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uccessful Science Classes' Components

성공적인 과학 수업 구성 요소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 Seongun Kim (Chungbuk Carbon Neutrality Support Center) ;
  • Sungman Lim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23.07.31
  • 심사 : 2023.08.30
  • 발행 : 2023.08.30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elements of successful science classes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For the study, 61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47 females, 14 males) were recruited as research participants. The data used in the study are mutual evaluation papers prepared during class performances by group and individual. The amount of data was a vast amount of qualitative data with a total of 150 pages, and the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by inductively categorizing this data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constituting a successful science class were analyzed into 7 categories (14 sub-categories, 33 sub-elements). The elements that make up a successful science class in detail were analyzed as science subject contents, class management, sel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organization of clas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understand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teaching situations, and class-related efforts. Second, it was possible to describe the practical classes of pre-service teachers by collecting the details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a successful science class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As seen i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elements of successful science classes recognized by pre-service teachers were identified, and based on this, pre-service teachers will be able to develop support for effective science class operation, and continuous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성공적인 과학수업의 특징과 구체적인 요소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초등예비교사 61명(여 47명, 남 14명)을 연구참여자로 모집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자료는 그룹별 및 개인별 수업실연 중 작성한 상호평가지이다. 자료의 양은 총 150페이지의 방대한 질적 자료였으며 이 자료를 질적 분석을 통해 귀납적 범주화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는 7개 범주(14개의 하위 범주, 33개의 하위 요소)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는 과학교과 내용, 수업운영, 교수학습방법 선정 및 수업내용 조직, 교수학습자료, 학생이해, 교수상황 이해, 수업관련 노력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예비교사들이 인식하는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구성하는 요소의 구체적인 내용을 수집하여 예비교사들의 실제적인 수업의 모습을 기술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예비교사가 인식하는 성공적인 과학수업의 특징과 구체적인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예비교사가 효과적인 과학수업운영을 위한 지원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대한 지속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숙희(2012). 모의수업 활동에 기반한 예비교사들의 '좋은 수업 '에 대한 인식 연구. 교육방법연구, 24(1), 209-228.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곽영순(2010). 멘토링 전후의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특징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31(4), 403-417.
  4. 곽영순(2011). 초등 과학수업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2(4), 422-434.
  5.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6. 김영순, 김효남, 신애경(2011). 반성적 사고를 강조한 수업장학이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092-1109.
  7. 김지수, 최애란, 양정은(2023).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467-494.
  8. 김찬종, 맹승호, 차현정, 오필석, 박영신(2006). 과학 교수활동에 대한 우선순위와 동기적 근접발달영역에 비추어 본 초임 과학 교사와 경력 교사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25-439.
  9. 노아름, 최혁준, 정선재(2020). 중등 예비교사의 좋은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자신의 수업에 대한 평가.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5, 37-52.
  10.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11. 문공주(2009).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PCK)의 구조와 형성과정 탐색: 근거이론에 의한 접근.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소경희, 김종훈(2010). 초등교사의 수업관련 실천적 지식의 작동 및 형성 과정에 대한 사례 연구. 교육학연구, 48(1), 133-155.
  13. 엄미리, 김명랑, 장선영, 박인우(2009). '좋은 수업'에 대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인식연구-지양해야 할 수업 형태와 관련하여-. 한국교육학연구, 15(1), 107-132.
  14. 오필석(2013). '좋은' 과학 수업에 관한 중등 과학 교사들의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3), 405-424.
  15. 오현지, 신동훈(2018). 초등학생들의 과학교과서 삽화와 텍스트 읽기 과정 분석-안구운동을 중심으로. 생물 교육, 46(2), 209-221.
  16.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17. 윤혜경, 정용재, 김미정, 박영신, 김병석(2012). 모의 수업 실행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 탐구 수업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31(3), 334-346.
  18. 이경학, 최은영, 한광래(2015).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수업 불안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69, 100-101.
  19. 이경호, 김홍빈, 이성은, 이은예(2021). 새로운 물리교수법 강의를 통한 예비물리교사들의 '좋은'과학수업 관련 인식의 변화.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30(1), 1-35.
  20. 이봉우(201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03-112.
  21.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 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22. 임성만(2017a).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교육실습을 통해 무엇을 느꼈을까?-대학 교육과정과 교육실습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38-49.
