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1,088건 처리시간 0.023초

17대 대통령기록의 성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17th Presidential Record)

  • 양인호
    • 기록학연구
    • /
    • 제78호
    • /
    • pp.43-77
    • /
    • 2023
  • 본 연구는 17대 대통령기록과 관련한 언론의 의혹들을 중심으로 문제의식을 더욱 확장하여 17대 대통령기록을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대통령기록관리 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대통령기록관에 이관된 17대 대통령기록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개관하고, '기록관리', '부속실', '치안'기능에서 생산된 기록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생산현황통보', 'e메일을 통한 기록 생산 및 기록 미등록', '핵심기록 및 전자·비전자기록'의 사례를 정량분석과 함께 실물 기록을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17대 대통령기록의 성격을 진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대통령기록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업 기록 유형과 보존기간 연구 법령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rporate Record Types and Retention Periods : Focusing on Legal Analysis)

  • 오성진
    • 기록학연구
    • /
    • 제79호
    • /
    • pp.389-442
    • /
    • 2024
  • 본 연구는 기업 기록 처리일정 수립을 위하여, 국내 법률이 기업에게 보유하도록 명시한 기록 유형과 보존기간을 확인하고, 그 결과의 의의와 특징을 검토하여 기업 기록 처리일정 수립을 제언한다. 이를 위해 기업의 경영활동을 파악하고 법률 분석을 위한 기록조사서를 작성하여, 각종 법률 검토를 통해 기업의 경영활동에 필요한 기록 유형과 보존기간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기업에게 요구되는 기록유형과 보존기간의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 기록 처리일정 수립 방법을 제안하였다.

대통령기록 분석을 통한 대통령기록관리 재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Redesign Method of Presidential Record Management through Presidential Record Analysis)

  • 양인호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89-113
    • /
    • 2023
  • 본 연구는 16대 대통령기록(기록관리비서관실)을 대상으로 기록인식론적 관점에서 조사·분석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대통령기록관리 재설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록관리비서관실의 기능을 분석하고, 대통령기록관에 이관된 16대 대통력기록을 전체적인 시각에서 개관하였다. 다음으로 '업무기능 및 단위과제', '기록 철·건', '기록 건'을 중심으로 '생산시스템 유형', '보존기관', '보존기간 책정 사유', '관리부서', '이관일 및 입수유형', '기록형태', '전자기록 유형', '공개여부', '생산연도' 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연역적(top-down)인 방식으로 기록의 성격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기록분석 과정에서 드러난 특징 및 문제점을 정리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기록의 '재조직', '서비스'부분에 대한 대통령기록관리 재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오대산 지진자료에 의한 거리감쇠식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sumption for Attenuation Relation by MT. O-dae earthquake data in Korea)

  • 권기혁;황완선;유혜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3-36
    • /
    • 2008
  • In Korean Building Code 2005(KBC-2005), the Seismic Zone Factor is regulated by separating the seismic zone into two part. This seismic zone factor is not matched to regional seismic characteristics of our country because the factor is based on International Building Code 2000 (IBC-2000) of USA. This study inquiry for having a sufficient grasp of the seismic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region and appling for the seismic cope plan. We have collected and analyzed earthquake record happened in domestic region. There are two kinds of earthquake record. One is Historical earthquake data, another is Instrumental earthquake data. I used Instrumental earthquake record data which reliance is higher than historical earthquake data for proposing attenuation formulas by analyzing a correlation the epicenter and the distance.

  • PDF

시·도지정무형문화재 기록화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of and Improvement Plan for Documentation of City·Province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 백주현;김순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77-97
    • /
    • 2010
  • 문화재는 문화적 가치가 있다고 인정되는 선조의 문화 활동의 소산으로 역사상 또는 예술상 가치가 큰 것을 말한다. 이러한 민족의 자산인 문화재는 일단 훼손되면 다시 돌이킬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보존과 전승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특히 무형문화재는 '일정한 형태가 없는 문화재'이기 때문에 그 특성에 맞는 적절한 보존과 활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16개 시 도지정무형문화재 기록화 현황을 살펴보고 바람직한 보존과 전승을 위한 효율적인 기록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의 개념 모델링 (Conceptual Modeling of Record Management Metadata)

  • 이현실;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48
    • /
    • 2006
  •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는 기록물 자체에 내재한 정보 요소뿐만 아니라, 기록 업무에 따른 기록물의 생명 주기 관리 등에 필요한 관리 요소를 표현할 수 있는 강고한 구조를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 메타데이터 스키마에서는 기록 도메인의 정보 모델과, 기록 관리 업무 및 응용에서 요구되는 의미 상세화와 데이터 요소 특수화 등을 지원하는 메타데이터 프레임워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데이터 스키마의 주요 원리와 특성을 분석하여, 기록 관리 메타데이터 스키마를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개발하기 위한 접근 방식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ISO 15489와 23081에 제시된 기록 관리 지침과 메타데이터 운용에 근거한 기록 관리 정보 모델을 개발하고 핵심 데이터 요소를 제시하였으며, 기록 관리 프레임워크를 구현하는 방법을 보였다.

