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obility Change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Outbreak of the COVID-19 Pandemic

COVID-19 발생 전·후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 분석

  • Received : 2023.04.11
  • Accepted : 2023.08.09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utilization rat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outbreak served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the values and function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for urban resident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how citizens' movement and the use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changed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examine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ed these changes. As a research method, first, people's mobility around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were compared using signal data from telecommunication carriers. Through the analysis of changes in residence time and movement volume, the movement characteristics of citizens after COVID-19 and changes in walking-based park visits were examined. Second, the factors affecting the mobility change in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ere analyzed. The soci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that affect citizens'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efore and after COVID-19 were examined through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ubsequently, through cluster analysis, the types of living areas for the post-COVID era were class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pply and management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services, and directions for improv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y type were presented. Major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ctivities within 500m of the residence have increased. The amount of stay and walking movement increased in both 2020 and 2021, which means that the need to review the quantitative standards and attraction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has increased considering the changed scope of the walking and living area. Second, the overall number of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by walking has increased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e number of visits to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centered on the house and the workplace increased significantly. The park green policy in the post-COVID era should be promoted by discovering underprivileged areas, focusing on areas where residential, commercial, and business facilities are concentrated, and improv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ervice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term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ark green service, the higher the amount of walking movement. It is necessary to use indicators that contribute to improving citizens' actual park green services, such as walking accessibility, rather than looking at the criteria for securing green areas. Fourth,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five types of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were derived in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socioeconomic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living areas and the level of park green services required in future park green policies. This study has academic and policy significance in that it has laid the basis for establishing neighborhood parks and green spaces policy in response to the post-COVID era by using various analysis methodologies such as carrier signal data analysis, GIS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팬데믹 기간 동안 도시민의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률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COVID-19의 발생은 도시민들에게 생활권 공원녹지의 가치와 기능을 부각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이동 및 생활권 공원녹지 이용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실증 분석하고, 이러한 변화에 영향을 미친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방법으로는 첫째,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를 분석하였다. 체류시간 및 이동량 변화 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이후 나타난 시민들의 이동 특성과 보행 기반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 변화를 살펴보았다. 둘째, 생활권 공원녹지 모빌리티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COVID-19 발생 전·후 시민들의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공간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후 군집분석을 통해 생활권 공원녹지 서비스의 공급 및 관리 관점에서 포스트 코로나 대응을 위한 생활권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생활권 공원녹지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OVID-19 발생 이후 거주지 주변 500m 이내에서의 활동이 증가하였다. 도보생활권에서의 체류시간과 보행 이동량은 2020년과 2021년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는 변화한 도보생활권의 범위를 고려해 공원녹지의 양적 확보 기준과 유치거리 등을 재검토할 필요성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둘째, 보행을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이 COVID-19 발생 이후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다. 집을 중심으로 한 생활권 공원녹지 방문량뿐만 아니라 직장을 중심으로 한 방문량 역시 크게 증가하였다. 팬데믹 시대의 공원녹지 정책은 주거지와 상업·업무시설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서비스 소외지역을 발굴하고, 해당 지역의 공원녹지 서비스를 양적·질적으로 개선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이 높은 지역일수록 보행을 통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녹지의 확보 기준을 단순 면적으로 볼 것이 아니라 보행 접근성 등 시민들의 실제 공원녹지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는 지표를 활용할 필요가 있겠다. 넷째, 군집분석 결과 팬데믹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의 개선 유형이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다. 이는 앞으로의 공원녹지 정책에서 소규모 생활권 단위의 사회경제적 지위 특성, 공원녹지 서비스 수준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통신사 시그널 데이터 분석, GIS 분석, 통계분석 등 다각적인 분석 방법론을 활용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한 생활권 공원녹지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했다는 학술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축공간연구원(2020) COVID-19 발생 전.후 세종시민의 공간 이용행태 변화.
  2. 고영호, 한승연, 김영지, 김명연, 오성훈, 김경래, 이윤경, 황남희, 진화영, 임리사, 김재열(2020) 포용적 고령친화 실현을 위한 고령자 복지정책의 공간적 개선 방안.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3. 국토교통부(2020) 2020 국토모니터링 보고서.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4. 김용국, 조상규(2019) 포용적 근린재생을 위한 공원 정책 개선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5. 김원주, 신상희(2007) 시민참여를 통한 생활권 공원녹지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6. 
  6. 김인희(2020) 탄력적 도시회복을 위한 인프라 구축방안. 서울연구원 정책 토론회(2020.05.12.). 
  7. 김효정, 김윤영, 윤희정, 윤주(2007) 도시생활권내 옥외여가공간 활용사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 
  8. 박문호, 정석, 양진희, 강미자, 김혜경(1996) 도시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 
  9.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2006) 역사주거지구의 소규모 생활권단위 추정방법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2(9): 223-231. 
  10. 박소현, 최이명, 서한림(2008) 도시 주거지의 물리적 보행환경요소 지표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2(9): 223-231. 
