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Housing and Household Background of Young People on the Implementation of Youth NEET

청년층의 주거와 가구배경이 청년니트 이행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3.05.26
  • Accepted : 2023.08.30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Using youth panel data, this study attempted to diagnose the effect of residential characteristics (housing type and housing type) and various household background variables on the implementation of youth NEET (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and to suggest appropriate policy direc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young individuals residing in unfavorable living conditions such as those who rent on a monthly basis or live in multi-household, villa, or officetel settings, had a higher likelihood of transitioning to NEET. Those who received financial support from their parents were more likely to transition to NEET. Therefore, comprehensive youth NEET support policies such as customized housing and job polic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NEET should be established. In particular, even though they have reached adulthood, it is shown that the likelihood of becoming NEET is very high for youth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parents without being economically independent or who receive financial assistance from their parents. In order to mitigate and prevent these young people from NEET transition, transitioning from school to the labor market should be facilitated with policy support.

본 연구에서는 청년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주거특성(주거형태 및 주택종류)과 다양한 가구배경 변인들이 청년니트(NEET:Not in Employment, Education or Training)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진단해 보고, 적절한 정책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주거환경이 전월세, 다가구, 빌라, 오피스텔인 청년층은 등 거주환경이 열악한 청년층의 경우 청년 니트로 이행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청년일수록 니트로 이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청년일수록 니트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된다. 그러므로, 청년 니트의 특성에 따른 맞춤형 주거 및 일자리 정책 등 종합적인 청년니트 지원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성인이 되었지만, 경제적 독립을 하지 못하고 부모와 동거하고 있는 청년층이거나 부모로부터 경제적 지원을 받는 청년일수록 니트 상태로 이행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들 청년층의 니트 이행을 완화하고 방지하기 위해서는 학교-노동시장 이행 과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해야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선강.어성연(2013), "30대 미혼남녀의 결혼의향에 대한 경제자원의 효과",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7(1): 63~79.
  2. 금재호.전용일.조준모(2007), 「한국형 니트(NEET)개념을 통한 한국형 청년실업의 경제학적 고찰」, 세종: 노동부.
  3. 김선주(2020), "1인가구의 연령대별 특성과 주거만족도", 「주택도시연구」, 10(1): 39~62.
  4. 김종욱(2017), "최근 청년층 니트 (NEET)의 특징과 변화", 「월간 노동리뷰」, 145: 97~110.
  5. 김혜영.선보영(2011), "여성의 만혼화와 결혼의향결정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 12(2): 3~25.
  6. 남기곤(2009), "청년층 미취업자 특성에 관한 분석 - 미취업 결정요인 및 낙인 효과를 중심으로", 「산업노동연구」, 15(2): 99~123.
  7. 남재량(2006), "청년 니트(NEET)의 실태와 결정요인 및 탈출요인 연구", 「제7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140~157.
  8. 남재량(2012), "고졸 NEET와 대졸 NEET", 「노동리뷰」, 85: 39~54.
  9. 남재량.김세움(2013), 「우리나라 청년 니트(NEET)의 특징 및 노동시장 성과연구」, 세종: 한국노동연구원.
  10. 노현주.김현태(2019), "한국 청년 니트(NEET)의 특성과 영향 요인 학력 수준별 비교 분석", 「공공사회연구」, 9(4): 73~105. https://doi.org/10.21286/jps.2019.11.9.4.73
  11. 문선희(2012),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 연령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7(3): 5~25.
  12. 박미선.이재춘(2018),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주택정책 대응 방안", 「국토정책브리프」, 세종: 국토연구원.
  13. 박미희.이봉주.노혜진.박호준(2018), "청년니트 지원사업의 초기 성과 분석: '희망플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9(3): 331~366. https://doi.org/10.14816/sky.2018.29.3.331
  14. 박주상(2021), "부산지역 대졸 니트(NEET)의 특성 및 결정요인 분석", 「인문사회과학연구」, 22(1): 607~636.
  15. 변수정.조성호.이지혜(2018), 「청년층의 주거특성과 결혼 간의 연관성 연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이금진.박재철(2017), "장애청년 니트(NEET)의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미래사회복지연구」, 8(1): 132~151.
  17. 이미숙.진형익.이예리(2022), "부산.울산.경남 지역의 청년 니트 현황과 경제적 비용 산정 연구", 「산업경제연구」, 35(4): 671~693.
  18. 이태진.김태완.정의철.최은영.임덕영.윤여선.최준영.우선희(2016), 「청년 빈곤 해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방안」,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이현정(2015a), "2012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청년 임차가구의 지역별 주거 실태 비교",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81~90.
  20. 이현정(2015b), "수도권 사회진출초기 임차자의 주거비 실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6(1): 71~79.
  21. 이현정.임태균(2022), "청년층 가구의 주거실태 변화에 관한 종단 분석", 「LHI Journal」, 13(2): 31~47.
  22. 정연순(2014),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본청년 니트 유형과 특성", 「고용이슈」, 3: 5~32.
  23. 진미정.정혜은(2010), "미혼남녀의 결혼 의향과 결혼희망연령에 대한 가족 가치관의 영향 추세 연구: 2005년, 2009년 전국 결혼 및 출산 동향조사 자료 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33(3): 31~51.
  24. 채창균.오호영.정재호.남기곤.김기헌(2008), 「유휴청년연구」,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황광훈(2021), "청년층의 유보임금 결정요인 및 시장 임금과의 격차 분석", 「노동복지연구」, 2(2): 57~82.
  26. 황광훈(2022), "수도권 및 비수도권 청년층의 주거특성 및 주거특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LHI Journal」, 13(3): 21~38.
  27. 황광훈(2023), "청년층의 주거 및 취업특성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LHI Journal」, 14(1): 1~16.
  28.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Youth Panel (YP2007) 10th-14th (2016-2020)". Accessed March 2, 2022. https://survey.keis.or.kr (in Korean)
  29. Feijten, P., C. H. Mulder, N. Kumar and A. MartinezCruz (2002), "The Timing of Household Events and Housing Events in The Netherlands: A Longitudinal Perspective", Housing Studies, 17(5): 773~792. https://doi.org/10.1080/0267303022000009808
  30. Lauster, N. T. and U. Fransson (2006), "Of Marriages and Mortgages: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Homeownership in Sweden", Housing Studies, 21(6): 909-927. https://doi.org/10.1080/02673030600917826
  31. OECD (2019), "Society at a Glance 2019", Paris, Fr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