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ivil Affairs Official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and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tress -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23.06.15
  • Accepted : 2023.06.30
  • Published : 2023.07.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confirm the effect of labor as a civil servant in charge of civil affairs how excessive social support and delayed tension affect psychological exhaus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social support,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of Civil Affairs Officials, Emotional Labor of civil Civil Affairs Officials has a posi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perceived stress, and psychological exhaustion.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Perceived str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exhaustion. Second, as a result of soldering the labor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involved t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and psychological burnout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financial resources, a partial mediating effect was confirmed.The object should be used to first respond to and show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and the reduction of painted pressure, identified as labor variables, before farmers appear.

본 연구는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를 매개로 심리적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첫째,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은 사회적 지지, 지각된 스트레스, 심리적 소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지각된 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에 정적(+)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결과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개입전략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매개변인으로 확인된 사회적 지지 강화와 지각된 스트레스의 감소 촉구에 우선적으로 개입하고 적극적으로 개선할 것을 제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행정안전부(2021). 행정안전통계연보.
  2. 이정서, 김영환(2020). 사회복지 담당공무원과 일반 행정직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6), 231-237. https://doi.org/10.9708/JKSCI.2020.25.06.231
  3. 이장환(2019). 경찰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유건숙(2021).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효과로. 온석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박숙영, 박소연(2018).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증상 매개효과. 지방정부연구, 21(4), 23-142.
  6. 신황용(2020). 감정노동, 조직몰입과 조직시민 행동간에 구조적 인과관계: 경기도 일선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공공관리학보, 34(2), 141-166. https://doi.org/10.24210/KAPM.2020.34.2.007
  7. 전성수(2018).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방자치연구, 20(3), 53-73.
  8. A. R. Hochschild(1979). Emotion work, feeling rules, and social structur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3), 551-575. https://doi.org/10.1086/227049
  9. A. R. Hochschild, A. R.(1983). The managed heart: Commercialization human feeling.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0. 안은선・채채은(2018). 노인장기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 및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감정노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디지털융복합연구, 16(1), 21-33.
  11. 손명순, 김성희(2019). 수어통역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감정노동과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공공정책연구, 36(1), 97-120.
  12. 진윤주, 신준섭, 서동준(2020).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우울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분석. 문화산업연구, 20(2), 49-52.
  13. M. Wedgeworth, M. A. LaRocca, W. F. Chaplin., & F. Scogin(2017). The role of interpersonal sensitivity,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rural older adults. Geriatric Nursing, 38(1), 22-26. https://doi.org/10.1016/j.gerinurse.2016.07.001
  14. 김순안, 김승용(2011).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중년 여성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52(1), 109-129.
  15. 김중경, 이선주, 김원종(2020). 간호사의 내부지향적 정책, 사회적지지 및 직무배태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1(3), 89-95. https://doi.org/10.5762/KAIS.2020.21.3.89
  16. S. Cohen, T. Kamarck, & R. Mermelstein(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85-396. https://doi.org/10.2307/2136404
  17. P. L. Hewitt, G. L. Flett, & S. W. Mosher(1992). The perceived stress scale: Factor structure and relation to depression symptoms in a psychiatric samp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14, 247-257.
  18. 이영호(2020). 정신건강론, 서울: 학현사.
  19. 김민희(2020). 중년기 노후준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 노화불안과 지각된 스트레스의 순차적 다중매개효과, 한국심리 학회지: 발달, 33(4), 45-64.
  20. W. P:. Kaschka, D. Korczak, & K. Broich(2011). Burnout: A fashionable diagnosi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108, 781-787.
  21. C. Maslach, & S. E. Jackson(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1-113.
  22. C. D. Shepherd, A. Tashchian, & R. E. Ridnour(2011). An investigation of the job burnout syndrome in personal selling. Journal of Personal Selling & Sales Management, 31(4), 397-409. https://doi.org/10.2753/PSS0885-3134310403
  23. 김나윤(2020). 전문상담사들의 소진 회복과 회복 후 자기개발활동의 변화 양상 탐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김동환(2014).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과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성영태(2014). 민원담당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자기 효능감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대구,경북민원담당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보, 13(2), 183-210.
  26. 권유리나(2022). 제주시 민원응대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조미정(2019). 보건소 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 및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민숙희(2014). 대학도서관 사서의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 상사의 감성지능, 사회적 지원 및 도서관서비스 제공수준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8(4), 345-376. https://doi.org/10.4275/KSLIS.2014.48.4.345
  29. 김진아, 박혜선(2020). 항공승무원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료지지, 가족지지, 팀장지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170-183.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170
  30. 김수목, 김상철(2021).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사와 동료지지 매개 효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1(2), 330-342.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330
  31. 류상일, 권승(2018). 공공부문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7(3), 153-167.
  32. 김남희, 박선영(2020). 종합병원 간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2), 883-895.
  33. 이은주(2010). 노인시설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김나영, 정현희(2012). 미술치료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19(4), 879-899. https://doi.org/10.35594/KATA.2012.19.4.007
  35. 김양선, 신효정(2017). 초심상담자의 상태불안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재활심리연구, 24(3), 541-560.
  36. 김명수, 이종훈(2017). 보육교사의 사회적 지지, 직무스트레스, 소진 간 구조관계. 한국융합학회논문지, 8(10), 281-294. https://doi.org/10.15207/JKCS.2017.8.10.281
  37. 구본용, 이충자(2019).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의 효과. 재활심리연구, 26(2), 109-126. https://doi.org/10.35734/KARP.2019.26.2.007
  38. 김지연, 박경옥(2021). 유아특수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교사 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4(3), 67-84.
  39. 명옥순 (2022).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칼빈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0. J. M. Diefendorff, M. H. Croyle, & R. H. Gosserand(2005). The dimensionality and antecedents of emotional labor strategi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66(2), 339-357. https://doi.org/10.1016/j.jvb.2004.02.001
  41. 송민혜(2015). 공공조직 내 사회적 교환에 따른 감정 노동 관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홍정영(2014).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과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박지원(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4. 김연수(2021). 사회적 지지와 삶의 만족과의 관계에 서 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외상 후 성장의 매개효과. 서울한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S. Cohen, T. Kamarck, & R. Mermelstein(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85-396. https://doi.org/10.2307/2136404
  46. S. Cohen, & G. Williamson. G.(1988). Perceived stress in a probability sample of the U.S. In S. Spacapam & S. Oskamp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health: Claremont symposium on applied social psychology (pp. 31-67). Newbury Park, CA.: Sage.
  47. 이충자(2019). 초등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유발사건,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인지적 마음챙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8. S. G. West, J. F. Finch, & P. J. Curran(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pp. 56-75). CA: Sage Publications.
  49. 문수백(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50.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51. M. W. Browne, & R. Cudeck(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6. Newbury Park, CA: Sage.
  52. 정은경(2016). 일부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과 직무 소진과의 관련성: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치위생학회지 16(1), 53-59.
  53. 서영석(2010). 상담심리연구에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4), 1147-1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