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2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금창민. (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 김명용, 전혜정. (2016). 노인의 정보기술 이용여부와 이용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71(1), 85-110.
- 김명용, 전혜정. (2017).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72(3), 343-370.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 김세진, 곽윤희, 남석인. (2020). 노인의 정보기기 이용유형에 대한 연구: 전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5(2), 217-254.
- 김양희. (2022). 노인의 사회적 접촉과 정보기기 활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전: 한남대학교 대학원.
- 김한솔, 김지수, 이기영. (2023). 노인의 디지털 활용이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8(1), 41-65.
- 박소영, 정순둘. (2019).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3), 179-214.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179
- 사공혜, 윤주영. (2018). 독거노인의 휴대폰 활용 정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8(3), 467-480.
-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 신경림, 김정선. (2003).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29-37.
- 엄사랑, 김수경, 김지원, 신혜리, 김영선. (2020).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40(3), 248-285. https://doi.org/10.15709/HSWR.2020.40.3.248
- 오지안, 유재원. (2018).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319-344. https://doi.org/10.24210/KAPM.2018.32.2.013
- 이미숙, 김희섭, 홍순구. (2015).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0(2), 125-131. https://doi.org/10.9723/JKSIIS.2015.20.2.125
- 이서연. (202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6), 307-322.
- 이윤정. (2012). 노인가구의 정보화 상태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5-232.
- 이윤정. (2013). 노인의 정보기기 접근 수준이 정신건강 영역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17-2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017
- 전진, 한송화. (2022) 노인의 정보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지역사회환경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7(4), 69-90. https://doi.org/10.21194/kjgsw.77.4.202212.69
- 전혜정, 김명용. (2014). 노년기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2, 187-211.
- 최윤형. 2018.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접촉빈도, 관계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1(2). 81-116.
- 통계청. 2022.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전망. 대전: 통계청.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황남희 외 5명. (2020).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세종: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 Cotten SR, Ford G, Ford S, Hale TM.(2012). Internet use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2), 496-499. https://doi.org/10.1016/j.chb.2011.10.021
- Reynolds, CF.(2008). Preventing Depression in Old Age:It's Tim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ics, 16(6), 433-434.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6c7b67
- Selwyn N, Gorard S, Furlong J, Madden L.(2003). Older adults'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veryday life. Ageing & Society, 23(5), 561-582. https://doi.org/10.1017/S0144686X03001302
- Smits F, Smits N, Schoevers R, Deeg D, Beekman, A, Cuijpers, P.(2008).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Depression Prevention in Old Ag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6), 444-453.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662ab6
-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