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Introduction
소아 비만은 과도한 음식 섭취 또는 에너지 소비가 불충분할 경우 에너지 대사가 불균형해지고 피하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면서 체중이 일정 기준치를 초과하는 만성 질환을 말한다. 흔히 특별한 기질적 원인이 없이 발생하는 단순 비만과 유전 혹은 내분비 대사 질환, 정신질환, 약제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비만으로 분류되고 있다1). 그중에서도 내분비 및 신경계 기능에 이상이 없고 영양과다, 운동 부족 등의 생활적 요인과 관련이 있는 단순 비만이 소아 비만의 95-97%를 차지하고 있으며2), 진단기준으로는 만 2세 이상의 경우 2017년 소아 청소년 성장도표를 기준으로 연령별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가 95 백분위수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고 있다1).
국내 소아 청소년의 비만율은 최근 2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3) 2015-2019년도 학생건강검사에 따르면 그 유병률은 2015년에 10.4%, 2019년에 12.5%로 4년간 약 1.2배 증가하는 등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4).
대한비만학회 비만 진료지침에 따르면, 소아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 이행되기 쉽고1,5) 아동의 성장 발달, 지능 및 심리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며 이상지질혈증, 심혈관질환, 제 2형 당뇨병, 암 등의 질병의 고위험 인자이므로 예방적 치료를 권고하고 있다. 치료로는 식사치료, 운동치료, 행동치료를 포함한 포괄적인 생활 습관 교정을 권고하고 있으며 생활 습관 교정을 통해 체중증가가 조절되지 않고, 동반 질환이 생기는 경우에만 약물치료를 고려한다1).
하지만 약물 치료는 구역, 변비 등 보고된 부작용이 많고 대부분의 약물이 소아 청소년의 대사 및 성장 발육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장기간 추적 관찰을 통한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았다1)는 우려 때문에 한방 치료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현실이다.
≪한방소아청소년의학≫ 교과서에 의하면, 한의학에서는 비만을 膏, 肥, 肥胖, 肥人, 肉人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주요 원인은 膏梁厚味의 과식이며 주로 脾胃의 運化기능 실조로 水濕과 痰濁이 형성되어 발생하거나 혹은 반대로 水濕이나 痰濁으로 인해 脾胃의 運化 기능이 실조될 경우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2). 변증으로는 痰濕內蘊, 氣虛, 脾虛濕阻, 胃熱濕阻, 肝氣鬱結, 氣滯血瘀, 痰濁中阻, 脾腎陽虛을, 치법으로는 祛痰化濕, 補氣健脾, 健脾利濕, 淸熱利濕, 疏肝理氣, 益氣活血, 健脾化痰, 溫腎健脾 등을 기술하고 있으나, 脾虛濕阻, 胃熱濕阻, 脾腎陽虛, 陰虛內熱, 肝氣鬱結의 5개 변증에 한해서만 임상 증상, 舌象, 脈象 및 治方을 기술하고 있어 전체 변증에 따른 임상 증상, 舌象, 脈象 및 한의치료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한약 치료를 제외한 침, 이침과 같은 기타 한의치료는 변증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의학 논문을 중심으로 소아 단순 비만의 다빈도 변증 유형을 확인해보고, 변증 유형에 따른 임상 증상, 치법 및 한의치료 등을 분석하여 향후 국내에서 소아 비만 환아 진료시 사용할 수 있는 기초 진단 및 치료체계를 확립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바이다.
Ⅱ. Materials and Methods
1. 문헌 검색
문헌 검색은 중국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중국학술정보원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을 통해 시행하였다. CNKI에서 사용된 검색식은 (SU = ‘肥胖’ + ‘肥胖症’ + ‘obesity’) AND (SU = ‘小儿’ + ‘儿童’ + ‘儿’ + ‘小孩’ + ‘孩子’) AND (SU = ‘中医药’ + ‘中医’ + ‘中西医结合’ + ‘中药’ + ‘汤’ + ‘丸’ + ‘散’ + ‘饮’ + ‘颗粒’ + ‘胶囊’ + ‘自拟’ + ‘针’ + ‘刺法’ + ‘指压’ + ‘按压’ + ‘耳压’ + ‘穴位’ + ‘蜂毒’ + ‘蜂疗’ + ‘穴位注射’ + ‘按摩’ + ‘推拿’ + ‘手法’ + ‘气功’ + ‘灸’ + ‘火罐’ + ‘拔罐’)이었으며 Professional Search를 통해 검색하였다. 데이터베이스의 검색 범위와 출판 연도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으며 중영문 교차검색 기능을 사용하여 검색일인 2022년 8월 20일까지 출판된 모든 문헌을 포함하였다. 검색은 연구자 한 명 (YKJ)이 수행하였고, 타 연구자들은 검색 결과를 최종 검토하였다.
