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주성분분석에 기반한 상권 활성화 요인 진단 연구

Diagnostic Study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Factor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정민주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계획.정책학과 ) ;
  • 김현우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도시행정학과)
  • 발행 : 2023.06.30

초록

2020년 국내 첫 COVID-19 확진자 발생 이후 감염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감이 조성되고 외출을 기피함에 따라 골목상권에도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같은 골목상권이라도 골목상권의 특성에 따라 경제적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생활권을 중심으로 COVID-19 이후 골목상권 매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매출 영향요인이라 도출된 6개의 특성을 가진 총 42개의 변수를 구성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통해 기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던 변수의 차원을 축소하였다. 최종적으로 매출 영향요인은 12개의 변수로 축소되었으며 7개의 특성으로 재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혼재되어 사용되던 상권 매출 영향 요인들을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추후 매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the first domestic case of COVID-19 in 2020, social anxiety has caused people to avoid going outside, which has resulted in economic damage to alley commercial districts. However, even in the similar commercial districts, the economic impa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lley districts. This study identifies factors that affect the difference in sales of alleyways after COVID-19 by focusing on alley commercial districts in Seoul. Based on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a total of 42 variables with six characteristics were constructed, and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reduce the dimensionality of mixed variables. The variables were finally reduced to 12 variables and categorized into seven characteristics. We expec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analyzing sales differences by standardizing the factors influencing sales in market districts that were previously uncategorized.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현모(2018). 골목상권의 매출액과 성장 결정요인, 석사학위 논문.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 강현모, 이상경(2018).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고객특성별 골목상권 매출액 영향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제 36권, 제6호, pp.611-620. https://doi.org/10.7848/KSGPC.2018.36.6.611
  3. 구동환(2013). 전문품 소매점의 상권 및 매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자동차 소매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김수현, 김태현, 임하나, 최창규(2015). 소매업의 매출액을 결정하는 보행량 및 건조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 50권, 제3호, pp.299-318.
  5. 김지원(2018). 골목상권 매출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상권 특성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6. 김현철, 이승일(2019). 서울시 골목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제 20권, 제1호, pp.117-134. https://doi.org/10.23129/SEOULS.20.1.201903.117
  7. 박용원, 김상휘(2021). 전통시장 상권크기에 따른 매출 영향요인 분석 -아케이드 설치여부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제 19권, 제4호, pp.181-194.
  8. 서울시. 코로나 19 1년. 서울 골목상권 59% 매출 하락, 41%는 유지상승. 서울시 보도자료(2021.3.18.).
  9. 유경훈, 장성만, 안영수(2016).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권역별 상업가로요인과 유동인구수가 상가매출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주택도시연구, 제 6권, 제2호, pp.137-152.
  10. 유현지(2021). 코로나19와 서울시 골목상권의 매출액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 33권, 제3호, pp.45-75.
  11. 이연수, 박현신, 유승환, 강준모(2014). 캠퍼스상권 매출액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 분석. 서울도시연구, 제 15권, 제1호, pp.17-34. https://doi.org/10.23129/SEOULS.15.1.201403.17
  12. 장윤희, 손지욱, 이동혁, 오창석, 이득중, 장중순.(2016).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고객 공정의 불량률 예측 모형 개발, 신뢰성응용연구, 제16권, 제2호, pp.98-103.
  13. 정대석, 김형보(2014). 상권 업종별 분포 및 매출 영향요인 분석. GRI 연구논총, 제 16권, 제2호, pp.101-122.
  14. 정우영(2022). 코로나19 시기에 밀레니얼세대가 상권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서울시 골목상권과 발달상권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15. 현은하(2020). PCA모형을 이용한 금리리스크 산출 및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