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년농업인의 직무스트레스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근로시간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Quality of Life of Y oung Farmers - Moderating Effects of Work Hours -

  • 최정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최윤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손주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 박용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Jung Shin Cho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 Yoon Ji Choi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 Joo Lee S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 Yong Kyu Park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투고 : 2023.06.09
  • 심사 : 2023.06.23
  • 발행 : 2023.06.30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work hours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of young farmers. A survey was conducted on 618 young farmers for one month from July 1, 2022.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quality of life and work hou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and job stress and work hou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Second, work hours were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Third,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area of significance of work hours, it was found that work hours played a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job stress when work hours were longer than 1.327 hours. Fourth, as a result of visualizing the moderating effect by dividing work hours into three groups: high, medium, and low, it was found that even if the level of job stress was the same, the farmers with long work hours perceived their quality of life to be worse than those with shorter work hours.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for young farmers to settle down and live stably i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as professionals, it is very important to actively develop and support policie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that can secure time to enjoy culture and leisure and relieve job stress.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과학기술 연구개발사업(과제번호: PJ01673202)의 지원에 의해 이루어진 것임

참고문헌

  1. 강민정, 이서현, & 임희정. (2017). 일.가정 양립 확산을 위한 기업문화 진단 지표 개발 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 고용노동부 e-고용노동지표. (2023.5.15). 고용률. eboard.moel.go.kr
  3. 국가법령정보센터. (2023.5.15). 근로기준법. https://www.law.go.kr
  4. 권용선. (2018). 임상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질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4), 783-797. doi:10.2225/jlcci.2018.18.24.783
  5. 김경래. (2011). 한국 여성농업인의 건강관련체력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지, 50(3), 523-531.
  6. 김경희, & 민재한. (2022). 치유관광객의 여가활동 특성, 스트레스, 삶의 질의 관계. 농촌지도와 개발, 29(3), 143-153. doi:10.12653/jecd.2022.29.3.0143
  7. 김광석, 박종, 박부연, 김성길, & 황은영, (2014). 소방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3), 223-231. doi:10.5392/JKCA.2014.14.03.223
  8. 김광숙. (2003). 생산직 기혼여성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관련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7(2), 212-223.
  9. 김명희. (2015). 농업인의 근골격계 증상의 통증 정도와 삶의 질의 관계.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5(3), 75-82. doi:10.35873/ajmahs.2015.5.3.008
  10. 김선미, & 김은하. (2015). 산재근로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6(4), 389-411. doi:10.16881/jss.2015.10.26.4.389
  11. 김수인. (2000). 산업재해 환자의 삶의 질, 자살사고 및 우울증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원, & 김연옥. (2019). 제조업 근로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울산 지역 자동차 하청업체 제조업 근로자를 중심으로.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8(2), 94-103. doi:10.5807/kjohn.2019.28.2.94
  13. 김현우, & 홍남수. (2022).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3(1), 208-219. doi:10.5762/KAIS.2022.23.1.208
  14. 김현주. (2012). 장시간 노동의 건강영향과 건강관리. 대한토목학회지, 60(7), 120-122.
  15. 김혜지, & 지정훈. (2019). 미용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시민행동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지, 15(3), 305-313. doi:10.15810/jic.2019.15.3.009
  16. 남희수. (2013).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20(1), 41-69. doi:10.0000/jecd/2013.20.1.0041
  17. 남희수, 진봉희, & 이정임. (2022). 농촌거주 노인의 죽음불안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9(2), 81-98. doi:10.12653/jecd.2022.29.2.0081
  18.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 김동기. (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의 개발. 정신신경의학, 39(3), 571-579.
  19. 박우영, & 이남희. (2013). 12주간의 규칙적인 운동이 농업인의 기능체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51, 589-597. doi:10.51979/KSSLS.2013.02.51.589
  20. 박은희, & 김혜숙. (2017). 근로자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1), 581-589. doi:10.14400/JDC.2017.15.11.581
  21. 박지혜, & 조미숙. (2009). 일부 지역 치과위생사들의 삶의 질과 직업만족도.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4(1), 63-71.
  22. 박현환, 주효진, & 정솔. (2021). 사회과학 학문분야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연구경향분석: 한국연구재단 우수 및 등재지 게재논문(2017년-2021년)을 대상으로. 지방정부연구, 25(2), 275-303. doi:10.20484/klog.25.2.12
  23. 박혜주, 김윤영, 박기현, 이시우, & 유종향. (2014). 연구직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따른 피로, 삶의 질의 관계.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3(3), 171-179. doi:10.5807/kjohn.2014.23.3.171
  24. 신경아. (2009). 일-삶의 균형(work-life balance)과 노동시간.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6, 176-212.
  25. 신나영. (2007). 산업재해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신용우, & 조영일. (2019). 근로시간이 줄면 삶의 질은 좋아질까: 직무만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사회과학연구, 45(3), 295-319. doi:10.15820/khjss.2019.45.3.012
  27. 심수진, 남상민, & 김은아. (2023). 국민 삶의 질 2022. 대전: 통계청.