2. 문헌 선정 및 제외 기준
소아 비만 환자 중 내분비 질환이 없으며 기저질환에 의한 이차성 비만이 아닌 소아 단순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만을 포함하였다. 그중 변증 유형과 이에 따른 한의치료 (한약, 침구, 부항, 이침, 이압요법, 혈위지압요법, 추나치료 등)가 서술된 문헌만을 선정하였으며, 연구 설계에는 제한을 두지 않았다.
소아 대상 연구가 아니거나,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 혹은 다른 포함된 연구와 내용이 중복되는 경우, 변증이나 그에 따른 한의학적 치료가 명확히 서술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배제하였다.
3. 자료수집 및 추출항목
데이터베이스 (CNKI)에서 검색된 문헌은 서지정보프로그램 Endnote 20 (Clarivate Analytics, Philadelphia, PA, USA)을 통해 추출하였으며 1차로 제목과 초록을 통해 적합한 문헌을 선별하였고 2차로 전문 검토하여 최종 포함 문헌을 선정하였다.
자료 추출은 Excel 2019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 USA)를 사용하여 연구 설계에 따라 증례 보고,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 종설로 나누어 변증 유형, 임상 증상, 舌象, 脈象, 한의치료 (한약명 혹은 치료 혈위), 치법, 치료 기간 등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비만 환아가 연구 대상자이기 때문에, 임상 증상 기술에서 비만 (obesity, 形體肥胖)에 대한 용어는 제외하고 추출하였다.
Ⅲ. Results
1. 문헌 선택
데이터베이스 (CNKI) 검색 결과 총 176건의 문헌이 검색되었다. 이후 검색된 문헌의 제목과 초록을 선정 기준과 제외 기준에 따라 1차 검토한 결과 140건의 문헌이 배제되었고, 36건의 문헌이 포함되었다. 1차로 선정된 36건의 문헌을 대상으로 전문 검토를 수행한 결과, 변증 유형이 기술되지 않은 연구 2건, 한의치료가 시행되지 않은 연구 4건, 소아 대상이 아닌 연구 1건, 중복연구 2건, 상세 정보를 알 수 없는 연구가 2건으로, 총 11건의 연구가 배제되었고, 남은 25건의 문헌6-30)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Figure 1).
Figure 1. PRISMA flow chart of study selection process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포함된 문헌의 연구 설계 유형으로는 증례 보고 6편6-11),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 11편12-22), 종설 8편23-30)이었다.
2. 포함문헌 분석
1) 증례 보고
증례 보고는 총 6편으로 각 문헌에서 제시된 변증유형을 살펴보면 ①脾虛濕阻 (5편6-10)), ②胃腸濕熱 (2편6,9)), ③胃熱滯脾 (1편10)), ④肝鬱氣滯 (1편6)), ⑤肝腎陰虛 (1편6)), ⑥痰濁內盛 (1편10)), ⑦食積 (1편11)), ⑧濕重 (1편11)), ⑨脾氣虛 (1편11))로 총 9가지 변증유형이 보고되었다.
Zhang6)은 胃腸濕熱, 脾虛濕阻, 肝鬱氣滯, 肝腎陰虛로 변증된 소아 단순 비만 환아 35명을 대상으로 이침 치료를 1개월 간 시행하였고, Zhang 등7)은 脾虛濕阻로 변증된 소아 단순 비만 환아 1명에게 健脾化痰, 溫中燥濕의 치법으로 苓桂朮甘湯을 15일간 투여하였다. Peng 등8)은 脾虛濕盛으로 변증된 환아 1명에게 健脾助運利濕의 치법으로 荷澤顆粒을 10일간 투여하였으며, Liao 등9)은 脾虛濕阻으로 변증된 1명의 환아에게 健脾益氣, 化濕消腫의 치법으로 自擬減肥方加減을, 胃熱濕阻으로 변증된 1명의 환아에게 清胃瀉熱, 除濕消腫의 치법으로 瀉黃散加減을 각 3개월간 투여하였다. Li10)는 胃熱滯脾, 脾虛濕阻, 痰濁內盛으로 변증된 소아 단순 비만 환아 67명을 대상으로 각각 調胃清火, 補氣健脾, 理氣化痰의 치법으로 調胃承氣湯合保和丸加減, 七味白朮散合防己黃芪湯, 二陈平胃散加减을 10일간 투여하였다. Huang 등11)는 食積型, 濕重型, 脾氣虛型으로 변증된 소아 단순 비만 환아 22명을 대상으로 健脾化痰, 利水滲濕의 치법으로 加味茯苓湯을 1개월간 투여하였다 (Table 1).
