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Geoparks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지질공원 및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 Received : 2022.12.20
  • Accepted : 2023.01.27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geoparks. It i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of geopark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and effective geopark education. Education using geoparks has the effect of helping students cultivate inquiry and learning skills, enhancing students' participation in classes. To provide education with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liver meanings of the geopark education to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educate future generations. However, despite the advantages and needs of geopark education,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lack an understanding of geoparks. In this study, 56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in earth science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Gyeongsangbuk-do were investigated for: their perception levels of geoparks, experience, necessity, and learning method of geopark education. As a result,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ere well aware of the geoparks, but they lacked knowledge of domestic and global geoparks, confirming the need for geopark education. Currently, the degree of geopark education in the secondary curriculum is insufficient, and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feel the need for it. However, since the understanding of geopark is lacking, support for geopark education is needed.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being positive about the need for geopark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geopark education will be active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social, and comparison education when they become teachers in the future.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과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질공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질공원을 활용한 교육은 학생의 탐구 능력 및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를 교육할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질공원 교육의 이점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 소재 A 대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6명을 대상으로 지질공원에 대한 인지와 이해 수준, 지질공원 교육 경험, 지질공원 교육 필요성, 지질공원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지만, 국내 및 세계 지질공원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부족한 이해 수준과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현행 중등교육에서 지질공원 교육을 다루는 정도가 부족하고 예비교사들이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나 이해 정도가 부족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 지질공원 교육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지구과학교육 현장, 사회교육 현장, 비교과 교육 현장 등에서 지질공원 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Daegu University Future Scholars Program, 2021.

References

  1. 강가령, 조형성, 김현주, 김선웅, 손문, 김진섭, 백인성 (2014). 부산 국가지질공원의 지질명소와 지질유산의 가치: 지질탐방로를 중심으로. 지질학회지, 50(1), 21-41. 
  2. 교육부(2015).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 2015-74호. 
  3. 권홍진, 김찬종(2007). 야외 지질 학습에 대한 초임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8(1), 14-23. 
  4. 길영우, 최돈원, 정우철, 조윤수, 정려진(2018). 야외 지질학습장으로써 서낭바위 일대의 지질학적 가치.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9(2), 164-177. 
  5. 김덕호, 홍승호(2012). 세계지질공원 제주도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초등과학 지역 자료 개발. 교원교육, 28(3), 135-158. 
  6. 김창환(2018). 국가지질공원 지오사이트와 고등학교 한국지리 학습내용과의 관련성.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3), 187-200.  https://doi.org/10.35149/JAKPG.2018.28.3.013
  7. 김창환, 정해용(2014). 교육과 학습의 장(場)으로서 지질 공원 활용에 관한 연구: 강원평화지역지질공원을 사례로. 한국지리학회지, 3(2), 89-96. 
  8. 김태형, 공달용, 임종덕(2014). 예비 교사들의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과 교육의 필요성. 문화재, 47(2), 32-45.  https://doi.org/10.22755/KJCHS.2014.47.2.32
  9. 김해경(2018). 야외 지질학습장으로서 압해도 동측 해안 노두의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0(3), 197-210. 
  10. 김해경, 오강호(2017). 해안의 노두에서 야외 지질학습 코스의 개발과 교수-학습 전략-목포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도서연구, 29(1), 187-202. 
  11.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 지질 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https://doi.org/10.5467/JKESS.2013.34.3.274
  12. 박정웅(2021). 지질공원이란 무엇일까? 현장과학교육, 15(3), 314-320. 
  13. 백인성, 김숙주, 허민, 이수재, 임종덕, 김현주(2010). 지질 유산의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과 활용-국내 백악기 공룡화석산지를 중심으로-. 문화재, 43(1), 4-27.  https://doi.org/10.22755/KJCHS.2010.43.1.4
  14.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 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15. 유완상, 문창규(2016). 국가지질공원의 인지도 조사 및 분석. 지질학회지, 52(5), 561-574. 
  16. 전영호, 진홍진, 최변각, 박정웅, 김찬종(2007). 지구과학 교사 연구 모임 참여 교사의 야외 지질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과 실행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8(6), 686-698. 
  17. 정해용(2011). GIS를 이용한 강원도 DMZ 지리공원 (Geopark) 거점시설 최적지 선정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조규성, 변흥룡, 김정빈(2002).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과 활용에 따른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과 학업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3(8), 649-658. 
  19. 조규성, 양우헌,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 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 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20. 조형성, 김종선, 강희철, 박정웅, 신승원, 채용운, 하수진, 김형수, 임현수(2021). 화성 지질공원 우음도 지질 명소의 지질학적 가치와 지질교육에의 활용. 지질학회지, 57(3), 257-273. 
  21. 주성옥, 우경식(2019). 국내 지질유산의 보전을 위한 지질학적 가치평가 방법 제안. 지질학회지, 55(2), 149-163. 
  22. 최윤성, 김찬종, 최승언(2018) 야외지질학습에 대한 예비 중등 지구과학 교사의 인식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9(3), 291-302. 
  23. Lavie Alon, N., & Tal, T. (2017). Field trips to natural environments: how outdoor educators use the physical environ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Part B, 7(3), 237-252. 
  24. Manner, B. M. (1995). Field studies benefit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43(2), 128-131.  https://doi.org/10.5408/0022-1368-43.2.128
  25. Martini, G., & Zouros, N. (2001). European geoparks: Geological heritage & european identity - cooperation for a common future. In Frey, M-L. (Ed.), European Geoparks Magazine, Issue 1 (2001), 4. 
  26. Orion, N. (1989). Development of a high-school geology course based on field trips. Journal of Geological Education, 37(1), 13-17.  https://doi.org/10.5408/0022-1368-37.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