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usion of the Guardianship System and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 Focusing on the Enactment and the Application of the 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 -

의사능력에 기반한 후견제도와 정신건강복지법의 융합 - 북아일랜드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의 제정 과정과 그 의의를 중심으로 -

  • 유기훈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인문의학교실)
  • Received : 2023.09.11
  • Accepted : 2023.09.22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When a person with diminished mental capacity refuses necessary medical care, normative judgments about when paternalistic intervention can be justified come into question. A typical example is involuntary hospitalization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traditionally governed by mental health law. However, Korean civil law reform in 2011 introduced a new form of involuntary hospitalization through guardianship legislation, leading to a dualized system to involuntary hospitalization. Consequently, a conflict has arisen between the 'best interest and surrogate decision-making' paradigm of civil law and the 'social defense and preventive detention' paradigm of mental health law. Many countries have criticized this dualized system as not only inefficient but also unfair. Moreover, the requirement for the presence of 'mental illness' for involuntary hospitalization under mental health law has faced criticism for unfairly discriminating against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In response,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grate guardianship legislation and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This study examines the legislative process and framework of the 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 which reorganized the mental health care system by fusing guardianship legislation with mental health law based on mental capacity. By analyzing the case of Northern Ireland, which has grappled with conflicts between guardianship legislation and mental health law since the 1990s and recently proposed mental capacity as a single, non-discriminatory standard, we aimed to offer insights for the Korean guardianship and mental health systems.

