-122.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24.99
  13. Lee, M.-H, Kim, E.-J. (2011). "Research trends in educational journal articles: Content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ol. 22, No. 2, pp. 81-100.
  14. Patton, M.Q. (2002). Qualitative Research and Evaluation Methods (3rd ed.). Sage Publications, Inc, California, CA, US.
  15. Seo, H.-J. (2020).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mental force education through research trends analysis in 'Mental force' field." Journal of Spiritual & Mental Force Enhancement, Vol. 0, No. 60, pp. 51-84.
  16. Sim J.-H. North Korea's Military Ranks 4th in the World... "Combat power is a separate issue". fra (Radio Free Asia). https://www.rfa.org/korean/in_focus/nk_nuclear_talks/soldiers-01092023152115.html. 2023.01.09.
  17. Son, J.-Y, Jeong, S.-R, Kim, D.-I. (2011).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high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outh Korea."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Vol. 17, No. 4, pp. 157-178.
  18. Yoo, S.-Y. (2017).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bout stress of occupational military personnels in Korea."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Vol. 35, No. 1, pp. 41-52.
  19. Yun, S.-J, Kim, Y.-S. (2020). "An analysis of trends in domestic research on soldiers' adaptation to military life."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Vol. 26, No. 5, pp. 1385-1407.
  20. Yun, S.-J. (2021).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endency on the soldiers' adaptation program for their military life."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Vol. 16, No. 1, pp. 119-142. https://doi.org/10.15815/KJCAES.2021.16.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