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hange Motivation Scale for Growth and Development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Lee Eun Joo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 Tak Jin kook (Department of Industrial Psychology, Kwangwoon University)
  • 이은주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 탁진국 (광운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Received : 2023.04.25
  • Accepted : 2023.04.25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In this study, change motiva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 is defined as 'the power to set a specific action direction for change based on the perception of one's current behavior in order to achieve a goal that one considers important, and to be willing to act'.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the motivation for change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general adults. To develop preliminary ques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7 coaching experts and 9 experienced coaches, and an open-end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55 adults. Afterwards, 7 factors and 83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three rounds of item classification and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and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21 general adults, and 42 items, 4 factors, were deriv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id Finally,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with 631 adult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construct concept of the change motivation scale and the validity of the criterion. Divided into two groups, 315 people in group 1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316 people in group 2 conduct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o verify the concept of change motivation scale.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Group 1, it was found that the 3 factor structure consisting of 31 items was appropriate, and as a result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Group 2, the goodness of fit of the modified model of the 3 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which motivated chang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scale was demonstr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with various variables for the analysis of converg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Motivation for Change scale, each of the three factors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most variables. Finally,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Change Motivation for Growth and Development)를 '자신의 현재 행동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목표 달성을 위해 기꺼이 행동하도록 하는 힘'으로 정의하고, 일반 성인들의 성장과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를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예비문항 개발을 위해 코칭 전문가 7명과 코칭 유경험자 9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일반 성인 55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후 3차례의 문항 분류 작업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7개 요인, 83개 문항을 선정하여, 일반 성인 321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요인 42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적으로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 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 검증을 위해 일반 성인 631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두 그룹으로 나누어 그룹1의 315명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그룹2의 316명은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을 검증하였다. 그룹1의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1개 문항으로 구성된 3개 요인 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룹2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구조의 수정모형 적합도가 양호하게 확인됨에 따라 성장 및 변화를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구성개념타당도가 입증되었다. 성장 및 발전을 위한 변화동기 척도의 수렴타당도와 준거관련타당도 분석을 위해 다양한 변인과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3개 각 요인은 대부분의 변인과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과 제한점, 미래 연구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일수, 서은영, 김혜균, 탁진국 (2018). 성장지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학국심리학회지: 일반, 37(1), 1-31.
  2. 곽미정 (2014). 노인의 자원봉사활동의 참여동기가 자기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제천시 노인복지관의 남성 및 여성 노인자원봉사자를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28(3), 85-107. https://doi.org/10.24210/KAPM.2014.28.3.004
  3. 김기년, 탁진국 (2018). 청소년의 삶의 만족증진을 위한 강점코칭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331-360.
  4. 김기승 (2019). 고령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0), 92-99. https://doi.org/10.5762/KAIS.2019.20.10.92
  5.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6. 김은정 (2016). 코칭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7. 김인규 (2004). 대학생의 상담준비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43-259.
  8. 김주호, 이병기 (2016). 자결성 이론에 근거한 생활체육 참여 동기가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지, 14(4), 103-118.
  9. 김진 (2017). 중년기 여성의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창대 (2009). 인간변화를 촉진하는 다섯 가지 조건에 관한 가설. 인간이해, 30(2), 21-43.
  11. 김태은, 김윤나, 정희정, 탁진국 (2016). 코칭준비도 척도개발 및 타당화. HRD연구, 18(3), 1-29. https://doi.org/10.18211/KJHRDQ.2016.18.3.001
  12. 김혜영, 이동귀 (2009). 직장인의 자기계발 동기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2), 261-293.
  13.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4. 선혜영, 김수연, 이미애, 탁진국 (2017). 강점코칭프로그램이 직장인의 강점자기효능감, 긍정정서, 자기효능감, 직무열의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0(2), 221-246.
  15. 송수진 (2003). 알코올중독 입원환자에 대한 변화동기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신성만, 김병진, 이도형, 박명준 (2015). 청소년용 인터넷 중독 변화동기척도(SOCRATES-I)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4), 803-819.
