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family changes and dynamics of and to suggest institutional/policy-level tasks for coping with them, by paying attention to changing family valu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ir caring work performed in everyday life. This study selected 11 single-person households residing in Ulsan by considering their age and marital status, and analyzed their overall daily lives, family val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household work and c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ingle-person households in Ulsan, not only showed the coexistence of "simplicity, but instability" when maintaining and living their own lives, but also showed the ambivalent characteristics of family values by showing a gap between the perception and reality of diversity. In regard to family life, the participants complained of difficulties in "caring and relationship of family of origin" and the "economic factors", and notably showed the "dual value system". For a more stable life, th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forming social networks to relieve a sense of isolation and loneliness, and to recover relationships, instead of limiting themselves to only the traditional method of family formation. Thus, it would be possible to respond to family changes when changes are promoted in each area of "the perception of life", "family life", and the "family & social relationship", and this research suggests policy-level task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본 연구의 목적은 1인가구의 변화하는 가족가치관과 매일 일상 속에서 이뤄지는 돌봄노동에 주목하여, 가족의 변화나 역동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제도 및 정책적 과제를 제안하는 것이다. 연령·혼인상태를 고려하여 울산시에 거주하는 1인가구 11명을 선정하였으며, 1인가구의 전반적인 일상생활, 가족가치관, 가사노동 및 돌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울산시 1인가구의 특성은 자신의 삶을 유지하고 살아감에 있어 '단순하지만 불안정함'이 공존하고 있었으며, 가족가치관은 다양성에 대한 인식과 실제의 격차를 보이는 양면적 특성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가족생활을 함에 있어 '원가족 돌봄 및 관계', '경제적 요인'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었으며, '이중가치체계'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인가구는 안정된 삶을 위해 전통적인 가족형성의 방법에만 국한하는 것이 아닌, 고립·고독감 해소 및 관계 회복을 위해 사회관계망을 형성해나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가족인식', '가족생활', '가족 및 사회적 관계'의 각 영역에서 변화가 도모되었을 때 가족변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연구 결과에 기반한 정책과제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