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a). 수학 4-1. 대교출판.
-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b). 수학 익힘 4-1. 대교출판.
- 강완, 백석윤, 전인호, 이경화, 김연, 이미연 외 15인 (2022c). 수학 4-1 지도서. 대교출판.
-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교육부.
- 권성룡(2007). 초등 수학 교과서의 규칙성과 함수 영역의 활동 고찰. 초등수학교육 10(2), 111-123.
- 김남균, 김은숙(2009). 초등학교 6학년의 패턴의 일반화를 통한 대수 학습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23(2), 399-428.
-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a). 수학 4-1. 아이스크림.
-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b). 수학 익힘 4-1. 아이스크림.
- 김성여, 강언진, 강요한, 고창수, 김보현, 김영준 외 9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아이스크림.
- 남승인(2000).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규칙성 영역의 학습 자료 개발. 수학.과학교육연구, 23, 91-121.
- 도주원(2021). 초등수학의 규칙성 영역 단원에 제시된 발문의 특성 분석. 초등수학교육, 24(4), 189-202.
-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a). 수학 4-1. 금성출판사.
-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b). 수학 익힘 4-1. 금성출판사.
- 류희찬, 유현주, 이종영, 조영미, 탁병주, 최인숙 외 20인(2022c). 수학 4-1 지도서. 금성출판사.
-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a). 수학 4-1. 두산동아.
-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b). 수학 익힘 4-1. 두산동아.
- 박교식, 정영옥, 고정화, 권석일, 남진영, 박진형 외 27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두산동아.
-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a). 수학 4-1. 천재교육.
-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b). 수학 익힘 4-1. 천재교육.
- 박만구, 강경은, 김대진, 김도경, 김수정, 김은혜 외 8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천재교육.
-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a). 수학 4-1. YBM.
-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b). 수학 익힘 4-1. YBM.
- 박성선, 류성림, 김상미, 권성룡, 김남균, 강호진 외 11인(2022c). 수학 4-1 지도서. YBM.
- 방정숙, 선우진(2016a). 초등학생의 함수적 사고 신장을 위한 기하 패턴 지도 사례의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6(4), 769-789.
- 방정숙, 선우진(2016b).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패턴 지도방안에 대한 분석. 초등수학교육, 19(1), 1-18. https://doi.org/10.7468/jksmec.2016.19.1.1
-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a). 수학 4-1. 비상교육.
-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b). 수학 익힘 4-1. 비상교육.
- 신항균, 김태환, 조보영, 김리나, 정나영, 최혜령, 외 8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비상교육.
-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a). 수학 4-1. 두산동아.
-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b). 수학 익힘 4-1. 두산동아.
- 안병곤, 나귀수, 김민경, 이광호, 류현아, 최지선 외 14인(2022c). 수학 4-1 지도서. 두산동아.
- 유미경, 류성림(2013).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패턴의 유형에 따른 일반화 방법 비교. 학교수학, 15(2), 459-479.
- 이명기, 나귀수(2012). 패턴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일반화 방법 조사. 학교수학, 14(3), 357-376.
-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a). 수학 4-1. 미래엔.
-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b). 수학 익힘 4-1. 미래엔.
- 장혜원, 서동엽, 김민회, 김선, 김주숙, 김차명 외 8인 (2022c). 수학 4-1 지도서. 미래엔.
- 최지영, 방정숙(2008).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4(2), 205-225.
- 최지영, 방정숙(2014).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인식 및 사고 과정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4(2), 205-225.
- 최혜진, 이혜은, 유수경(2007). 유치원과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패턴인식능력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223-240.
-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a). 수학 4-1. 천재교육.
-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b). 수학 익힘 4-1. 천재교육.
- 한대희, 고은성, 이수진, 조형미, 한상의, 신희영 외 11인(2022c). 수학 4-1 지도서. 천재교육.
- Blanton, M., Levi, L., Crites, T., & Dougherty, B.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In B. Dougherty, & R. Zbiek (Eds.), Essential understandings series.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방정숙, 최지영, 이지영, 김정원 공역(2017). 대수적 사고의 필수 이해. 교우사.
- Callejo, M. L., & Zapatera, A. (2017). Prospective primary teachers' noticing of students' understanding of pattern generalization.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20(4), 309-333. https://doi.org/10.1007/s10857-016-9343-1
- Ferrara, F., & Sinclair, N. (2016). An early algebra approach to pattern generalisation: Actualising the virtual through words, gestures and toilet paper.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2(1), 1-19. https://doi.org/10.1007/s10649-015-9674-3
- Hourigan, M., & Leavy, A. (2015). Geometric growing patterns: What's the rul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20(4), 31-39.
- Moss, J., & McNab, S. L. (2011). An approach to geometric and numeric patterning that fosters second grade students' reasoning and generalizing about functions and co-variation.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A global dialogue from multiple perspectives (pp. 277-301). Springer.
- Mulligan, J., Oslington, G., & English, L. (2020). Supporting early mathematical development through a 'pattern and structure' intervention program. ZDM - Mathematics Education, 52(4), 663-676. https://doi.org/10.1007/s11858-020-01147-9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NCTM.
- Pang, J., & Kim, J. (2018).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early algebraic thinking: A generalized arithmetic perspective. In C. Kieran (Ed.) Teaching and learning algebraic thinking with 5- to 12-year-olds (pp. 141-165). Springer.
- Papic, M., & Mulligan, J. T. (2007). The growth of early mathematical patterning: An intervention study. In J, Watson & K, Beswick (Eds.), Proceeding of the 30th annual conferenc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Group of Australasia. Mathematics: Essential research, essential practice (Vol. 2, pp. 591-600). Adelaide: MERGA.
- Papic, M. M., Mulligan, J. T., & Mitchelmore, M. C. (2011).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preschoolers' mathematical pattern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2(3), 237-268.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42.3.0237
- Pittalis, M., Pitta-Pantazi, D., & Christou, C. (2020). Young students' functional thinking modes: The relation between recursive patterning, covariational thinking, and correspondence relation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51(5), 631-674. https://doi.org/10.5951/jresematheduc-2020-0164
- Radford, L. (2006). Algebraic thinking and the generalization of patterns: A semiotic perspective. In S. Alatorre, J. L. Cortina, M. Saiz, & A. Mendez (Eds.), Proceedings of the 28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Vol. 1, pp. 2-21). Merida, Mexico: PME-NA.
- Radford, L. (2010). Layers of generality and types of generalization in pattern activities. Pentose Nucleic Acid (PNA), 4(2), 37-62. https://doi.org/10.30827/pna.v4i2.6169
- Reys, R., Lindquist, M., Lamdin, D. V., & Smith, N. L. (2015). Helping children learn mathematics (11th ed.). John Wiley & Sons. 박성선, 김민경, 방정숙, 권점례 공역(2017). 초등교사를 위한 수학과 교수법. 교우사.
- Twohill, A. (2018). Observations of structure within shape patterns. In C, Kieran (Ed.) Teaching and learning algebraic thinking with 5-to 12-year-olds (pp. 213-235). Springer.
- Tsamir, P., Tirosh, D., Levenson, E. S., Barkai, R., & Tabach, M. (2017). Repeating patterns in kindergarten: Findings from children's enactments of two activitie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96(1), 83-99. https://doi.org/10.1007/s10649-017-9762-7
- Wijns, N., Verschaffel, L., De Smedt, B., De Keyser, L., & Torbeyns, J. (2021). Stimulating preschoolers' focus on structure in repeating and growing patterns. Learning and Instruction, 74, 10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