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C2A02092181).
References
- 국가기록원(2008). 사건기록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대전: 디디컴.
- 국가기록원(2019). 기록관리 이슈 페이퍼: 공공기록물법상의 기록의 개념 검토. 대전.
- 이영석(1983). 죽산 조봉암 그의 슬픈 삶과 죽음의 이야기. 서울: 원음출판사.
- 강선옥(2010). 형사사건기록의 연계관리체계 구축 방안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기록관리 전공.
- 고석(2006). 한국 군사재판 제도의 성립과 개편 과정에 관한 연구: 국방경비법에서 군법회의 제정 시까지.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법학과.
- 김병호(2007). 사건기록물의 관리실태와 개선 방안.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윤경(2011). 진보당 사건 관련자 양이섭의 실체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국사학과.
- 박서인(2020). 법적 증거로서 기록의 활용을 위한 공기업 기록관리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원종관(2008). 레코드 컨티뉴엄의 속성을 통해 본 증거와 기억의 조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정보기록관리학과.
- 최영민(2018). 전자기록의 증거능력 인정요건에 관한 기록학적 분석.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재순(1998). 정부 수립 이전 행형기록 해제. 기록보존, 11, 189-195.
- 박보영(2021). 형사재판 기록의 사료적 활용 제언: 진보당 사건기록의 미시사적 재독. 한국사학사학보, 42, 237-262.
- 박성진(2017). 형사사건기록 편철, 보존기간 책정 개선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7(2), 189-205. https://doi.org/10.14404/JKSARM.2017.17.2.189
- 박종연(2021). 미군정기 기록관리: 혼용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3), 17-36.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017
- 설문원(2022). 법적 증거의 기록학적 의미.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2(1), 219-235. https://doi.org/10.14404/JKSARM.2022.22.1.219
- 시귀선(2000). 정부기록보존소 소장 해방 이후 행형기록의 내용과 활용방안. 역사 연구, 7, 203-221.
- 안유림(2009). 일제 치안유지법체제하 조선의 예심제도. 이화사학연구, 38, 133-156.
- 오유석(2008). 진보당 사건 국가기록원 편. 사건기록으로 보는 한국현대사. 대전: 디디컴. 128-172.
- 윤은하(2019). 법적 증거로서 기록의 속성에 관한 연구. 기록학연구, 60. 89-121.
- 이경용(2021). 일제의 공문서 폐기 시론: 국가기록원 소장 조선총독부 기록의 잔존성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7, 205-236.
- 이승일(2010). 법원기록관리체제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31-53.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031
- 이용창(2018). 재판 관련 기록으로 본 화성 장안.우정면 3.1만세 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62, 37-86.
- 이현정(2010). 형사사건기록의 분류방안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0(1), 169-197. https://doi.org/10.14404/JKSARM.2010.10.1.169
- 임지훈, 오효정, 김수정(2017). 사건 아카이브의 시론적 연구. 기록학연구, 51, 175-208.
- 정병욱(2014). 경성지방법원 검사국 기록과 '사상부'의 설치. 기록학연구, 40, 95-130.
- 최병천(2012). 공판조서의 증거능력. 법조, 674(11), 53-96.
- 한연규(2019). 검사 작성 피의자신문조서의 증거활용에 대한 고찰. 법조, 735(3), 233-261.
- 사법정책연구원(2023). 법원의 구속기간에 관한 연구(연구총서 2023-02). 사법정책연구원.
- 송영길. 국회. 법제사법위원회(2000). 국정감사 정책자료집.
-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 2007. 하반기조사보고서: 진보당 조봉암사건. 1069-1144.
- 치안정책연구소(2005). 경찰수사제도의 개선에 관한 연구(연구보고서 2005-13). 치안정책연구소.
- 검찰청사무규정. 법무부령 제00016호.
- 검찰청사무규정. 법무부령 제00073호.
- 검찰보존사무규칙. 법무부령 제01022호.
- 국방경비법. 군정법률 제00000호.
- 법원사무규칙. 대법원규칙 제00133호.
- 사법경찰관집무규정. 조선총독부훈령 제45호.
- 사법경찰관리집무규정. 법무부령 제00024호.
- 육군특무부대령. 대통령령 제01316호.
- 조선총독부재판소급검사국서류보존규정. 조선총독부훈령 제3호.
- 조선총독부재판소급검사국서기과처무규정. 조선총독부훈령 제16호.
- 행형법. 법률 제00105호.
- 행형법시행령. 대통령령 제01125호.
- 형의 집행 및 수용자의 처우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0909호.
- 형사소송법. 법률 제00341호.
- 헌병과 국군정보기관의 수사한계에 관한 법률. 법률 제00080호.
- 경찰청 기록관리기준표. 2022.
- 공문서종별보존기간책정기준. 1964.
- 법무부 기록관리기준표. 2022.
- 서울지방검찰청(1958). 형사사건기록: 진보당 사건기록 1~44권.
- 전국 검찰 감독관회의. (1960. 2. 2.). 동아일보, 3.
- 괴뢰지령에 호응. (1958. 1. 15.). 경향신문, 3.
- 시국 수습 곧 가시화 김대중 총재 불고지 공소 취소 검토. (1991. 5. 11.). 경향신문, 1.
- 특사 258명 확정. (1991. 5. 23.). 동아일보, 1.
- 검찰발표 김대중 총재 조사 결과 요지. (1989. 8. 23.) 경향신문, 3.
- 김대중 총재 곧 기소. (1989. 8. 24.). 한겨레, 1.
- 김삼웅. (2021. 11. 22.). 문익환.서경원 방북사건 공안 위기. 오마이뉴스.
- 국가기록원(발행년불명). 사건기록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진보당 사건(1958~1959년). 국가기록원. 출처: https://www.archives.go.kr/theme/next/choba/view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