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론
전자기기 내부의 소자는 기기가 작동할 때 열이 발생하고 열이 장기간 유지되면 기기의 성능 저하와 소재의 열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발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소재의 방열특성은 기기의 수명과 성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1,2]. 금속재료는 높은 열전도도로 인해 공냉 및 수냉 방식을 통해 발열문제를 해결하지만, 경량화 문제로 인해 금속을 대체하는 고열전도성 복합재료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3]. 복합재료는 기재와 강화재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재료로써 단일 재료로는 한계가 있는 성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금속과 비교하여 우수한 비강성 및 비강도 및 경량화에 용이한 재료이다. 따라서 스포츠, 항공, 운송,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성이 높아지고 있다[4]. 강화재에 따라 복합재료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용도에 따른 적합한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특정한 강화재 들을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작한다. 복합재료의 방열특성을 높이기 위해서 주로 사용되는 강화재는 CNT[5], Graphene[6], Carbon Fiber(CF)[7], Boron nitride(BN)[8] 등이 있으며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는 높은 열전도도와 우수한 기계적 물성치를 가진다.
이와 같이 열전도성 복합재료의 열적 물성치는 기재 속 강화재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강화재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Zheng 등[9]은 BN과 구리입자를 결합하여 제작한 하이브리드 강화재로 CFRP를 제작하여 열전도도를 6.14 W/m·K까지 향상시켰다. Li 등[10]은 Graphene을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작하였고 11.8 wt.%에서 33.54 W/m·K의 값을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종류의 aspect ratio를 가지는CF들을 대상으로 vacuum filtration 방법을 이용하여 CFRP를 제작하였다. 복합재료 제작 공정에서는 섬유들의 분산에 활용성이 가장 뛰어난 세 가지 solvent들을 사용하여 solvent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CF들의 수직 방향의 배열성을 확인하기 위해 현미경을 통한 morphology를 관찰하였고 제작된 시편의 열전도도 측정을 통해 배열성을 검토하였다.
2. 실험
2.1 시편 제작
본 실험에서 사용할 CFRP 제작을 위해 aspect ratio가 각각 15, 20, 25인 short carbon fiber(XN-100 series, D=10 µm, Nippon Graphite Fiber Corporation)와 Epoxy(YD-114, KUKDO)를 사용하였다. 최적 분산을 위해 세 종류의 solvent인 acetone(SK chemical), DMF(JUNSEI), NMP(JUNSEI)를 사용하였다. 시편 제작을 위해 Epoxy 100 g과 Hardener 80 g, solvent 30 ml, CF 20 g를 비커에 넣은 뒤 Hot plate로 혼합용액의 온도를 50ºC로 맞추고 Homogenizer를 통해 500 RPM에서 4시간동안 혼합하였다. 혼합 solution을 가지고 vacuum filtration을 진행하였으며 vacuum filtration시 pore size가 1 µm 이하인 filter를 사용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경화를 위해 120ºC 오븐에서 6시간 경화를 진행하였다.
2.2 시편 분석
시편 내부의 CF의 배열을 확인하기 위해 디지털 현미경(PRESTIGE 1.7x – 660x, TAGARNO)를 사용하여 시편 단면을 관찰하였다. TGA 분석을 통해 시편 속 CF 함량을 알아보았다.
2.3 열 물성치 측정
Vacuum filtration을 통해 제작된 시편 속 강화재는 Fig. 1과 같은 방향으로 배열되며 시편 속 강화재의 배열 방향은 In-plane과 Through-plane으로 구분하였다. 제작된 시편의 열전도도 측정을 위해 시편을 10 mm ∙ 10 mm ∙ 2 mm로 가공한 뒤 NETZSCH사의 LFA-467 모델을 사용하여 열전도도를 측정하였다.
