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우리나라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핵심요소와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echnology Assessment Factors and Direction of Progress for New Technologies in South Korea

  • 황보원주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
  • 박영일 (이화여자대학교 신산업융합대학 융합콘텐츠학과)
  • 투고 : 2022.12.15
  • 심사 : 2023.05.29
  • 발행 : 2023.05.31

초록

신기술에 대한 투자규모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과학기술이 사회 전반적으로 대규모·복합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부는 새로운 신기술이 사회에 수용되려면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큰 만큼 기술이 국민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잘 평가할 의무가 있다. 이를 위한 사회적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기술영향평가를 한다. 이를 위한 방법에 대한 연구가 50년째 지속되고 있고, 다양한 학술연구와 수많은 신기술 대응 정책을 통해 논의 된 이후 시대적 변화와 흐름이 있었기에 글로벌 학계와 정책에서 신기술의 미래사회 영향력에 대한 다각적 분석 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선진국의 기술영향평가 창안 방식과 우리나라에서 발전된 방식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신기술 기술영향평가 고려되어야 하는 예측요소와 단계 등 연구 변화에 주목하였다. 연구결과 인식도에 대해 기술 이해도, 전문성, 성별특성 세 개 요소를 도출하고, 기존 요소에 추가해 신기술 예측요소로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과학기술기본법에 의거 개선된 기술영향평가를 실시하는데 있어 학술 및 정책적 뒷받침하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Investments in new technologies have grown significantly in size, and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 large and complex impact on society at large. With people's great interest in technology, the government has the duty to accurately assess the influence of new technologies on society to facilitate their acceptance in society. For this purpose, technology impact assessment should be performed to facilitate a social consensus. There has been research on the initial methods of technology assessment for 50 years. Following various academic studies and discussions based on numerous new technology response policies, coupled with the examination of trends and changes over time, academia and policymakers around the world have paid attention to the multilateral analysis of the impact of new technologies on future society.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changes such as the stage of forecasting factors that should consider the technology assessment of new technologies, despite differences between the development methods for the assessment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South Korea. The analysis yielded three factors of technological understanding of awareness, professionalism, and gende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a previously identified factor. The three factors are then suggested as forecasting factors for new technolo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both academic and policy evidence for technology assessment based on the country's Framework 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환석(1998), "과학기술 민주화에 대한 사회학적 시론",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pp. 352-362.
  2. 권성훈. (2014). 기술영향평가제도의 현황과 개선과제. 국회입법조사처.
  3. 김인재. (1985). 確率的 시스템 다이나믹스를 이용한 개인용 컴퓨터의 技術長期評價=Technology assessment of personal computer using probablistic system dynamics. 한국과학기술원.
  4. 김인호. (1999A). 체계적 기술영향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 김인호. (1999B).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김환석, 이영희. (1994). 선진국의 기술영향평가 제도. 정책연구, 1-140.
  7. 류영수, 최병대. (2007).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분석. 한국행정학보, 41(3), 345-372.
  8. 류영수 (2007). 기술영향평가의 메타평가 모형개발 및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영일. (1996). 국가 대형연구개발사업의 기획 및 수행 평가에 관한 연구: 선도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원 박사학위 논문.
  10. 박용태. (2001). 첨단기술의 기술가치 평가방법론에 대한 연구.
  11. 박정훈, & 한익현. (2022). 과학기술 혁신의 윤리적 책임과 사회적 영향 평가: 미국 국립과학재단 BIC 및 유럽연합 RRI 사례연구. 행정논총, 60(4), 1-29. 10.24145/KJPA.60.4.1
  12. 박헌미. (2009). 기술 교육 전문가들의 인식에 기초한 기술영향평가 도구 개발.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박희제, 성지은. (2015).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과학을 향하여: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RRI)의 현 황과 함의. 과학기술학연구, 15(2), 99-133. https://doi.org/10.22989/JSTS.2015.15.2.004
  14. 박희제, 성지은. (2018). 사회에 책임지는 연구혁신 (RRI) 연구의 배경과 동향. 과학기술학연구, 18(3), 101-151. https://doi.org/10.22989/JSTS.2018.18.3.003
  15. 서지영.(2019).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쟁점, 그리고 나아갈 방향. 과학기술정책, 2(2),79-105.
  16. 설성수. (2000). 기술가치평가의 개념적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3(2),1-13.
  17. 송위진. (2003). 과학기술관련 의사결정구조의 변화. 기술혁신학회지, 6(2), 159-174.
  18.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웹사이트. http://ec.europa.eu/research/science-society/, 2018. 3. 6.
  19. 염재호. (2000). 우리나라 기술영향 평가제도의 방향. 과학기술정책, (122), 57-65.
  20. 이영희. (2007). 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 경제와 사회, 246-268.