Table 1. Characteristics of Included Case Series
d: day, EA: Ear Acupuncture, EP: Ear Point, HM: Herbal medicine, mo: month, NR: Not reported, pk: pack, tid: ter in die, w: week.
2)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은 총 11편으로, 11편 가운데 특정 변증의 비만 환아만을 모집한 문헌은 총 8편이었다. 변증 유형으로는 ①胃熱濕阻 (2편12,13)), ②脾虛濕盛 (脾虛濕阻) (2편14,15)), ③脾虛痰阻 (1편16)), ④脾胃濕熱 (1편17)), ⑤痰濕內盛 (1편18)), ⑥陰虛內熱 (1편19))의 6가지 유형으로 보고되었다.
Yao 등16)은 脾虛痰阻로 변증된 비만 환아를 대상으로 加味二陳湯加減를 3개월간 복용시켰고, 3개월동안 매일 飢點, 緣中, 內分泌, 脾, 大腸의 5개 이혈자리에 이압 치료를 병행하였다. Song17)은 脾胃濕熱로 변증된 비만 환아에게 運脾消滯의 치법으로 推脾土, 揉板門, 摩腹, 捏脊, 揉法의 추나치료를 5주간 시행하였고, Qin18)는 痰濕內盛으로 변증된 비만 환아에게 加味蒼附導痰顆粒를 12주간 투여하였다. Ju 등12)은 胃熱濕阻로 변증된 비만 환아를 대상으로 神闕 등의 혈위 마사지를 2개월간 실시하였으며, Shen13)은 胃熱濕阻 환아에게 清熱祛濕健脾의 치법으로 冬荷瀉黃顆粒을 3개 월간 투여하였다.
Mei 등19)은 陰虛內熱로 변증된 비만 환아에게 六味地黄丸을 30일 복용, 30일 휴식하는 치료법으로 총 3개월간 투여하였다. Zao15)은 脾虛濕盛으로 변증된 비만 환아에게 치료군에는 혈위 매선요법을, 대조군에는 침치료를 6주간 시행하였다. Yang14)은 脾虛濕阻로 변증된 비만 환아에게 扶陽抑陰, 升清降濁, 健脾除濕, 化痰祛瘀의 치법으로 小兒減肥膠囊 캡슐을 1회 5캡슐씩 하루 3회, 총 3개월간 투여하였다.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 중 나머지 3편에서는 소아 단순 비만 환아를 변증에 따라 분류한 뒤, 유형에 맞는 한약 치료, 침치료, 또는 혈위 마사지 요법 및 이압요법을 시행하였다.
Pang 등20)은 비만 환아를 ①脾虛濕阻, ②胃熱濕阻, ③脾腎兩虛, ④陰虛內熱으로 나눈 후 각각 변증에 맞는 한약치료를 3개월간 시행하였다. Xing21)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食積 ②濕重, ③脾氣虛로 분류하였고 二陳湯을 기본방으로 변증에 맞게 가감하여 총 1달간 투여하였다. Zhu22)은 단순 소아 비만 환자를 ①脾虛濕阻, ②胃腸實熱, ③肝鬱氣滯에 따라 변증한 뒤, 혈위 마사지 그룹과 이압요법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총 3개월간 치료하였다 (Table 2).
Table 2.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P: Acupressure, bid: bis in die, C: Control group, CT: Chuna massage Therapy, d: day, EAP: Ear Acupressure, EP: Ear Point, HM: Herbal Medicine, MA: Manual Acupuncture, mo: month, min: minute, NR: Not reported, pack: pk, tid: ter in die, T: Treatment group, w: week, y: year.
3) 종설
소아 단순 비만 환자의 한의 변증별 치료법을 기술해놓은 종설 문헌은 총 8편23-30)이었다.