Fig. 1. Representative fiber direction in specimen
3. 결과
3.1 시편 단면 관찰 및 suspension 유체 특성
시편 제작 시 혼합액의 영향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로 다른 solvent 하에서 세가지의 aspect ratio의 단섬유의 혼합액(suspension)의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Table 1에서 볼 수 있다. 세 가지 solvent중 DMF, NMP, Acetone 순으로 점도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11]. Aspect ratio 별 점도의 차이는 섬유 길이에 따른 영향으로 섬유 길이가 짧을수록 다소 낮은 점도 값을 나타내는데 짧은 섬유들에서 유체의 유동성이 증가하여 낮은 점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경향은 유사 연구 결과 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12,13].
Table 1. Viscosity of suspension with solvents and fibers under different aspect ratio
Aspect ratio가 낮은 단섬유의 suspension 혼합액을 이용했을 때 비교적 낮은 점도의 suspension 유체 환경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결과는 배열성을 부여하는 환경이 주어졌을 때 높은 점도의 유체환경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점도의 유체환경에서 배열성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제작된 시편 속 fiber의 배열을 확인하기 위해 단면을 관찰하였고 이를 Fig. 2에 나타내었다. 단면 관찰 결과 fiber가 각 방향별로 배열이 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GA 분석 결과 aspect ratio가 낮을수록 다소 높은 wt.%를 보였고 약 10% 내외의 결과값의 차이를 보였다.
Fig. 2. Cross-section of each specimen
3.2 열전도도 측정 결과
각 시편에 대해 열전도도를 측정한 결과를 Fig. 3와 Table 2, 3에 나타내었다. Through-plane 방향에서 세 가지 solvent에 대해 모두 Aspect ratio가 낮을수록 높은 열전도도를 보였으며 Acetone, NMP, DMF 순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Through-plane의 경우 aspect ratio가 25인 시편의 열전도도를 기준으로 했을 때 aspect ratio가 15인 시편의 열전도도는 순서대로 48.39%, 37.80%, 18.42%의 향상된 수치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solvent와 fiber의 aspect ratio가 배열에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Table 1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각 solvent 별 점도의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각 aspect ratio 별로 각기 suspension 유체의 점도가 다른것을 볼 수 있다. 즉 높은 aspect ratio의 fiber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점도 값을 갖는 suspension 유체 환경이 만들어졌으며 높은 점도 suspension 유체 환경에서 성형 시 상대적으로 낮은 배열성이 부여되는 것을 열전도도 측정 결과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3. Thermal conductivity of specimen using (a) Acetone (b) DMF (c) NMP
Table 2. In-plane thermal conductivity of each specimen
Table 3. Through-plane thermal conductivity of each specimen
하지만 사용된 세 가지 solvent 중 가장 낮은 점도를 갖는 DMF의 열전도도가 가장 낮은 것을 보면 무조건 점도가 낮을수록 열전도도가 높다고는 할 수 없고, 동일한 solvent 조건에서 aspect ratio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점도 차이가 배열에 영향을 줘서 열전도도에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4. 결론
본 연구에서는 Vacuum filtration을 사용하여 CFRP를 제작하였고 세 가지 solvent와 aspect ratio를 갖는 CF를 사용하여 복합재료를 제작하였다. 현미경을 통해 제작된 시편의 단면을 관찰하였고 열전도도 측정을 통해 시편 속 CF의 배열성을 확인하였다. 열전도도 측정 결과, Through-plane 방향이 In-plane 방향보다 높은 열전도도를 보였으며 Acetone, NMP, DMF 순으로 각각 13.01 W/m·K, 10.32 W/m·K, 8.69 W/m·K의 높은 열전도도를 보였다. 이는 시편 제작에 사용된 solvent와 CF의 aspect ratio 차이로 인해 solution 용액의 점도가 달라졌으며 solution 유체 환경과 fiber의 특성이 vacuum filtration을 통한 CF 배열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강화재의 배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공정을 통해 나온 결과들을 이용하여 방열성 복합재료 제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후기
본 연구는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주요사업(PK2303D4, 경전철시스템의 유지보수 기술 고도화 및 효율화 핵심기술개발)으로 수행된 것이며 지원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References
