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sign of the Appraisal System of Permanent Archival Institutions : Focused on the Seoul Metropolitan Archives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평가체계 설계 연구 서울기록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3.30
  • Accepted : 2023.04.21
  • Published : 2023.04.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sign an evaluation system applicable to perman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focusing on the Seoul Archives, in order to implement the reevaluation of permanent record management institutions. As a process for this, an area for evaluating evidence, administrative, and historical values was established and detailed evaluation factors were derived. In order to effectively apply the set evaluation factors, the evaluation procedure was design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stages. In the first stage of law-based evaluation, long-term preservation was determined by identifying the position and legal form of policymakers that can be immediately evaluated according to clear standards. Records that have not been determined for long-term preservation were reorganized into evaluation factors, such as record management standards, official document classification tables, pledges, and policies, which are the second stage of business function-based evaluation, and then comprehensively applied to review the validity of long-term preservation of held records. In the second stage of evaluation, records that were not judged as long-term preservation were judged by applying historical events, cultural assets, and collection policies in the subject-based evaluation stage, which is the third stage of evaluation. The designed evaluation system can find significance in minimizing the arbitrariness reflected in the evaluation and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evaluation, and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evaluate comprehensively reflecting the various contexts and values of the records. In addition, a re-evaluation system suitable for permanent records management institutions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balanced macro-evaluation and micro-evaluation.

본 연구는 영구기록물관리기관의 재평가 이행을 위해 서울기록원을 중심으로 영구기록물관리기관에 적용 가능한 평가체계 설계를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한 과정으로 증거적·행정적·역사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영역을 설정하고 세부평가요소들을 도출하였다. 설정된 평가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3개 단계로 구분하여 평가절차를 설계하였다. 1단계 법규기반 평가 단계에서는 분명한 기준에 의해 즉각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정책 결정권자의 직책, 법정 서식 식별 등을 통해 장기보존 여부를 판단하였다. 장기보존으로 결정되지 않은 기록물은 다시 2단계 업무기능기반 평가 단계인 기록관리기준표, 공문서분류표, 공약·정책 등을 평가요소로 재구성한 후 종합적으로 적용하여 보유기록물의 장기보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2단계 평가에서도 장기보존으로 판단되지 않는 기록은 3단계 평가인 주제기반 평가단계에서 역사적사건, 문화재, 수집 정책 등을 적용하여 기록의 역사적 가치 판단을 수행하였다. 설계된 평가체계는 평가에 반영되는 자의성을 최소화하고 평가의 효율성을 높였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기록물이 가진 다양한 맥락과 가치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평가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균형 잡힌 거시평가와 미시평가를 결합하여 영구기록물관리 기관에 적합한 재평가체계를 수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법률 제18740호.
  2.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대통령령 제32772호.
  3.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1] 기록물의 보존기간별 책정 기준
  4. 국가기록원. (2022). 기록물 평가.폐기 절차 제2부 : 영구기록물관리기관용. NAK 5-2:2022(v1.2).
  5. 국가기록원. (2022). 영구기록물관리기관 표준모델 : 기능 및 업무절차. NAK 9-2: 2022(v2.3).
  6. 문헌정보-기록의 관리를 위한 평가. KS X ISO/TR 21946.
  7. 김유승 (2019). 디지털시대의 공공기록평가에 관한 정책적 고찰 : 영국 TNA 사례를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2, 5-39.
  8. 설문원 (2012). 기록분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2(3), 203-232. https://doi.org/10.14404/JKSARM.2012.12.3.203
  9. 설문원 (2018). 공공기관의 책임성 강화를 위한 기록평가제도의 재설계. 기록학연구, 55, 5-38
  10. 설문원, 이승억 (2020). 공공기록 평가제도의 구조와 쟁점 과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1), 47-67.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1.047
  11. 설문원 (2023). 기록평가의 이론적 지향과 방법론 분석. 기록학연구, 75, 5-39.
  12. 이수연 (2019). 공공기관의 기록물 공통처분지침 개선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13. 이승억, 설문원. (2021). 디지털 정보기술 환경에서 보존기록 평가론의 전환. 기록학연구, 67, 57-97.
  14. 장현종, 서지인. (2021). 기록관의 장기보존기록물 평가를 위한 평가업무 프로세스재설계 연구.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4), 183-200.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4.183
  15. 전보배, 설문원. (2019). 기록 평가에 관한 국제표준의 적용방안 분석: ISO 15489-1과 ISO/TR 21946을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4), 115-137.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115
  16. 정은봉 (2013). 거시적 차원의 기록 선별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17. 조애란, 양동민, 윤은하. (2020). 미국 준현용 기록관리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연방 레코드센터의 기록 이관과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3), 139-160. https://doi.org/10.14404/JKSARM.2020.20.3.139
  18. 최재희 (2014). 공공기록물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4), 153-175.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4.153
  19. 허설혜 (2021). 사회적 기록화를 위한 공공기록 평가도구 개발 방안.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전공.
  20. 현문수 (2019). 국가기록평가의 권한과 책임 분석: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중앙 및 연방정부 기록의 평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9(4), 175-209. https://doi.org/10.14404/JKSARM.2019.19.4.175
  21. 현문수 (2021). 국가기록평가의 관점에서 본 환경 분야 기록관리기준표 분석. 기록학연구, 67, 139-203.
  22. T.R. Schellenberg. (1956). Modern Archives : Principles and Techniques. 이원영 역. (2002). 현대기록학개론. 서울 : 진리탐구.
  23. 김익한, 이현정, 송영랑, 이경남, 주현미 (2019). 서울기록 수집 및 기록 콘텐츠 개발 사업 : 사업 완료 보고서, 서울기록원.
  24. 미국 국립기록청(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검색 : 2023. 03. 10. https://www.archives.gov
  25. 영국 국가기록원(The National Archives). 검색 : 2023. 03. 10. https://www.nationalarchives.gov.uk
  26. 캐나다 국가기록원(Library and Archives Canada). 검색 : 2023. 03. 10. https://libraryarchives.canada.ca/eng
  27. 호주 국가기록원(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검색 : 2023. 03. 10. https://www.naa.gov.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