Yang 등23)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胃熱濕阻, ②痰濕内盛, ③脾虚濕盛의 4가지 변증으로 나누어 각각 胃熱濕阻에는 天樞, 足三里, 中脘 등에 부항치료를, 痰湿内盛에는 加味蒼附導痰顆粒을, 脾虚濕盛에는 菏泽颗粒 투여에 대해 기술해놓았다. Sun 등24)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脾胃濕熱, ②肝脾不調, ③脾虛濕滯, ④脾腎陽虛의 4가지 변증으로 나누었으며 0-7세 미만의 비만 환아에서는 ①脾胃濕熱에는 清熱利濕, 健脾和胃의 치법으로, ②肝脾不調는 疏肝理氣, 健脾化痰의 치법으로, ③脾虛濕滯은 補氣健脾, 溫中化濕의 치법으로, ④脾腎陽虛은 溫補脾腎, 溫陽散寒으로 소아 추나를 시행할 것을 기술하였다. 또한 7-14세의 비만 환아에게는 소아 추나치료, 한약치료, 침치료 방법에 대해 기술해 놓았는데 한약치료는 ①脾胃濕熱에 健脾和胃의 치법으로 清中湯或王氏連樸飲加減, ②肝脾不調에 疏肝解鬱, 健脾理氣의 치법으로 柴胡疏肝散或逍遙丸加減, ③脾虛濕滯에는 溫經通脈,健脾化濕의 치법으로 異功散合五苓散加減, ④脾腎陽虛에는 補益脾腎, 溫陽散寒의 치법으로 濟生腎氣丸合苓桂朮甘湯加減으로 시행하고 각 변증 유형에 따른 소아 추나 및 침치료를 시행할 것을 기술하고 있다. Ding 등25)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陽虛濕濁, ②痰濁內盛, ③脾虛濕阻, ④胃熱滯脾의 4가지 변증으로 나누었으며 치료로 각각 ①溫陽利水의 치법으로 苓桂朮甘湯加減을, ②二陳平胃散加減, ③七味白朮散合防己黃芪湯, ④調胃承氣湯合保和丸加減을 투여할 것을 서술하고 있다. Zhang 등26)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脾虛濕盛, ②胃火亢盛, ③脾腎陽虛의 3가지 변증으로 나누어 기술하고 있으며 변증에 따라, 각각 ①石門, 天樞, 中脘, 大橫, 足三里, 豐隆 매선 치료를, ②清胃火의 치법으로 胃俞, 脾俞, 中脘, 氣海, 關元, 足三里, 三陰交 매선 치료 및 内庭點刺, ③培腎固本의 치법으로 石門, 天樞, 腎俞 혈자리 매선 요법을 시행할 것을 기술하였다. Zhang 등27)은 단순 비만 환아를 ①脾虛濕阻, ②胃熱濕阻, ③脾腎兩虛, ④陰虛內熱의 변증으로 나누어 기술하였고 한약치료로는 각각 平胃散加減, 瀉黃散加味, 六君子湯合五子衍宗丸加減, 杞菊地黃丸加味를 서술하였다. Liu 등28)은 단순 비만환아를 ①胃熱濕阻, ②脾虛濕阻, ③肝鬱氣滯, ④脾腎陽虛, ⑤陰虛內熱, ⑥痰濕內盛, ⑦氣陰不足, ⑧肝腎陰虛의 8가지 변증유형으로 나누어 변증별 한약치료와 침 치료에 대해 기술하였다. 한약치료는 ①清熱利濕의 치법으로 防風通聖散合己椒藶黃丸加減, ②健脾益氣祛濕의 치법으로 蔘苓白朮散合防己黃芪湯加減, 六君子湯加味, 五苓散合茵陳蒿湯加減, ③疏肝理氣清熱의 치법으로 柴胡疏肝散加減, ④溫腎健脾化濕의 치법으로 金匱腎氣丸合防己黃芪湯加減, ⑤滋養肝腎의 치법으로 杞菊地黃丸加減, ⑥健脾助運, 化痰除濕의 치법으로 二陳湯合澤瀉湯加減, ⑦益氣養陰의 치법으로 生脈散加減, ⑧滋補肝腎의 치법으로 首烏延壽丹加減를 투여할 것을 기술하였으며 침 치료는 변증별 혈자리를 기술하였다. Zhang29)은 ①陰虛內熱, ②胃熱濕阻, ③脾虛濕阻, ④肝鬱氣滯, ⑤腸胃積熱의 5가지 변증으로 단순 비만 환아를 나누었으며 한약치료로는 각각 ①,②에는 攻下, 解表, 清熱, 健脾和胃의 치법으로 防風通聖散을, ③利水消腫의 치법으로 防己黃芪湯,澤瀉湯을, ④,⑤에는 瀉肝, 腸實熱의 치법으로 大柴胡湯,大承氣湯,苓桂朮甘湯, 核桃承氣場, 九味半夏湯, 桂枝茯苓丸, 麻子仁丸, 荷葉散을 투여할 것을 기술하였다. Xiong30)은 ①肺脾氣虛, ②痰濕內阻의 2가지 변증으로 단순 비만 환아를 분류하였으며 치료로는 각각 健脾益氣, 祛風利水의 치법으로 風通聖散合防己黃芪湯를, 燥濕化痰, 利水除濕의 치법으로 溫膽湯合平胃散, 澤瀉湯를 투여할 것을 기술하였다 (Table 3).
