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ssues Related to Self-administration of Medicines by Medical Personnel

의료인의 자가 투약 관련 약사법 쟁점

  • Received : 2023.09.03
  • Accepted : 2023.09.22
  • Published : 2023.09.30

Abstract

This paper reviewed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ssues in case of self-administration of medicines by medical personnel without going through the general process (prescription, dispensing, distribution, administration). If a medical personnel self-medicates, the medicine supplier or medical personnel may be subject to criminal punishment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The core reprehensibility of the punishment lies in undermining the order in distribution of medicines stipulated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First, the sale of medicines by a medicine supplier to medical personnel may be the violation of Article 47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However, if it was distributed for the case where medical personnels can dispense it directly under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t can be justified unde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justifiable act, the exclusion of illegality). If medicine suppliers distribute medicines knowing that the medical personnel acquires medicines for selfadministration, they can be punished as the violation of Article 47 of Pharmaceutical Act. Second, when a medical personnel acquires a medicine for the purpose of self-administration, the medicine supplier distributes the medicine under the false pretense that the medical personnel acquires the medicine for the case in which the medical personnel can directly dispense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At this time, even if the medicine supplier has received all the payment for the medicines, the distribution of the medicines by deceit can constitute the fraud under the Criminal Act. Third, self-administration by medical personnel is a the violation of Article 23 of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It is not a justifiable act under the general provision of the Criminal Act. This is because it is the abuse of the special status granted to medical personnel in the Pharmaceutical Affairs Act, which undermines the order in distribution of medicines.

의료인이 환자에게 직접 조제한다는 이유로 의약품공급자로부터 의약품을 취득하여 보관하고 있다가 스스로에게 투약한 경우의 약사법상 쟁점을 검토하였다. 의료인이 자가 투약 행위를 한 경우 의약품공급자나 의료인이 약사법에 따라 형사처벌될 수 있다. 그 가벌성은 약사법에서 규정한 의약품 유통 질서 훼손에 있다. 첫째, 의약품공급자가 의료인에게 의약품을 판매하는 것은 약사법 제47조 제1항 제1호 나목 위반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 다만, 약사법상 허용되는 직접 조제를 위해 판매한 경우 형법상 정당행위에 해당하여 위법성이 조각된다. 그러나 의약품공급자가 의료인의 자가 투약 목적을 알면서도 의약품을 판매한다면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아서 형사처벌될 수 있다. 둘째, 의료인이 약사법상 직접 조제를 위하여 의약품을 취득한다고 명시적, 묵시적으로 의약품공급자를 기망하고 의약품을 취득하여 자가 투약한 경우, 기망에 의한 의약품 교부로 의료인에게 형법상 사기죄가 성립할 수 있다. 셋째, 의료인의 자가 투약 시 약사법상 조제 행위가 수반되므로 약사법 제23조 제1항 위반죄의 구성요건에 해당한다. 이때 위법성이 조각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의료인의 자가 투약 행위는 약사법에서 의료인에게 부여한 특별한 지위를 남용한 것으로 의약품 유통 질서를 해치고 의약분업의 취지를 훼손하는 것이어서 형법상 정당행위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감사보고서-의약품 안전관리실태」, 감사원, 2020.
  2. 김병곤, "신약사법상의 의약분업의 법리", 「동아법학」, 2007.
  3. 김진현 . 박성민, "의약품 리베이트 문제의 원인과 정책적 해결 방안",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019.
  4. 김태명, "편면적 대향범에 가담한 자에 대한 형법총칙상 공범규정의 적용 가부", 「형사판례연구」, 2013.
  5. 박균성, 「행정법 강의 제16판」, 박영사, 2019.
  6. 박일제, 「한국의 의약분업정책 평가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7. 법제처 07-0073, 보건복지부, 2007.
  8. 보건복지부, 「의약분업 종합 편람」, 보건복지부, 2000.
  9. 보건복지위원회, 「약사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보건복지위원회, 2021.
  10. 이정원, "제조업자의 염산날부핀 판매행위와 필요적 공범", 「형사법연구」, 2008.
  11. 이재현, 「약사법 해설」, 데일리팜, 2011.
  12. 이창훈, "의약분업을 본다; 대한의사협회의 입장", 「시민과 변호사」, 2000.
  13. 최재천 . 박영호, 「의료과실과 의료소송」, 육법사,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