  11. 백혜선, 황규홍, 권혁삼, 정경일, 서수정, 정화진, 배웅규(2006) 한국 주거지 계획에 적용된 도시설계 개념 고찰: 생활권 계획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원: 34. 
  12. 안승홍(2013) 생활공원정비 5개년 계획 수립용역. 국토교통부.
  13. 유병림(1996) 도시 속의 소공원-도시소공원의 개념 및 기능. 도시문제 31: 9. 
  14. 윤정미, 서경천(2009) 충청남도 중소도시 쇠퇴특성 분석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5. 윤주(2009) 생활권 공공공간에서의 여가활동 활성화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6. 이상민, 엄운진(2011)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 방안 및 매뉴얼 개발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18. 
  17. 임재빈, 양지청, 정창무(2010) 대중교통체계의 변화가 고령자의 이동성 변화에 미친 영향. 국토계획 45(5): 183. 
  18. 장요한, 이영주, 박정환(2020) 빅데이터로 살펴본 코로나 19의 기록. 국토연구원.
  19. 장진영, 최성택, 이향숙, 김수재, 추상호(2015) 토지이용유형별 보행량 영향 요인 비교.분석. 한국 ITS 학회 논문집 14(2): 39-53. 
  20. 정병화, 김준우(2019) 지역별 정책제시를 위한 자기조직화지도 기반의 군집분석과 평가. 대한지리학회지 54(3): 387-404. 
  21. 최이명(2013) 근린지역 내 동네형태특성과 보행생활권 형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22. (주)카카오모빌리티(2020) 카카오모빌리티 리포트, 코로나19특집.
  23. de Palma, A., S. Vosough and F. Liao(2022) An overview of effects of COVID-19 on mobility and lifestyle: 18 months since the outbreak. Transportation Research Part A: Policy and Practice. 
  24. Gehl, J.(2020). Public Space and Public Life during Covid 19. 
  25. Handy, S., X. Cao and P. L. Mokhtarian(2006) Self-sele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walking: Empirical evidence from Northern California.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55-74.  https://doi.org/10.1080/01944360608976724
  26. Honey-Roses, J., I. Anguelovski, V. K. Chireh, C. Daher, C. Konijnendijk van den Bosch, J. S. Litt, V. Mawani, M. K. McCall, A. Orellana, E. Oscilowicz, U. Sanchez, M. Senbel, X. Tan, E. Villagomez, O. Zapata and M. J. Nieuwenhuijsen(2021) The impact of COVID-19 on public space: An early review of the emerging questions-design. Perceptions and inequities. Cities & Health 5(sup1): S263-S279.  https://doi.org/10.1080/23748834.2020.1780074
  27. Johnson, T. F., L. A. Hordley, M. P. Greenwell and L. C. Evans(2020) Effect of Park Use and Landscape Structure on COVID-19 Transmission Rates. MedRxiv. 2020-10. 
  28. Klos-Adamkiewicz, Z. and P. Gutowski(2022) The outbreak of COVID-19 pandemic in relation to sense of safety and mobility changes in public transport using the example of Warsaw. Sustainability 14(3): 1780. 
  29. Matthew, R. A. and B. McDonald(2006) Cities under siege: Urban planning and the threat of infectious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2(1): 109-117.  https://doi.org/10.1080/01944360608976728
  30. Menendez E. P. and E. Higueras Garcia(2020) Urban sustainability versus the impact of Covid-19. The Planning Review 56(4): 64-81.  https://doi.org/10.1080/02513625.2020.1906059
  31. MHCLG(2020) Coronavirus (COVID-19): Safer Public Places - Urban Centres and Green Spaces.v.5.8. 
  32. NACTO(2020) Streets for Pandemic Response & Recovery. 
  33. Pullano, G., E. Valdano, N. Scarpa, S. Rubrichi and V. Colizza(2020) Evaluating the effect of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factors, and risk aversion on mobility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 France under lockdown: A population-based study. The Lancet Digital Health 2(12): e638-e649.  https://doi.org/10.1016/S2589-7500(20)30243-0
  34. Ugolini, F., L. Massetti, P. Calaza-Martinez, P. Carinanos, C. Dobbs, S. K. Ostoic, A. M. Marin, D. Pearlmutter, H. Saaroni, I. Sauliene, M. Simoneti, A. Verlic, D. Vuletic and G. Sanesi(2020) Effects of the COVID-19 pandemic on the use and perceptions of urban green space: An international exploratory stud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56: 126888. 
  35. Venter, Z. S., D. N. Barton, V. Gundersen, H. Figari and M. Nowell(2020) Urban nature in a time of crisis: Recreational use of green space increases during the COVID-19 outbreak in Oslo, Norwa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15(10): 104075. 
  36. Yip, T. L., Y. Huang and C. Liang(2021) Built environment and the metropolitan pandemic: Analysis of the COVID-19 spread in Hong Kong. Building and Environment 188: 1-17.  https://doi.org/10.1016/j.buildenv.2020.107471
  37. https://www.google.com/covid19/mo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