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코로나19에 따른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의 아파트 가격 영향: 전역적·국지적 시계열 효과를 중심으로

Impact of Living Retail Business by Type on Apartment Prices according to COVID-19: Focusing on Global and Local Time Series Effects

  • 김명진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 서원석 (중앙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투고 : 2023.08.09
  • 심사 : 2023.09.13
  • 발행 : 2023.09.30

초록

본 연구는 헤도닉가격모델과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한 지리가중회귀모델을 바탕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유형별 소매유통시설 접근성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전역적·국지적 시계열 영향을 실증분석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역적 측면에서 소매유통시설은 유형별로 주변 아파트 가격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가 소매유통시설에 미친 영향은 존재하였으나, 역시 유형별로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지적 측면에서 코로나19에 따라 소매유통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변화는 지역별, 유형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차별적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코로나19 발생 전과 후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이 주변 지역에 미치는 영향 역시 국지적으로 차별화되고 있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 이는 코로나19와 같은 외부 충격이 소매유통시설의 역할과 인식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엔데믹 시대 소매유통시설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고 주거지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how different types of living retail businesses affected housing pric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ith a particular focus on both global and local time series effects. The main findings are three folds: First, from a global perspective,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presence of living retail business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ices of nearby apartment, varying according to their type. Secondly, the impact of COVID-19 on the retail industry varied depending on the type of business. Thirdly, when viewed from a local standpoint, the impact of the retail business sector on apartment prices due to COVID-19 pandemic was substantial, varying across regions and business types. This implies that external shocks like COVID-19 have the potential to alter the role and perception of living retail businesses. In light of this, the study has put forth policy implications aimed at mitigating the adverse effects of living retail businesses and enhancing residential qua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수진.서원석(2016), "지하철 노선 및 역사특성이 아파트 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연구」, 89: 149~162. https://doi.org/10.15793/kspr.2016.89..009
  2. 권도율.전재식(2022), "코로나 19 전후 서울 상권 매출의 공간적 변화", 「 부동산학연구」, 28(3): 25~44. https://doi.org/10.19172/KREAA.28.3.2
  3. 김도희.서원석(2020), "대규모 교외형 복합상업시설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시공간 영향", 「GRI 연구논총」, 22(3): 29~48.
  4. 김명진(2023),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유형별 소매유통시설의 주택가격 영향분석: 코로나19에 따른 시계열적 변화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5. 김성일(2021), "코로나 19 팬데믹 시기의 주거 욕구별 주거생활 변화 연구", 「인문사회 21」, 12(2): 1151~1164.
  6. 김성호.민정주.신지영(2020.6.22), "[코로나19-로컬의 재발견]떠오르는 '홈어라운드 소비'", 경인일보.
  7. 김태경.서원석(2012), "근린공간요소를 고려한 지역특성이 광역공동주택 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지역연구」, 28(3): 63~82.
  8. 남형권.서원석(2017),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아파트 점유형태별 전철역의 접근성 가치 비교분석", 「서울도시연구」, 18(2): 65~79. https://doi.org/10.26588/kdic.2017.18.2.003
  9. 박석훈(2017), "봉천지역 안심 골목길 조성 디자인 개발 연구: 서울시 관악구 청룡동, 인헌동, 낙성대동, 행운동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3(4): 415~429.
  10. 박소현.이금숙(2021), "점포의 무인화와 소매점 입지: 서울시 무인 편의점과 무인 할인판매점을 대상으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411~424.
  11. 박지현.이승준.류승완(2022),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사람들의 오프라인 소비패턴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생산관리학회지」, 33: 433~448. https://doi.org/10.32956/kopoms.2022.33.3.433
  12. 백우진.허유민(2020), "소매업의 영업시간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편의점과 슈퍼마켓을 중심으로", 「한국사회과학연구」, 39(3): 143~164. https://doi.org/10.18284/jss.2020.12.39.3.143