1980~90년대 국가기록관리체제의 개편과 제도적 특징 (The Reorganization and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during the 1980s to the 1990s)

  • 이승일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38
    • /
    • 2008
  • 1999년 기록물관리법의 제정 이전 한국의 국가기록관리체제는 행정체계의 변화와 사무자동화라는 기록물 생산방식의 변화에 영향을 받으면서 수립 개편되었다. 1984년과 1992년에 개편된 국가기록관리체제는 1980년 초반의 한국의 국가적 위기 상황을 행정효율화를 통하여 극복하고 사무자동화 기기의 보급을 추진하려는 한국정부의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정부공문서규정"과 "공문서보관보존규정"이 "정부공문서규정"으로 통합되었고 "정부공문서분류표"와 "문서의보존기간종별책정기준표"도 일원화하는 쪽으로 개편되었다.

특수 보존 기관의 종이 기록물 장기 보존 대책 (Long-Term Preservation Measures of Paper Records of Special Preserving Organization)

  • 신종순;이재수
    • 한국인쇄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9-69
    • /
    • 2012
  • This study is Long term preservation measure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preserving paper records, record condition evaluation, preservation measure and is conducted as follows. As for Means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and Damaged Conditions of Records, research and analysis has been made on the contamination and deterioration examples such as damage, dry, stapler, metal, contamination, acidification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paper record damage types. The of Paper record is one of the key procedures to evaluate the record material and its physi-chemical status in many criteria and to suggest the best preservation method. Between 1970 and 2000, the main record materials was fine paper and OMR paper along with partly newspaper and coarse paper, whereas the main recording material was ball point pen. Overall damage and deterioration status is, for record materials between 1940 and 1960, high deterioration was found and in urgent need for preservation measure and more damages are caused by tapes, staplers and metals. As for records after 1970, there is light deterioration but needs preservation process. There are approximately 3 million records produces before 2000, and assuming that there are 30 pages per record and that 30% has been damaged or deteriorated, 27 million pages are subject to preservation process. Among damaged or deteriorated records, there are large number of records impossible to go through deacidification process so manual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process is necessary as well. Securing manpower having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skills as well as preservation equipment(deacidification process,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is in urgent need.

기록정보 LOD 구축을 위한 의미 상호연결 자동화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Automatic Interlinking of Meaning for the LOD Construction of Record Information)

  • 하승록;안대진;임진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7-200
    • /
    • 2017
  •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신기술 환경에서 LOD는 기록정보자원을 내외부의 다양한 데이터들과 연결되도록 할 것이다. 이러한 연결의 중심에는 상호연결(Interlinking) 기술이 존재하며, 상호연결된 LOD는 기록정보 개방을 데이터 개방(Open Data)의 최상위 단계로 실현할 것이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기록의 양을 감안하면, LOD 구축 시 상호연결 알고리즘을 통한 자동화는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기록정보가 외부 데이터와 상호연결되는 구조와 상호연결 시 고려해야 할 기록정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국가기록원 CAMS 데이터의 샘플을 수집하여 기록정보 LOD를 구축한 뒤, 기록물 메타데이터의 인물정보를 DBPedia와 자동으로 상호연결하는 테스트베드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상호연결 자동화 프로세스를 확인하고, 자동화 기술의 성능과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테스트베드를 통해 얻은 시사점을 통해 기록정보 LOD 상호연결 과정의 고려사항을 파악하였다.

A new record of the species Caprella arimotoi (Crustacea: Amphipoda: Caprellidae) from Korean waters

  • Heo, Jun-Haeng;Choi, Jaehong;Kim, Young-Hyo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9권4호
    • /
    • pp.443-447
    • /
    • 2020
  • A newly recorded species Caprella arimotoi Takeuchi, 1993, belonging to the family Caprellidae Leach, 1814, was collected from the South Sea, Korea. This species is morphologically very similar to Caprella verrucosa Boeck, 1871, with blunt dorsal projections on pereonites, oval-shaped propodus on gnathopod 2, and grasping spines on the pereopods 5-7. Caprella arimotoi originated from C. verrucosa and are difficult to distinguish because they have mixed characteristics. However, C. arimotoi was classified because of several morphological differences. The newly recorded species C. arimotoi is discernible from C. verrucosa by a forwardly curved anterodorsal projection on head, elongated gills, slender pereopod 7, and lacking ventrolateral projections on pereonites 2-7. To date, C. arimotoi has only been reported in Japanese waters. So, our record is the first record in Korean waters and outside of Japan. In this study, the Korean C. arimotoi is illustrated based on the mature male specimens with a brief description of the female, focusing on the sexually dimorphic charact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