  23. 임성만(2017b).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은 '수업'에서 무엇을 보는가?-예비교사들의 수업 경험과 비평을 통해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99-213.
  24. 임재근, 양일호(2008). 초등 교사의 전문성 발달 과정 연구. 초등과학교육, 27(2), 93-101.
  25. 임찬빈, 이화진, 곽영순, 강대현, 박영석, 정유진(2004). 수업 평가 기준 개발 연구 (I): 일반기준 및 교과 (사회, 과학, 영어) 기준 개발. 연구보고 RRI, 2004-5.
  26. 전영석, 정하나(2017). 예비교사와 경력교사의 과학 수업 관점 비교. 초등과학교육, 36(1), 95-112.
  27. 정애란, 맹승호, 이선경, 김찬종(2007).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수업에 대한 관심 실행 영역과 반성적 사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93-906.
  28.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교사 교수내용지식 (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29. 최영, 이무상, 송명섭(2010). 중학교 과학교사들의 수업 실행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요구. 과학교육연구지, 34(2), 369-382.
  30. Abell, S. K. (2008). Twenty years later: Doe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emain a useful idea?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0(10), 1405-1416. https://doi.org/10.1080/09500690802187041
  31. Al-Amoush, S., Usak, M., Erdogan, M., Markic, S., & Eilks, I. (2013). Pre-service and in 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chemistry in Turkey. Europ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6 (4), 464-479.
  32. Anderson, C. W. (2004). Conceptual framework for knowledges analysis. Unpublished manuscript, Michigan State University.
  33. Ball, D. L., Lubienski, S. T., & Mewborn, D. S. (2001). Mathematics. In V. Richard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4th ed., pp. 433-456).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34. Brophy, J. E. (1999). Perspectives of classroom management: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In H. Freiberg (Ed.), Beyond behaviorism: Changing the classroom management paradigm (pp. 43-56). Boston: Allyn and Bacon.
  35. Cakmak, M., & Bulut, M. (2005).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about effective teaching and effective teachers. Mediterranean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10(1), 73-89.
  36. Conway, P. F., & Clark, C. (2003) The journey inward and outward: A re-examination of fuller's concerns-based model of teacher developme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5), 465-482.
  37. Fives, H., Lacatena, N., & Gerard, L. (2014). Teachers' beliefs about teaching (and learning). In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s' beliefs (pp. 249-265). Routledge.
  38. Hanrahan, L., & Tate, P. (2001). Accessing/assessing the development of beliefs and knowledge about effective teaching in prospective teachers: A practical inquiry.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2(4), 75-85.
  39. Koballa Jr, T., Graber, W., Coleman, D. C., & Kemp, A. C. (2000). Prospective gymnasium teachers' conceptions of chemistry learning and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2), 209-224.
  40. Koballa, T. R., Glynn, S. M., & Upson, L. (2005). Conceptions of teaching science held by novice teachers in an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6, 287-308.
  41. Kutnick, P., & Jules, V. (1993). Pupils' perceptions of a good teacher: A developmental perspective from Trinidad and Tobago.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3(3), 400-413.
  42. Lowery, N. V. (2002). Construction of teacher knowledge in context: Preparing elementary teachers to teach mathematics and science.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2), 68-83.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2.tb17896.x
  43. Minor, L. C., Onwuegbuzie, A. J., Witcher, A. E., & James, T. L. (2002).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and their perceptions of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6(2), 116-127.
  44.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 261-284.
  45. Rudduck, J., & Fielding, M. (2006). Student voice and the perils of popularity. Educational Review, 58(2), 219-231.
  46. Skamp, K., & Mueller, A. (2001). Student teachers' conceptions about effective primary science teaching: A longitudi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4), 331-351.
  47. Stipek, D. J., Givvin, K. B., Salmon, J. M., & MacGyvers, V. L. (2001).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related to mathematics instruction.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2), 213-226.
  48. Tsai, C. C. (2002). Nested epistemologies: Science teachers' beliefs of teaching, learning and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4(8), 771-783. https://doi.org/10.1080/09500690110049132
  49. Watzke, J. L. (2007). Longitudinal research on beginning teacher development: Complexity as a challenge to concerns-based stage theory.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1), 106-122. https://doi.org/10.1016/j.tate.2006.04.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