  28. 심정선. (2010). 민간 경비원의 직무스트레스, 정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4), 733-754. doi:10.24230/ksiop.23.4.201011.733
  29. 엄지범, & 박명은. (2022). 스마트팜 예비 청년창업농의 창업의지 영향요인 분석: 기업가정신과 창업기회인식의 매개효과. 농촌지도와 개발, 29(4), 251-264. doi:10.12653/jecd.2022.29.4.0251
  30. 엄진영, 박기환, 윤종열, 허정회, 전무경, 권수현, et al. (2022). 포용사회를 위한 농업부문 일자리 확장 및 안정화 방안(2/3차년도).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유재두. (2020).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 관계. 한국경찰학회보, 22(2), 127-149.
  32. 윤조덕, & 박수경. (1998). 산재장애인 삶의 질과 재활정책의 과제. 한국사회정책, 5(2), 103-123.
  33. 이기현, 고상백, 강동묵, 정진주, 김형렬, 김인아, et al. (2011). 우리나라 농업인의 직무스트레스와 피로.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23(2), 213-224.
  34. 이민우, 윤순덕, 안필균, 김태화, 홍은정, 신동호, et al. (2023). 2022 농어업인 등에 대한 복지실태조사 보고서. 완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35. 이성균. (2016). 한국 임금근로자의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패널자료 분석. 한국사회학, 50(4), 203-232.
  36. 이소영, 이민수, & 김진진. (2022).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특성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9(2), 99-110. doi:10.12653/jecd.2022.29.2.0099
  37. 이순미, & 이수진. (2019). 전남 일.생활 균형 현황과 지원기관 설립 및 운영 방안. 무안: 전남여성가족재단
  38. 이영미, & 피영규. (2016). 생산직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증상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보건학회지, 26(2), 210-218. doi:10.15269/JKSOEH.2016.26.2.210
  39. 이영주, & 노경민. (2020). 사업장 근로자의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9(3), 173-183. doi:10.5807/kjohn.2020.29.3.173
  40. 이윤경, 정혜선, & 장원기. (2006). 근로시간에 따른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5(2), 115-125.
  41. 이현경, 김경수, 최동필, 최원종, & 박수인. (2019). 농업인과 비농업인의 사고 경험률 및 건강관련 삶의 질 비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1(2), 717-731. doi:10.37727/jkdas.2019.21.2.717
  42. 임유미, & 심문숙. (2022).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환경, 직무스트레스가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생태학적 모델에 기반하여. 한국보건간호학회지, 36(3), 361-374. doi:10.5932/JKPHN.2022.36.3.361
  43. 장세진, 강동묵, 강명근, 고상백, 김성아, 김수영, et al. (2004).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 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2차년도). 서울: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44.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et al.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4), 297-317. doi:10.35371/kjoem.2005.17.4.297
  45.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형렬, 김인아, 정진주, et al. (2011). 농업인 업무스트레스 평가 지표의 개발과 도농 비교 연구. 수원: 국립농업과학원.
  46. 정강화. (2008). 산재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정선이, 차승은, & 이주미. (2023). 보육교사의 총근무시간과 스트레스 반응에 따른 휴게시간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12(1), 225-244. doi:10.20497/jwce.2023.12.1.225
  48. 정세정, 류진아, 강예은, 김성아, 함선유, 김동진, et al. (2022). 2022년 청년 삶 실태조사. 세종: 국무조정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49. 정용경, 황정임, 최윤지, & 최정신. (2019). 청년농업인의 농업경영 특성과 성과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6(3), 143-151. doi:10.12653/jecd.2019.26.3.0143
  50. 조옥희, & 임종미. (2021). 중년기 직장여성의 직무스트레스와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갱년기 증상의 매개효과. 가정간호학회지, 28(3), 266-275. doi:10.22705/jkashcn.2021.28.3.266
  51. 주은선. (2016). 노동시간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750-759. doi:10.5392/JKCA.2016.16.07.750
  52. 주효진. (2007).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원인에 대한 비교분석. 행정논총, 45(4), 195-221.
  53. 최수찬, 이은혜, 원경림, 조영림, & 김다솜. (2019). 대학행정 직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9(7), 67-81. doi:10.5392/JKCA.2019.19.07.067
  54. 최유승, 조예진, 황예은, & 현명호. (2022). 근로자 기질에 따른 군집 유형과 시간관리, 삶의 질, 일과 삶의 균형의 관계. Stress, 30(20), 69-74. doi:10.17547/kjsr.2022.30.2.69
  55. 최정신, 황정임, 최윤지, & 한송희. (2018). 농촌지역 청년층의 이주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지역생활 만족도와 공동체 의식을 중심으로. 지역산업연구, 41(4), 195-211. doi:10.33932/rir.41.4.10
  56. 최정신, 최윤지, 채혜성, & 김가희. (2022). 농업인의 일.생활 균형과 사회적지지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33(4), 717-733. doi:10.7856/kjcls.2022.33.4.717
  57. 최진욱, & 노종호. (2017). 인사관련 요인과 직무관련 요인이 공무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부학연구, 23(3), 93-124. doi:10.19067/jgs.2017.23.3.93
  58. 최해진, & 권혁기. (2008). 종업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건설업종을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1(4), 1723-1749.