의사결정능력이 저하된 자가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거부하거나 적절히 의사를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 외부로부터의 후견주의적·예방적 개입이 언제 정당화될 수 있는지에 대한 규범적 판단이 쟁점이 된다. 이러한 어려움은 정신의료에서의 비자의 입원의 경우 더욱 명확하게 드러나며, 국내에서는 전통적으로 '정신질환의 존재'와 '자타해 위험'을 주된 요건으로 하는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하여 비자의 입원을 시행해 왔다. 그러나 2011년 민법 개정으로 민법상 후견제도를 통한 비자의 입원의 방식이 새롭게 도입되며, 국내의 비자의 입원은 형식상 이원화된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때, 후견제도를 통한 비자의 입원은 당사자에게 '의사결정능력의 저하'가 있고, 개입이 '당사자의 복리 증진'에 부합할 것을 실행의 요건으로 한다는 점에서 정신건강복지법에 근거한 비자의 입원과 그 목적과 성질을 달리한다. 정신적 능력이 저하된 당사자에 대한 비자의 입원이 이처럼 정신보건법을 통한 방식과 후견제도를 통한 방식으로 이원화되는 양상은 해외에서도 유사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대상자가 고령화되어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치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아지고 정신질환과 신체질환의 구분이 모호한 노인성 정신질환의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민법상 '최선의 이익-대리의사결정' 패러다임과 정신보건법상의 '사회방위-예방적 구금' 패러다임이 정신장애인에 대한 법적 규율 영역에서 중첩되고 서로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해외에서는 이러한 이원화된 체계가 비효율적이고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는 지적이 이어졌으며, 나아가 '정신질환'이 있을 것을 근거로 하여 후견주의적·예방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정신보건 법제의 비자의 입원 요건은 정신장애인에 대한 부당한 차별에 해당한다는 비판도 꾸준히 이루어졌다. 이에 해외에서는 '의사능력'을 기초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 법제를 융합(fusion)하여, 능력이 저하된 개인에 대한 후견적·예방적 개입을 일관되게 규율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는 의사능력 저하자의 신체질환과 정신질환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을 동일한 체계 속에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지 '정신장애'를 지니고 있다는 것만으로 차별적으로 대우하는 정신보건법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능력을 기반으로 후견제도와 정신보건법을 융합(fusion)하여 정신의료 서비스 체계를 새롭게 재구성한 전 세계 최초의 사례인 영국 북아일랜드 정신능력법(Mental Capacity Act 2016)의 제정 과정과 구체적 작동방식을 분석하였다. 후견제도와 정신보건 간의 충돌의 문제를 1990년대부터 고민하여 최근 2016년 '의사능력' 이라는 단일하고 비차별적인 기준을 제시한 영국 북아일랜드의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후견 및 정신보건 제도에의 함의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신권철, 「정신겅강복지법 해설(입원편)」, 법문사, 2018.
  2. 양창수 편, 「민법주해 I-총칙 (1)」, 박영사, 2022.
  3. 제철웅 외, 「정신건강과 법」, 홍문사, 2022.
  4. Diamond, B., Legal Aspects of Mental Capacity: a Practical Guide for Health and Social Care Professionals, 2nd eds., Blackwell Publishing, 2016.
  5. Grisso, T.& Appelbaum, P.S., Assessing Competence to Consent to Treatment - a Guide for Physicians and Other Health Professionals,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6. Sadock, B.J.et al., Kaplan&Sadock's Synopsis of Psychiatry: Behavioral Sciences/Clinical Psychiatry, Wolters Kluwer, 2015.
  7. Szmukler, G., Men in White Coats: Treatment under Coerc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8.
  8. 강대선.이명헌, "복지서비스이용자의 자율과 최선의 이익을 위한 영국 독립적 의사대변인조직(IMCA)의 의사결정지원활동에 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 제16권 1호, 2016.
  9. 김도희, "정신질환 범죄자 치료적 사법모델과 복지인권 패러다임 결합의 제문제", 정신질환 범죄자에 대한 바람직한 치료와 복지시스템 마련을 위한 정신질환 범죄자의 치료와 복지의 결합 토론회 자료집, 2019.8.29.
  10. 김수정,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대행결정권과 공동의사결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0권 2호, 2019.
  11. 김형석, "민법 개정안에 따른 성년후견법제", 「가족법연구」 제24권 2호, 2010.
  12. 이재경, "정신질환자의 비자발적 입원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독일법을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10권 2호, 2009.
  13. 제철웅, "영국법에서 의사결정무능력 성인의 보호제도의 역사적 전개와 2005년의 정신능력법의 특징", 「비교사법」 제17권 4호, 2010.
  14. 제철웅, "요보호성인의 인권존중의 관점에서 본 새로운 성년후견제도", 「민사법학」 제56호, 2011.
  15. 제철웅,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의 시행과 치료, 입원, 퇴원 절차에서의 정신장애인 지원 방안", 「서울법학」 제25권 3호, 2017.
  16. 제철웅.정민아, "신상보호 영역에서의 지원의사결정 제도-영국 정신능력법상의 제도를 중심으로", 「의생명과학과법」 제23권, 2020.
  17. 하명호, "정신보건법상 보호의무자에 의한 입원", 「안암법학」 제36호, 2011.
  18. Andreasen, N.C., "The Core Dimensions of Schizophrenia", in Geddes J.R.et al. eds, The New Oxford Textbook of Psychiatry, 3rd ed.Oxford University Press, 2020.
  19. Dawson, J.& Szmukler, G., "Fusion of Mental Health and Incapacity Legislation",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8.6, 2006.
  20. Harding, R., "Challenging Capacity: Shifting Paradigms of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Law, Medicine and Society", in Jacob, M.& Kirkland, A.eds., Research Handbook on Socio-Legal Studies of Medicine and Health. Edward Elgar Publishing, 2020.
  21. Redley, M, et al., "Mental Capacity Act (England and Wales) 2005: The Emergent Independent Mental Capacity Advocate (IMCA) Service",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0.6, 2010.
  22. Szmukler, G., "The Fusion Law Proposal and the CRPD", in Ashley Stein, M. et al.eds, Mental Health, Legal Capacity, and Human Right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23. Welsh, S. F., "Deprivation of Liberty Safeguards: Past, Present and Future", in Jacob R.et al.eds., Mental Capacity Legislation: Principles and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24. Clare, I.C.H. et al., Understand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Mental Capacity Act's Deprivation of Liberty Safeguards (MCA-DOLS) and the Mental Health Act (MHA), July, 2013.
  25. Department for Constitutional Affairs, Mental Capacity Act 2005 Code of Practice, 2007, London: TSO.
  26. Department of Health, Mental Capacity Act (Northern Ireland) 2016: Deprivation of Liberty Safeguards Code of Practice, Nov.2019.
  27. The Bamford Review of Mental Health and Learning Disability (Northern Ireland), A Comprehensive Legislative Framework, Aug.2007.
  28. The Law Commission, Mentally incapacitated Adults and Decision-Making: An Overview, Consultation Paper No.119, 1991.
  29. The Law Commission, Mentally incapacitated Adults and Decision-Making: A New Jurisdiction, Consultation Paper No.128, 1993.
  30. The Law Commission, Mentally incapacitated Adults and Decision-Making: Medical Treatment and Research, Consultation Paper No.129, 1993.
  31. The Law Commission, Mentally incapacitated Adults and Decision-Making: Public Law Protection, Consultation Paper No.130, 1993.
  32. The Law Commission, Mental Incapacity, Consultation Paper No.231, 1995.
  33. 헌법재판소 1991.6.3.선고, 89헌마204 결정.
  34. 대법원 1994.4.15.선고, 92다25885 판결.
  35. 대법원 2002.10.11 선고 2001다10113 판결.
  36. 대법원 2009.5.21.선고, 2009다17417 판결.
  37. 대법원 2014.3.13.선고 2009다53093, 2009다53109 판결.
  38. 대법원 2022.12.1.선고 2022다261237 판결.
  39. 국가인권위원회 2014.7.7.자 13-진정-0733200 결정.
  40. AG (by her litigation friend the Official Solicitor) v BMBC & SNH [2016] EWCOP 37.
  41. AM v. South London and Maudsley NHS Foundation Trust and the Secretary of State for Health [2013] UKUT 0365 (AAC).
  42. GJ v. The Foundation Trust [2009] EWHC 2972 (Fam).
  43. H.L. v. United Kingdom 45508/99 [2004] ECHR 720.
  44. P (by his litigation friend, the Official Solicitor) v Cheshire West and Chester Council and another [2011] EWCA Civ 1257 [2012] PTSR 1447.
  45. P v Cheshire West & Chester Council; P & Q v Surrey County Council [2014] UKSC 19.
  46. PC v NC v City of York Council [2013] EWCA Civ 478.
  47. "Concluding observations on the combined 2nd and 3rd periodic re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UN Committee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CRPD/C/KOR/CO/2-3, 27th session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