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이경아, 임은실, 고영, 박일수. 코로나 19 대응 경과 정리. 보건복지부 연구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2020.11.
-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주간 확진자 전주 대비 18.0% 증가. 질병관리청 보도자료. 청주: 질병관리청; 2023.04.30.
- 장병연. 신종감염병 대유행시 국가위기관리체계에 관한 연구: 학교감염예방활동을 중심으로. 대한정치학회보. 2017;25(3):69-89. https://doi.org/ 10.34221/KJPS.2017.25.3.4
- 김용민. 신종감염병 대응체계 개선을 위한 공법적 고찰: 코로나19 펜데믹 사태를 통해 개정된 감염 3법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법학논총. 2020;40(3):193-211.
- 김진학, 송민선.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업무분석과 직무만족도. 가정간호학회지. 2017;24(1):69-78. https://doi.org/10.22705/jkashcn.2017.24.1.069
- 임은실, 서인주, 김순구. 지역별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코로나 19 대응 현황과 지식, 태도, 지 지도 비교연구. 농촌간호학회지. 2020;15(2):57-65. https://doi.org/10.22715/jkarhn.2020.15.2.57
- 윤나비, 이현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발생기간 동안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정신건강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21;35(1):47-59. https://doi.org/10.5932/JKPHN.2021.35.1.47
- 안옥희, 김하정, 임현숙. 신규임용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직무교육 참여 경험. 질적연구. 2020;21(2):129-139. https://doi.org/10.22284/qr.2020.21.2.129
- 박안숙, 손미경, 조영채. 대학병원 병동 및 수술실 근무 간호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피로 수준에 관련된 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3;14(4):1781-1791. https://doi.org/10.5762/KAIS.2013.14.4.1781
- 주은실. 한국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융합정보논문지. 2018;8(2):67-75.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2.067
- 오진영, 하영미.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작업환경, 심리적 업무요구, 피로가 근골격계 증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2020;18(11):559-569. https://doi.org/10.14400/JDC.2020.18.11.559
- 공은정, 김진희. COVID-19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피로와 역할과 부담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22;22(7):432-442. https://doi.org/10.5392/JKCA.2022.22.07.432
- Zhan YX, Zhao SY, Yuan J, Liu H, Liu YF, Gui LL et al. Prevalence and influencing factors on fatigue of first-line nurses combating with COVID-19 in China: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study. Current Medical Science. 2020;40(4):625-635. https://doi.org/10.1007/s11596-020-2226-9
- 강희정, 이미향, 임효남, 이경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도,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임상간호연구. 2022;28(3):299-307. https://doi.org/10.22650/JKCNR.2022.28.3.299
- 노요섭. 민간항공사 운항승무원의 피로 관련요인: 근무조건, 작업강도, 보상만족, 조직몰입을 중심으로. 한국비교정부학보. 2015;19(3):125-141. https://doi.org/10.18397/kcgr.2015.19.3.125
- 이수연, 전병준, 김효선. 장시간 근로와 인식된 조직성과: 업무강도와 일가족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019;32(11):1917-1934. https://doi.org/10.18032/kaaba.2019.32.11.1917
- 권명순, 간진숙, 이아람. 신규임용 보건진료 전담공무원의 직무교육이 성취동기와 자기효능감 에 미치는 영향. 교육혁신연구. 2021;31(3):1-20. https://doi.org/10.21024/pnuedi.31.3.202109.1
- Dincer B, Inangil D. The effect of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on nurses' stress, anxiety, and burnout level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Explore. 2021;17(2):109-114. https://doi.org/10.1016/j.explore.2020.11.012
- Sagherian K, Steege LM, Cobb SJ, Cho H. Insomnia, fatigue and psychosocial well-being during COVID-19 pandemic: A cross-sectional survey of hospital nursing staff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20;20(10):1111-1137. https://doi.org/10.1111/jocn.15566
- Ruiz-Fernandez MD, Ramos-Pichardo JD, Ibanez-Masero O, Cabrera-Troya J, Carmona-Rega MI, Ortega-Galan AM. Compassion fatigue, burnout, compassion satisfaction and perceived stress in healthcare professionals during the COVID-19 health crisis in Spain.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20;29(21-22):4321-4330. https://doi.org/10.1111/jocn.15469
- Labrague LJ, Santos JA. Resilience as a mediator between compassion fatigue, nurses' work outcomes, and quality of care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pplied Nursing Research. 2021;61:151476-151495. https://doi.org/10.1016/j.apnr.2021.151476
- 오명미. 간호사의 소명의식과 보상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중소병원의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과 일반병동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인천]: 가천대학교; 2017. 41 p.
- Arcadi P, Simonetti V, Ambrosca R, Cicolini G, Simeone S, Pucciarelli G et al. Nursing during the COVID-19 outbreak: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Nursing Management. 2021;29(5):1111-1119. https://doi.org/10.1111/jonm.13249
- 김순애, 강영실.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의 전문직업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18;19(1):466-476. https://doi.org/10.5762/KAIS.2018.19.1.466
- Sikaras C, Ilias I, Tselebis A, Pachi A, Zyga S, Tsironi M et al. Nursing staff fatigue and burnout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Greece. AIMS Public Health. 2022;9(1):94-105. https://doi.org/10.3934/publichealth.2022008
- 하재현, 이현주, 김기련. 코로나19 전담병원 간호사의 감염관리 피로, 공감역량이 재난간호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지. 2022;29(4):461-471. https://doi.org/10.7739/jkafn.2022.29.4.4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