  59. 통계청. (2021). 2020 농림어업총조사.
  60. 통계청. (1991). 1990 농림어업총조사.
  61. 통계청. (2023). 2022 농가경제조사.
  62. 황인욱, 이소영, 주진수, 양주환, & 김종숙. (2017). 청년농업인의 영농정착 성공특성 및 영농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농수산대학 졸업생 우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연구, 25(1), 21-45. doi:10.22921/jrs.2017.25.1.002
  63. 황정임, 최윤지, 최정신, & 정용경. (2019). 청년농업인의 거주지역 선택 결정요인. 농촌지도와 개발, 26(4), 181-191. doi:10.12653/jecd.2019.26.4.0181
  64. 황혜신, & 이환성. (2020). 포용국가를 위한 BLI (Better Life Index) 성과관리방안. 서울: 한국행정연구원.
  65.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66. Babapour, A. R., Gahassab, M. N., & Fathnezhad, K. A. (2022). Nurses' job stress and its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caring behaviors: A cross-sectional study. BMC Nursing, 21(75), 1-10 doi:10.1186/s12912-022-00852-y
  67. Barnett, R, C. (2006). Relationship of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work hours to health and quality-of-life (QOL) outcomes. Research in Occupational Stress and Well Being, 5, 99-138. doi:10.1016/S1479-3555(05)05003-1
  68. Burckhardt, C. S. (1985).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34(1), 11-16. doi:10.1097/00006199-198501000-00003
  69. Campbell, A., Converse, P. E., & Rodgers, W. L. (1976). Quality of American life, the perceptions, evaluations, and satisfactions. Russell Sage Foundation. http://www.jstor.org/stable/10.7758/9781610441032
  70. Dembe, A. E., Erickson, J. B., Delbos, R. G., & Banks, S. M. (2005). The impact of overtime and long work hours on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New evidence from the United State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2(9), 588-597. doi: 10.1136/oem.2004.016667
  71. Hayes, A. F. (2021).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3rd ed.). NY: Guilford Press(e-book).
  72. Hayes, A. F. (2022). Process macro (Version 4.2.). Computer Software.
  73. Hong, Y., Zhang, Y., Xue, P., Fang, X., Zhou, L., Wei, F., et al. (2022). The influence of long working hours, occupational stress, and well-being on depression among couriers in Zhejiang, China. Frontiers in Psychology, 13, 1-8. doi:10.3389/fpsyg.2022.928928
  74. Jennifer, M. (2014).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quality of life among tour guides. Asia Pacific Journal of Tourism Research, 19(10), 1170-1190. doi:10.1080/10941665.2013.839459
  75. Lane, R. E. (1994). Quality of life and quality of persons: A new role for government? Political Theory, 22(2), 219-252. https://doi.org/10.1177/0090591794022002002
  76. Nationl Institute for Safety and Health. (1999). Stress at work (Issue No. 99-101).
  77. OECD Better Life Index. (2023, May 15). How's life?. https://oecdbetterlifeindex.org
  78. Saarni, S. I., Saarni, E. S., & Saarni, H. (2008). Quality of life, work ability, and self employment: A population survey of entrepreneurs, farmers, and salary earn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5(2), 98-103. doi:10.1136/oem.2007.033423
  79. Sirgy, M. J. (2001). Handbook of quality-of-life research: An ethical marketing perspective.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80. Stephen M. H., Robert T. B., Edington, D. W., & Kloss, D. M. (1988). Association between job stress and perceiv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37(1), 29-35. doi:10.1080/07448481.1988.9939038
  81. The WHOQOL Group. (1995).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assessment position paper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Socical Science Medicine, 41(10), 1403-1409. doi:10.1016/0277-9536(95)00112-k
  82. The WHOQOL Group. (1998).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28(3), 551-558. doi:10.1017/S0033291798006667
  83. Viana, S. O., Sampaio, R. F., Mancini, M. C., Parreira, V. F., & Drummond, A. S. (2007). Life satisfaction of worker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Brazil: Associations with symptoms, functional limitation and coping. Journal of Occupational Rehabilitation, 17(1), 33-46. https://doi.org/10.1007/s10926-006-9062-z
  84. Woo, D., Lee, Y., & Park, S. (2020). Associations among working hours, sleep duration, self-rated health,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men. Health Quality Life Outcomes, 18(1), 1-6. doi:10.1186/s12955-020-01538-2
  85. World Bank Open Data. (2023, May 15.). GDP(Current US$).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CD
  86. Young, K. J., & Longman, A. J. (1983). Quality of life and persons with melanoma: A pilot study. Cancer Nursing, 6(3), 219-226. doi:10.1097/00002820-198306000-00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