  17. 안체윤, 오미경 (2013). 성인용 자기성찰지능척도 개발 연구. 인간발달연구, 20(1), 51-78.
  18. 이강진, 김영희 (2018). 중년여성의 가족스트레스와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자기성찰지능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8(7), 695-715.
  19. 이규미 (2010). 내담자의 변화동기 관련 상담경험: 대상상담자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 인간이해, 31(2), 39-61.
  20. 이규미 (2010). 상담장면에서의 변화동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245-264.
  21. 이연희, 탁진국 (2017). 진로코칭프로그램이 잠재적 학업중단 위기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69-87. https://doi.org/10.51457/KJCP.2017.12.1.2.69
  22. 이정아, 탁진국 (2018). 성장마인드셋 코칭프로그램이 성장마인드셋, 학습목표지향성,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2(1), 1-27. https://doi.org/10.51457/KJCP.2018.06.2.1.1
  23. 이희경 (2017). 코칭심리학의 연구동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1), 1-26. https://doi.org/10.51457/KJCP.2017.06.1.1.1
  24. 장미화, 탁진국 (2017). 프랜차이즈 가맹점사업자의 경영성과, 코칭행동, 자기결정성 향상을 위한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2), 45-68. https://doi.org/10.51457/KJCP.2017.12.1.2.45
  25. 장성옥, 이평숙, 박은영 (2002). 노인의 운동실천단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연구. 한국간호과학지, 32(5), 609-623.
  26. 전영민 (2005).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 평가: 변화단계척도(SOCRATES) 개발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207-223.
  27. 전영민 (2018). 도박중독 변화동기척도(SOCRATES-G)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3(2), 447-474.
  28. 정재희, 탁진국 (2018). 중학생 대상 단계적변화모형 기반 학업지연행동극복 그룹코칭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3), 559-587.
  29. 조진숙, 탁진국 (2018). 긍정심리기반 의사소통향상 코칭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존중, 배려, 소통,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2(2), 45-62. https://doi.org/10.51457/KJCP.2018.12.2.2.45
  30. 최경화, 탁진국 (2017). 경력단절여성 대상 강점 중심 그룹코칭 프로그램이 자존감, 구직효능감,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1(1), 73-97. https://doi.org/10.51457/KJCP.2017.06.1.1.73
  31. 최상희 (2018).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의 경향 및 관계.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3(1), 55-71. https://doi.org/10.20926/ETPIYC.2018.3.1.3
  32. 최영임, 임정섭, 김교헌 (2013). 코칭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역기능적 진로사고와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429-454.
  33.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34. 탁진국, 임그린, 정재희 (2014). 행복증진을 위한 긍정심리기반 코칭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1), 139-166.
  35. 탁진국 (2019). 코칭심리학. 학지사.
  36. 허윤주 (2015). 확장된 계획행동이론(ETPB)을 적용한 문화자본이 문화예술관광 행동의 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내국인 해외관광객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황수영, 김성혁 (2018). 지역축제 관광동기에 따른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구치맥페스티벌 방문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3(7), 39-39.
  38. Ajzen, I. (1985). From intentions to actions: A theory of planned behavior.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11-39.
  39. Atkinson, J. W. (1964). An introduction to motivation. New York: D. Van Nostrand.
  40.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136-162.
  41. Cunningham, J. A., Sobell, L. C., Gavin, D. R., Sobell, M. B., & Bresline, F. C. (1997). Assessing Motivation for Change: Preliminary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cale Measuring the Costs and Benefits of Changing Alcohol or Drug Use.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11(2), 107-114. https://doi.org/10.1037/0893-164X.11.2.107
  42. Deci, E. L.&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Plenum Press.
  43. Eccles, J. (1983). Expectancies, values, and academic behavior. In J. Spence (Ed.),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W. H. Freeman and Company.
