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10. 12).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https://www.kucss.or.kr/bbs/data/53239에서 2022년 8월 20일 인출
- 김민정, 조형숙, 김대욱 (2014).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에서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학회지, 34(4), 139-161.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4.007
- 김성현 (2020). 융합기반 유아 공학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한국보육학회지, 20(4), 41-63. https://doi.org/10.21213/kjcec.2020.20.4.41
- 김소향 (2011). 사전설계, 사진,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블록놀이가 유아의 추론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9, 191-211.
- 김영채 (1999).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 김은정, 이정욱 (2009). 문제해결에 기초한 유아 기하활동 구성 및 적용효과. 유아교육연구, 29(121), 31-56. https://doi.org/10.18023/KJECE.2009.29.1.002
- 김정희, 정정희 (2018). STEAM 기반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영향. 사고개발, 14(4), 41-68. https://doi.org/10.51636/JOTD.2018.12.14.4.41
- 김지현 (2012). 역할놀이를 활용한 프로젝트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가정과삶의질연구, 30(6), 115-127. https://doi.org/10.7466/JKHMA.2012.30.6.115
- 김창복 (1998). 동반자적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의한 활동중심 학습이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아동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김태주, 신나리 (2013). 통합적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289-307.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289
- 김희경 (2022). 유아공학교육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배미경, 황혜정 (2012).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5), 157-177.
- 안효빈 (2019).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적용한 음악적 창의․융합 역량의 함양: 5~6학년을 대상으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유광재, 김지현(2021). '얼음'프로젝트가 유아의 과학적 능력, 수학적 능력,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1), 41-63.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1.041
- 이경민 (2001).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21(4), 261-283.
- 이경화 (2019).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성격과 그 실천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 탐색. 어린이교육비평, 9(2), 7-33. https://doi.org/10.26834/kscice.2019.9.2.5
- 이수기, 윤은경 (2016). STEAM(융합인재교육) 활동이 유아의 과학과정기술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5), 746-759. https://doi.org/10.5392/JKCA.2016.16.05.746
- 이수기 (2019). 유아를 위한 공학중심 융합인재교육(E-STEAM)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11), 211-225. https://doi.org/10.5392/JKCA.2019.19.11.211
- 이정헌 (2012). STEAM 교육 적용 수업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미경 (2016). STEAM(융합) 교육을 활용한 수 교육이 유아의 수학적 소양에 미치는 효과. 총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정진현, 김춘화 (2014). 유치원 창의적 공학기술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교육, 25(4), 201-214. https://doi.org/10.20972/kjee.25.4.201412.201
- 조경미, 이연승 (2018). 메이커 교육(Maker Education)에 기반을 둔 유아과학교육 프로그램 개발및 효과. 유아교육연구, 38(1), 341-366. https://doi.org/10.18023/kjece.2018.38.1.014
- 조미정, 안진경 (2009). 콩을 주제로 한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3), 631-639. https://doi.org/10.5934/KJHE.2009.18.3.631
- 조홍자 (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조홍자, 김영옥 (2015). 유아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20(6), 119-154.
- 주현정, 조형숙 (2020). 유아를 위한 모래놀이 연계 A-STEAM 교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과학적 탐구능력,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24(2), 171-199. https://doi.org/10.32349/ECERR.2020.4.24.2.171
- 최수현 (2020). 재료 탐색에 기초한 메이커 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혜경 (2017).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유아공학교육의 적용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37(4), 157-183.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4.007
- 홍혜경, 안유경 (2017). 유아의 쌓기 활동에 나타난 공학적 사고와 공학설계 과정. 유아교육연구, 37(2), 5-31. https://doi.org/10.18023/kjece.2017.37.2.001
- 황정숙 (1996). 유아 수학교육의 효과적 지도: 구체물 조작에 의한 활동중심과 학습지에 의한 교사중심 교수방법의 비교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Baroody, A. J., & Coslick, R.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Lawrence Ealbaum Associates.
- Katehi, L., Pearson, G., & Feder, M. (2009).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National Academies Press.
- Katz, L. G., & Chard, S. C. (1993). The Project Approach. In J. L. Roopnarine & J. E. Johnson (Eds.),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2nd ed. (pp. 209-222). Merrill.
- Martin, D. J. (1999). Elementary science methods: A constructivist approach (2nd ed.). Wadsworth Publishing.
-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 Norton, M. I., Mochon, D., & Ariely, D. (2012). The IKEA effect: When labor leads to love. Journal of Consumer Psychology, 22(3), 453-460. https://doi.org/10.1016/j.jcps.2011.08.002
- Stone-MacDonald, A., Wendell, K., Douglass, A., & Love, M. L. (2015). Engaging young engineers Teaching problem-solving skills through STEM. Paul H. Brookes Publishing.
- Torrance, E. P. (1963). Toward the more human edu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7(4), 135-145. https://doi.org/10.1177/001698626300700401
- Torrance, E. P. (1990).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norms-technical manual figural (streamlined) forms A & B. Scholastic Testing Service.
- Urban, K. K. (1991). O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n children. Creativity Research Journal, 4(2), 177-191. https://doi.org/10.1080/10400419109534384
- Ward, C. S. (1993). Developmental versus academic mathematics education: Effect on problem-solving performance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in kindergarten children [Doctoral Dissertation]. Vanderbilt University.
- Yakman, G. (2008).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Pupil's Attitudes Towards Technology (PATT-19) Conference: Research on Technology, Innovation, Design & Engineering Teaching. Salt Lake City, Uta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