  13. 서동현.이정문.김지현.박준형.구상준.김석훈(2020), "코로나 19로 인한 디지털커머스 마케팅 변화에 대한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8(2): 291~292.
  14. 서울시(2023a), 「서울시 대규모점포 인허가 정보」, 서울.
  15. 서울시(2023b), 「서울시 휴계음식점 인허가 정보」, 서울.
  16. 서원석(2019), "제약 및 비제약 헤도닉가격모형의 주택내재가치 비교연구", 「국토계획」, 54(6): 80~88. https://doi.org/10.17208/jkpa.2019.11.54.6.80
  17. 송니은.정하명.김보영(2022), "온라인 명품 쇼핑에서 지각된 소비가치가 몰입,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험과 코로나 위험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소비문화연구」, 25(2): 37~59.
  18. 송이슬.조항훈.김흥순(2022), "COVID-19 시기 가정용 상수도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과 인천의 자치구 33개를 대상으로", 「LHI Journal」, 13(4): 1~12.
  19. 신수현.최형석.심교언(2013), "도심형복합상업시설이 주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경방 타임스퀘어를 중심으로", 「부동산학보」, (54): 60~73.
  20. 신유리(2021.4.11), "'홈택트'문화 포용한 '레이어드 홈(layered home)'의 탄생...집이 '홈포차', '홈캠핑장', '홈카페'로 변신한다", 시빅뉴스.
  21. 여홍구.이승한(2002), "할인점 출점이 공동주택 가격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6): 111~127.
  22. 오윤경.강정규.김종민(2014), "지리가중회귀모델을 이용한 주택가격 결정요인의 지역별 특성에 관한 연구: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세무회계연구」, 40: 1~17.
  23. 윤상용(2019), "지역상권 특성이 자영업자 폐업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25개 자치구를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2(3): 21~39.
  24. 이가현(2023.8.4), "긴급회의 연 경찰청장 사실상 테러...다중밀집 장소 감시 강화", 국민일보.
  25. 이유빈.박천희.배기형(2013), "소매유통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물류학회지」, 23(5): 355~373. https://doi.org/10.17934/jmhs..136.201312.355
  26. 이재은.양소연.이태경(2020), "백화점 실내외 휴게공간 환경특성 및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남권에 위치한 백화점을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9(6): 27~39. https://doi.org/10.14774/JKIID.2020.29.6.027
  27. 이정희(2007), "대형유통점이 유통시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유통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25~240.
  28. 이홍승.김준환(2021), "코로나 19 로 인한 식품 소비행태 변화분석: MZ 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9(3): 47~54.
  29. 이희연.노승철(2012), 「고급통계분석론」, 경기: 문우사.
  30. 임현정.최상범(2022), "코로나 19 가 서울시 상권 매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행정동 단위 유동인구 군집화를 통한 업종별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3(1): 47~65.
  31. 장석진.박정민.강주연(2022), "코로나 19 이후 정부대응책 인식과 식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경제적, 심리적, 신체적 영향을 중심으로", 「기업과혁신연구」, 45(1): 3~31.
  32. 장영.서원석(2018), "학군제도에 따른 교육특성이 학군주택 가격에 미치는 시계열 횡단면 영향분석: 중국 천진시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6): 171~182.
  33. 정문오.이상엽(2013), "서울도시철도 접근성에 따른 주택매매가격 변화 연구", 「부동산연구」, 23(3): 51~77.
  34. 정의철(2002), "도시가구의 주택점유형태 및 주택유형선택에 관한 연구", 「주택연구」, 10: 5~31.
  35. 정효진.이지영(2015),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은평뉴타운 지가 분석", 「한국공간정보학회지」, 23(5): 65~73. https://doi.org/10.12672/ksis.2015.23.5.065
  36. 지상훈(2021), "코로나 19 로 변화한 생활인구와 음식업 창. 폐업 행태: 서울시 주요 상권을 중심으로", 「노동리뷰」, 196: 71~88.
  37. 최유경.이진국.김정욱(2021), "코로나 19 로 인한 유통산업 환경변화와 유통규제 전망", 「경제규제와 법」, 14(2): 60~86.
  38. 최정민.박동찬(2020), "주거환경 생활편의시설의 접근성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주거환경」, 18(1): 1~20.
  39. 최철환.이인엽.김동규(2022), "COVID-19 대유행 이후의 보복소비: 코로나바이러스 위험인식에 따른 소비욕구와 보상소비 비교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31(2): 411~421. https://doi.org/10.35159/kjss.2022.4.31.2.411
  40. 홍미숙.강혜숙.명소형.윤덕인(2017), "편의점 도시락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이 긍정적인 소비감정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식산업학회지」, 13(2): 29~44.
  41. 황경희.김현채(2020), "COVID-19로 변화된 식생활 트렌드가 소비가치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ourism Research」, 45(4): 705~727.
  42. 황주원.장성만(2022), "코로나 19 확산기 도시민의 활동감소와 민감도 변화: 서울시 생활인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4(1): 180~201. https://doi.org/10.46416/JKCIA.2022.04.24.1.180
  43. Seo, W. and B. von Rabenau (2011), "Spatial Impacts of Microneighborhood Physical Disorder on Property Resale Values in Columbus, Ohio", Journal of Urban Planning and Development, 137(3): 337~345. https://doi.org/10.1061/(ASCE)UP.1943-5444.00000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