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회복탄력성 측면에서 새로운 사회위기 개념 연구

A Study on a New Definition of Societal Crisis Based upon Resilience

  • 김신영 (한양사이버대학교 실버산업학과)
  • 투고 : 2023.05.14
  • 심사 : 2023.07.01
  • 발행 : 2023.07.31

초록

최근 십수년간 한국사회는 자연재해, 사회적 참사, 그리고 감영병 등 다양한 유형와 층위의 사회위기 상황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현실에 즈음하여, 사회적 수준에서의 위기란 무엇을 의미하며, 어떤 유형의 사회위기가 있을 수 있고, 또 유형에 따른 사회위기의 대응은 어떠해야 하는가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작업들의 선제 조건으로 사회위기에 대한 개념규정을 시도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타당하다. 먼저 이 연구는 위기에 대한 기존의 개념 정의들을 살펴 보는 것에서 출발하고자 한다. 위기에 대한 국내·외 문헌검토를 수행 한 후, 사회위기에 대한 개념 정의를 이어서 수행하고자 한다. 사회위기의 개념 정의에는 현상학 또는 사회학적 관점이 추가 될 것이며, 최종적으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추가한 새로운 사회위기의 개념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사회위기의 영역 및 영역별 세부 지표가 제시될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사회위기 연구들에 기반하여, 사회심리학적 차원의 회복탄력성 개념을 도입하고, 한발 더 나아가 사회위기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거시 또는 미시 수준의 측정 지표를 생산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so-called 'societal crisis' in many aspects of society for a couple of decades and those crises include both natural disasters and tragic catastrophes. Given that,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first of all, what is the definition of crisis in general and societal crisis in specific. Next question is what are the major types of societal crises and what are the indicators for those crises. As a result, many areas of societal crisis and corresponding indicators in each area will be introduced. Finally, this study tries to establish a new definition of societal crises based upon a more sociological, more specifically a more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For these research purpose, in-depth review for previous research on the subject will be done including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materials. Final outcome of this study will be a new and experimental definition of societal crisis, which will provide the principle base for actual numeric indicators of societal crisis in both macro and micro level.

키워드

참고문헌

  1. Lee Jongryol, Park Kwangkuk, Cho Kyungho, Kim Okil, "A Study on System Construction for Comprehensive State Crisis Management", Korean Society and Administration Study, 15(2), 347-367, 2006.
  2. Chung Jibeom, National Comprehensive Crisis Management, Seoul: Bubmoonsa, 2009.
  3. Holzmann, Robert and Steen Jorenson., "Social Protection as Social Risk Management: Conceptual Underpinnings for the Social Protection Sector Strategy Paper.",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1(7) 1005-27, 1999. https://doi.org/10.1002/(SICI)1099-1328(199911/12)11:7<1005::AID-JID643>3.0.CO;2-B
  4. Jaeeun Lee., "Comprehensive Security and State Crisis Management", Korean Social Science Council, Conference Paper, 2008.
  5. Kim SeungKwon., The Indicators of Social Crisis and Crisis Level, Health & Welfare Issue and Focus, KIHASA, 38, 2010.
  6. Drennan, L., McConnell, A., Risk and Crisis Management in the Public Sector, NY : Routledge, 2007.
  7. Kim Hyunjoo.,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Direction Settings for the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in Urban Area,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2010.
  8. Kwon Sewon, Lee Aehyun, Song Inhan., "A Study on Youth Happiness" Application of Youth Resilience Model", Korean Youth Studies 23(2), 39-72, 2012.
  9. Kim Donghee, Vulnerability and Resilience of Children with Atopic Disease,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2011.
  10. Holling, C. S., "Resilience and Stability of Ecological System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4: 1-23, 1973. https://doi.org/10.1146/annurev.es.04.110173.000245
  11. Folke, C., Carpenter, S. R., Walker, B., Scheffer, M., Chapin, T., & Rockstrom, J., "Resilience Thinking: Integrating Resilience, Adaptability and Transformability", Ecology and Society, 15(4): 20-43, 2011.
  12. Kang Sangjoon., A Study on the Promotion Plan for Improving Disaster Management in Ryunggi Province, Gyunggi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