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Use Behavior and Discomfort of Information Devices on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노인의 정보기기 이용행태 및 이용불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 Sang Nam Jeon (Dept. of Public Health & Medical Administration, Dongyang University)
  • 전상남 (동양대학교 보건의료행정학과)
  • Received : 2023.07.24
  • Accepted : 2023.08.09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Older Adults by using the data of the elderly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n 2020. Methods: The total sample was 4,777 people aged over 65 years old. In this study, sociodemographic variables, information devices'use behavior and discomfort variables were input to examine the effect on depress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t2-test,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by SPSS statistic program. Results: First, use behavior and discomfort of information devic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sex, age, level of education, marital status). Secondly,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ge and level of education affected an influence on depression in Model 1, which analyzed only sociodemographic variables. However, Model 2, which analyzed devices' use behavior and discomfort variables at the same time, showed that they affected depression. Conclusions: It was suggested to develop customized health education and mental health promotion were needed to reduce depression in the elderly.

Keywords

References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2년 디지털정보격차실태조사.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2022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세종: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3. 금창민. (2013). 중고등학생의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과 정신건강문제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서울: 서울대학교 대학원.
  4. 김명용, 전혜정. (2016). 노인의 정보기술 이용여부와 이용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 연구, 71(1), 85-110. 
  5. 김명용, 전혜정. (2017). 노인의 스마트폰 이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활동 참여의 매개 효과. 노인복지연구, 72(3), 343-370.  https://doi.org/10.21194/KJGSW.72.3.201709.343
  6. 김세진, 곽윤희, 남석인. (2020). 노인의 정보기기 이용유형에 대한 연구: 전후기 노인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5(2), 217-254. 
  7. 김양희. (2022). 노인의 사회적 접촉과 정보기기 활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전: 한남대학교 대학원.
  8. 김한솔, 김지수, 이기영. (2023). 노인의 디지털 활용이 생활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참여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8(1), 41-65. 
  9. 박소영, 정순둘. (2019). 중고령자의 디지털정보접근성이 우울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정보활용 능력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9(3), 179-214.  https://doi.org/10.15709/HSWR.2019.39.3.179
  10. 사공혜, 윤주영. (2018). 독거노인의 휴대폰 활용 정도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8(3), 467-480. 
  11. 신학진. (2011). 노인의 사중고가 우울을 매개로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경로당 이용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1(3), 653-672. 
  12. 신경림, 김정선. (2003). 노인여성의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5(1), 29-37. 
  13. 엄사랑, 김수경, 김지원, 신혜리, 김영선. (2020).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보건사회연구, 40(3), 248-285.  https://doi.org/10.15709/HSWR.2020.40.3.248
  14. 오지안, 유재원. (2018). 노년층의 디지털 리터러시가 심리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공공관리학보, 32(2), 319-344.  https://doi.org/10.24210/KAPM.2018.32.2.013
  15. 이미숙, 김희섭, 홍순구. (2015). 실버세대의 정보 활용능력이 삶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0(2), 125-131.  https://doi.org/10.9723/JKSIIS.2015.20.2.125
  16. 이서연. (2021). 노인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망의 매개효과. 인문사회21, 12(6), 307-322. 
  17. 이윤정. (2012). 노인가구의 정보화 상태가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15-232. 
  18. 이윤정. (2013). 노인의 정보기기 접근 수준이 정신건강 영역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11(10), 17-29.  https://doi.org/10.14400/JDPM.2013.11.10.017
  19. 전진, 한송화. (2022) 노인의 정보기기 활용과 우울의 관계에 대한 지역사회환경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77(4), 69-90.  https://doi.org/10.21194/kjgsw.77.4.202212.69
  20. 전혜정, 김명용. (2014). 노년기 인터넷 이용이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2, 187-211. 
  21. 최윤형. 2018. 노인의 사회적 관계망의 크기, 접촉빈도, 관계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11(2). 81-116. 
  22. 통계청. 2022.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전망. 대전: 통계청.
  23.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4. 황남희 외 5명. (2020). 노년기 정보 활용 현황 및 디지털 소외 해소 방안 모색. 세종: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25. Cotten SR, Ford G, Ford S, Hale TM.(2012). Internet use and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8(2), 496-499.  https://doi.org/10.1016/j.chb.2011.10.021
  26. Reynolds, CF.(2008). Preventing Depression in Old Age:It's Tim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ics, 16(6), 433-434.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6c7b67
  27. Selwyn N, Gorard S, Furlong J, Madden L.(2003). Older adults'u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everyday life. Ageing & Society, 23(5), 561-582.  https://doi.org/10.1017/S0144686X03001302
  28. Smits F, Smits N, Schoevers R, Deeg D, Beekman, A, Cuijpers, P.(2008). An Epidemiological Approach to Depression Prevention in Old Ag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6(6), 444-453.  https://doi.org/10.1097/JGP.0b013e3181662ab6
  29. Yesavage JA, Brink TL, Rose TL, Lum O, Huang V, Adey M.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A prelimin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 37-49. https://doi.org/10.1016/0022-3956(82)900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