  21. 이정환. (2004). 사회영향평가 제도화 방안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127-169.
  22. 이혜숙 외. (2018). 과학기술 젠더혁신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한국여성과학총연합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3. 최양희. (2016). 2011기술영향평가: 뇌로 움직이는 미래 세상. 미래창조과학부.
  24.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18). 국민생활과학기술포럼. 포용사회를 위한 영향평가제도의 재설계.
  25. 한민규, 강지민. (2011).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 선정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기술혁신연구, 19(1), 55-78.
  26. 한민규, 김병수, 한종민, 안현주. (2011). 기술영향평가 대상기술 선정 지표 도출 및 시민-전문가 평가 간 연계 강화를 위한 실증연구(방사선조사식품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7. Arnstein, S. R. (1977), Technology assessment: Opportunities and obstacle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7(8), 571-582. https://doi.org/10.1109/TSMC.1977.4309782
  28. Banta, D. (2003). The development of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Health policy, 63(2), 121-132. https://doi.org/10.1016/S0168-8510(02)00059-3
  29. Bechmann, G. (1993). Democratic func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in technology policy decision-making. Science and Public Policy, 20(1), 11-16. https://doi.org/10.1093/spp/20.1.11
  30. Bijker, W. E. and Law, J. (1992). Shaping Technology/Building Society : Studies in Sociotechnical Change. MIT Press, Cambridge, Mass.
  31. Bostrom, N. (2013). Existential risk prevention as global priority. Global Policy, 4(1), 15-31. https://doi.org/10.1111/1758-5899.12002
  32. Calderhead, V. (1997). The Information Revolution: Impact on Science and Technology.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Computer Sciences, 37(3), 625-626. https://doi.org/10.1021/ci9703866
  33. Braun, Ernest.(1998), Technology in Context: Technology Assessment for Managers, London and New York Press.
  34. Chen, K. (1979).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echnology assess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13(3), 213-233. https://doi.org/10.1016/0040-1625(79)90046-5
  35. Coates, J. F. (1976A). Technology-assessment-tool kit. Chemtech, 6(6), 372-383.
  36. Coates, J. F. (2001). A 21st century agenda for technology assessment.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67, 303-308. https://doi.org/10.1016/S0040-1625(01)00135-4
  37. Daim, T. U., & Intarode, N. (2009). A framework for technology assessment: Case of a Thai building material manufacturer. Energ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13(4), 280-286. https://doi.org/10.1016/j.esd.2009.10.006
  38. Emmanuel G.. Mesthene. (1970). Technological change: its impact on man and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39. European Commission, H2020 Programme Guidance on Gender Equality in Horizon 2020. http://eige.europa.eu/sites/default/files/h2020-hi-guide-gender_en.pdf, 2018. 3. 6.
  40. Goodhue, D. L, & Thompson, R. L. (1995). Task-technology fit and individual performance. MIS quarterly, 213-236.
  41. Jones, M. V. (1971). A technology assessment methodology-Some Basic Propositions. Mitre Corp., Washington Operations.
  42. Jones, M. V. (1972). Generating social impact scenarios, a key step in making technology assessment studies.
  43. Porter, A. L. (1995). Technology assessment. Impact assessment, 13(2), 135-151. https://doi.org/10.1080/07349165.1995.9726087
  44. Porter, A. L., Rossini, F. A., Carpenter, S. R., Roper, A. T., Larson, R. W., & Tiller, J. S. (1980). Guidebook for technology assessment and impact analysis. North Holland, New York.
  45. Smits, R., & Leyten, J. (1988). Key issues i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echnology assessm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assessment in five European countries and the USA. Futures, 20(1), 19-36. https://doi.org/10.1016/0016-3287(88)90039-0
  46. Smits, R., Leyten, J., & Den Hertog, P. (1995). Technology assessment and technology policy in Europe: new concepts, new goals, new infrastructures. Policy sciences, 28(3), 271-299. https://doi.org/10.1007/BF01000290
  47. Tagg, J. (2007). Learning outcomes and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On the Horizon, 15(2), 89-98. https://doi.org/10.1108/10748120710757325
  48. UNESCO. (1973). International Social Science Journal. 25(3).
  49. A.L. Porter, J.D. Roessner, X.-Y. Jin, N.C. Newman(2002), Measuring national emerging technology capabilities, Sci. Public Policy, 29 (3), pp. 189-200. https://doi.org/10.3152/147154302781781001
  50. W. Boon, E. Moors(2008), Exploring emerging technologies using metaphors: a study of orphan drugs and pharmacogenomics, Soc. Sci. Med., 66 (9), pp. 1915-192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8.01.012
  51. H. Small, K.W. Boyack, R. Klavans(2014), Identifying emerging topic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Policy, 48 (8), pp. 1450-1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