- Hong, H., Bae, K.J., and Yu, J., "Effect of Boron Nitride on Mechanical Properties,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Composites Research, Vol. 33, No. 3, 2020, pp. 153-160. https://doi.org/10.7234/COMPOSRES.2020.33.3.153
- Jeong, I., Kim, Y., and Goh, M., "Development of Highly Thermal Conductive Liquid Crystalline Epoxy Resins Bearing Phenylcyclohexyl Mesogenic Moieties," Composites Research, Vol. 30, No. 6, 2017, pp. 350-355. https://doi.org/10.7234/COMPOSRES.2017.30.6.350
- Kim, S.Y., Noh, Y.J., Jang, J.U., and Choi, S.K., "Conductive Properties of Thermoplastic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Highly Filled with Carbon Fiber Fabrics and Conductive Carbon Fillers," Composites Research, Vol. 34, No. 5, 2021, pp. 290-295. https://doi.org/10.7234/COMPOSRES.2021.34.5.290
- Khan, Z.I., Arsad, A., Mohamad, Z., Habib, U., and Zaini, M.A.A., "Comparative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Carbon Fiber and Glass Fiber Reinforced Epoxy Composites," Materials Today: Proceedings, Vol. 39, 2021, pp. 956-958. https://doi.org/10.1016/j.matpr.2020.04.223
- Cho, H.K., "Nano-Composite's Mechanical and Radioactive Barrier Characteristics by Nano Size CNT & Graphite Particles Alignment," Composites Research, Vol. 26, No. 6, 2013, pp. 355-362. https://doi.org/10.7234/COMPOSRES.2013.26.6.355
- Jung, S.Y., and Paik, K.W., "Effects of Alignment of Graphene Flakes on Water Permeability of Graphene-epoxy Composite Film," 2014 IEEE 64th Electronic Components and Technology Conference (ECTC). IEEE, 2014.
- Choi, B.K., Lee, H.J., Choi, W.K., Lee, M.K., Park, J.H., Hwang, J.Y., and Seo, M.K., "Effect of Carbon Fiber Content on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MI Shielding Efficiency, and Radiation Energy of CMC/PVA Composite Papers with Carbon Fibers," Synthetic Metals, Vol. 273, 2021, 116708.
- Jiang, Y., Shi, X., Feng, Y., Li, S., Zhou, X., and Xie, X.,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and Ideal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Containing Polymer Modified Hexagonal Boron Nitride,"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107, 2018, pp. 657-664. https://doi.org/10.1016/j.compositesa.2018.02.016
- Zheng, X., Kim, S., and Park, C.W., "Enhanc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of Carbon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 With Copper and Boron Nitride Particles," Composites Part A: 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Vol. 121, 2019, pp. 449-456. https://doi.org/10.1016/j.compositesa.2019.03.030
- Li, M., Ali, Z., Wei, X., Li, L., Song, G., Hou, X., Do, H., Greer, J.C., Pan, Z., Lin, C.T., Jiang, N., and Yu, J., "Stress Induced Carbon Fiber Orientation for Enhanced Thermal Conductivity of Epoxy Composites," Composites Part B: Engineering, Vol. 208, 2021, 108599.
- Lee, S.K., and Choi, S.W., "Effect of the Alignment of Milled Carbon Fiber Dispersed in Various Solvents," Vol. 35, No. 1, 2022, pp. 47-51.
- Pu, L., Xu, P., Xu, M., Song, J., and He, M., "Effect of Fiber on Rheological Properties and Flow Behavior of Polymer Completion Fluids," ACS Omega, Vol. 6, No. 27, 2021, pp. 17136-17148. https://doi.org/10.1021/acsomega.0c05346
- Iwamoto, S., Lee, S.H., and Endo, T., "Relationship between Aspect Ratio and Suspension Viscosity of Wood Cellulose Nanofibers," Polymer Journal, Vol. 46, No. 1, 2014, pp. 73-76. https://doi.org/10.1038/pj.2013.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