  44. Eccles, J. S. & Wigfield A. (1995) In the mind of actor: The structure of adolescent's achievement task values and expectancy-related beliefs. The Society for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1(3), 215-225. https://doi.org/10.1177/0146167295213003
  45. Fishbein, M., & Ajzen, I. (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 Addison-Wesley.
  46. Franken, R. E. (2009). 인간의 동기 제6판. (강갑원, 김정희 역). 시그마프레스.
  47. Grant, A. M. (2000). Coaching psychology comes of age. PsychNews, 4(4), 12-14.
  48. Grant, A. M. (2001). Towards a Psychology of Coaching. Coaching Psychology Unit School of Psychology, University of Sydney, 1-55.
  49. Grant, A. M. (2002). The self-reflection and insight scale: A new measure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30(8), 821-836. https://doi.org/10.2224/sbp.2002.30.8.821
  50. Heckhausen, J. (2007). The Motivation-Volition Divide and Its Resolution in Action-Phase Models of Developmental Regulation. Research in Human Development, 4(3-4), 163-180. https://doi.org/10.1080/15427600701662983
  51. Heilbrun, A. B. & Sullivan, D. J. (1962). The prediction of counseling readiness. Personnel guidance Journal, 41(2), 112-117. https://doi.org/10.1002/j.2164-4918.1962.tb02253.x
  52. Howard, Nance, & Myers (1987). Adaptive counseling and therapy: A systemic approach to selecting effective treatments. SF: Jossey-Bass.
  53. Kelly, R. B., Zyzanski, S. J., & Alemagno, S. A. (1991). Prediction of motivation and behavior change following health promotion: Role of health belief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Social Science & Medicine, 32(3), 311-320. https://doi.org/10.1016/0277-9536(91)90109-P
  54. Lam, T., & Hsu, Cathy H. C. (2006). Predicting behavioral intention of choosing a travel destination. Tourism Management, 27(4), 589-599. https://doi.org/10.1016/j.tourman.2005.02.003
  55. Li, M., & Cai, L. A. (2012). The effects of personal values on travel motiva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Travel Research, 51(4), 473-487. https://doi.org/10.1177/0047287511418366
  56. Locke, E. A., & Latham, G. P. (1990). A theory of goal setting & task performance. Englewood Cliffs, NJ, US: Prentice-Hall, Inc.
  57. McConnaughy, E. A., Prochaska, J. O., & Velicer, W. F. (1983). Stages of change in psychotherapy: Measurement and sample profiles.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 Practice, 20(3), 368-375. https://doi.org/10.1037/h0090198
  58. Miller, W. R., & Rollnick, S. (2002). 동기강화상담: 변화 준비시키기. (신성만, 권정옥, 손명자 역). 시그마프레스.
  59. Miller, W. R., & Tonigan, J. S. (1997). Assessing drinkers' motivation for change: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0. Passmore. J, Stopforth. M, & Yi-Ling Lai. (2018), Defining coaching psychology: Debating coaching and coaching psychology definitions. The Coaching Psychologist, 14(2), 120-123. https://doi.org/10.53841/bpstcp.2018.14.2.120
  61. Prochaska, J. O., DiClemente, C. C., & Norcross, J. C. (1992). In search of how people change: applications to addictive behaviors. American Psychologist, 47(9), 1102-1114. https://doi.org/10.1037/0003-066X.47.9.1102
  62.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https://doi.org/10.1037/0022-3514.57.6.1069
  63.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4), 719-727. https://doi.org/10.1037/0022-3514.69.4.719
  64. Saunders, B., & Wilkinson, C. (1990). Motivation and addiction behaviour: A psychological perspective. Drug and Alcohol Review, 9(2), 133-142. https://doi.org/10.1080/09595239000185191
  65. Schmutte, P. S. & Ryff, D. C. (1997). Personality and well-being: Reexamining method and meaning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3), 549-559. https://doi.org/10.1037/0022-3514.73.3.549
  66. Wigfield A. & Eccles, J. S. (2000). Expectancy-value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5(1), 68-81. https://doi.org/10.1006/ceps.1999.1015
  67. Wigfield A. & Eccles, J. S. (2002). Motivational beliefs, values, and goal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109-132.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53.100901.135153
  68. European Mentoring and Coaching Council. www.emccouncil.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