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 수학 6-2. 대교출판.
- 강하람, 임채령, 조한혁(2021). 수학교과와 정보교과를 융합하는 코딩수학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연구. 수학교육, 60(4), 467-491.
- 강향임, 최은아(2015). 초등수학 영재교육 대상자의 원주율 개념에 대한 이해. 수학교육논문집, 29(1), 91-110.
- 곽소정, 권지은(2021). 알지오매스를 활용한 수학 체험 공간의 콘텐츠 모델 개발. Journal of Digital Art Engineering & Multimedia Vol, 8(2), 145-152. https://doi.org/10.29056/jdaem.2021.06.03
- 관계부처합동(2022). 디지털 인재양성 종합방안. 교육부 보도자료(2022.08.22.).
- 교육부(2021). 수학 6-1. 천재교육.
- 교육부(2020).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20-236호(별책 8).
- 교육부(202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공고 제 2022-414호(별책 8).
- 교육부(2015).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5.03.16.).
- 교육부(2020). 제3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 김나리, 서용현, 조한혁(2018). 코딩수학 내용 및 환경 설계-수학화와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647-673.
- 김민혁(2013). 수학교사의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활용도 조사. 학교수학, 15(3), 503-531.
- 김성수(2019). 수포자의 수학 학습 포기 경험에 대한 교육과정 사회학적 해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 수학 6-2. 아이스크림.
- 김성원, 이영준(2018).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설계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26(1), 117-120.
- 김훈주, 이승진(2022). 수학 흥미 및 성취도 제고를 위한 공학적 도구 활용에 관한 현황분석. 인문사회 21, 13(2), 2231-2246.
- 류희찬, 이은주(2013). GSP의 쌍곡원반모형을 활용한 중학교 수학영재 학생들의 쌍곡평면 테셀레이션 구성과정에 관한 연구. 학교수학, 15(4), 957-973.
-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 수학 6-2. 금성출판사.
- 박경미, 이환철, 박선화, 권점례, 강은주, 김민정, 외 37인(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II. 한국과학창의재단.
-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 수학 6-2. 두산동아.
- 박래성, 권종겸, 이동엽(2019). 중학교 수학 기하 단원에서 공학적 도구 활용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 성취도와 수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12), 67-75.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067
-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 수학 6-2. 천재교육.
-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 수학 6-2. YBM.
- 백구열(2019). 엔트리를 활용한 수학 기반의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비와 비율 개념 이해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서정환(2012). 스크래치 활용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심광섭, 심성아(2018). 파이썬 코딩을 도입한 수학 교과 지도 방안 개발-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 교과의 '소인수분해' 내용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3, 43-64.
- 신대윤(2009). 원주율 π를 3으로 했을 때 수학학습에 미치는 영향.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 수학 6-2. 비상교육.
-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 수학 6-2. 두산동아.
- 이도영, 정종인(2018). 중학교 수학 통계 영역과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융합수업이 문제해결력과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36-344. https://doi.org/10.5762/KAIS.2019.20.4.336
- 이상경(2019). 엔트리를 활용한 초등수학영재교육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광주교육대학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서빈, 고상숙(2017). 파이썬을 활용한 수학교과 코딩수업(DM)의 효과. 수학교육학연구, 28(4), 479-499.
- 임훈택, 고은성, 황은지 (2022). 초등 수학 교육과정별 원주율의 지도 내용과 지도 방법 분석: 1차 교육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2), 615-630.
-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 수학 6-2. 미래엔.
- 정동권(1998). 교사를 위한 수학사개론, 인천교육대학교(수학문화사 강좌 자체 교재).
- 정승원(2019). 수학 실험탐구용 소프트웨어 알지오매스(AlgeoMath) 소개 및 수업 적용 사례. 한국수학교육학회 뉴스레터, 35(3), 37-43.
- 조수현, 김구연. (2021). 수학 교사의 교과서 이해 및 활용 의도 탐색. 수학교육, 60(1), 111-131.
- 조혜정(2007). 중학교 학생들의 원주율 이해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주민정(2021). 알지오매스 블록 코딩을 활용한 자유학 기제 수학과 주제선택 활동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최영기, 홍갑주(2008). 원주율의 상수성과 아르키메데스의 계산법, 수학교육, 47(1), 1-10.
- 최은아(2018). 한국, 일본, 싱가포르, 미국 교과서에서 제시된 원주율과 원의 넓이 지도 방안의 비교분석.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4), 445-467. https://doi.org/10.30807/KSMS.2018.21.4.007
-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 수학 6-2. 천재교육.
- 한상현(2018). Desmos를 활용한 디지털 수학 활동 자료 개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한선관, 김수환(2010). EPL을 활용한 수학문제해결 통합교육프로그램의 학년 수준 비교.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4(3), 311-318.
- 허선희(2019). 원주율 π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홍진곤, 김선희, 신보미, 김연, 박진형, 탁병주, 황지현, 왕효현, 송창근(2020).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현장 실태 분석.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 Baravalle, H.(1969). The number π, In J. K. Baumgart (Ed.), Historical topics for the mathematics classroom. NCTM.
- Beckmann, P.(2002). 파이의 역사 (박영훈 역), 경문사. (원저 1971년 출판)
- Boyer, C. B. & Merzbach, U. C.(2000), 수학의 역사 (양영오.조윤동 역). 경문사. (원저 1968년 출판)
- Brennan, K., & Resnick, M. (2012, April). New frameworks for studying and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omputational thinking. In Proceedings of the 2012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Vancouver, Canada (Vol. 1, p. 25).
- Denzin, N. K., & Lincoln, Y. S. (1994).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Sage publications, inc.
- Gleasman, C., & Kim, C. (2020). Pre-service teacher's use of block-based programming and computational thinking to teach elementary mathematics. Digital Experiences in Mathematics Education, 6(1), 52-90. https://doi.org/10.1007/s40751-019-0005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