Table 3. Characteristics of Included Review Articles
HM: Herbal Medicine, MA: Manual Acupuncture, min: minute, NR: Not reported, w: week, y: year.
3. 변증 유형 및 변증별 증상 빈도 분석
1) 脾 단일 장부 변증
최종 선정된 25편의 문헌 중, 脾와 관련된 단일 장부 변증을 서술한 문헌은 총 19편6-11,14-16,20-29)이었다. 그 중 세부 변증유형을 빈도별로 살펴보면 脾虛濕阻(脾虛濕盛)이 16편6-10,14,15,20,22-29), 脾氣虛 2편11,21), 脾虛痰阻 1편16)으로 나타났다.
(1) 脾虛濕阻 (脾虛濕盛)
脾虛濕阻 (脾虛濕盛)의 임상 증상은 疲乏無力7-10,14,20,22,24,28)이 16편 중 9편에서 기술된 가장 빈번하게 언급된 증상이었으며, 뒤이어 肢體困重 6편8-10,14,24,28), 大便溏薄8-10,24,28), 腹脹7,10,20,24,28) 각 5편, 納差7,22,24,28), 腹滿7,9,20,22)의 증상이 각 4편에서 나타나 다빈도로 기술된 증상이었다. 舌象으로는 舌質淡8,10,21,22,28), 邊有齒痕8-10,21,28)이 각 5편에서 나타나 가장 많이 언급된 舌이었으며, 苔白腻7,8,24,28), 苔薄膩9,20,22,28), 舌胖8,9,21,22)각 4편, 苔薄白7,10,21) 각 3편에서 높은 빈도로 기술되었다. 脈象은 脈沉滑7,22,24), 脈濡8,10,28), 脈緩10,21,28)이 각 3편에서 나타나 가장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2) 脾氣虛
脾氣虛의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은 2편 중 오직 1편21)에서만 기술되었으며 임상 증상으로는 臃腫, 神疲乏力, 身體困重, 胸悶腕脹, 四肢輕度浮腫, 勞累後明顯, 小便不利, 便溏或便秘의 증상이 있었으며, 舌象으로는 舌淡胖邊有齒印,苔薄白或白滑, 脈象은 脈濡細로 기술되었다.
(3) 脾虛痰阻證
脾虛痰阻證의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으로는 腹滿, 善食, 肢體困重, 胸悶, 少氣懶言, 汗出, 便秘, 夜寐安, 舌淡紅, 苔膩, 脈沉이 1편16)에서 기술되었다 (Table 4).
Table 4. Frequency Analysis of Pattern Identification and Related Clinical Symptom, Tongue, and Pulse
NR: Not reported.
2) 胃 단일 장부 변증
최종 선정된 25편의 문헌 중 胃와 관련된 단일 장부 변증유형을 서술한 문헌은 총 12편6,9,12,13,20,22,23,26-29,31)이었다. 그 중 세부 유형을 빈도별로 살펴보면 胃熱濕阻, 胃腸濕熱 변증유형이 10편6,9,12,13,20,23,27-29,31)으로 가장 많이 나타나는 유형이었으며, 胃腸實熱, 腸胃積熱이 2편22,29), 胃火亢盛이 1편26)으로 나타났다. 그 중 胃火亢盛 변증유형이 나타난 문헌에서는 임상 증상과 舌, 脈이 본문에 기술되지 않았다.
(1) 胃熱濕阻, 胃腸濕熱
胃熱濕阻, 胃腸濕熱의 임상 증상으로는 口渴喜饮, 大便秘結가 10편 중 6편9,12,13,22,28,31)에서 나타나 가장 많이 언급된 증상이었으며, 食慾旺盛9,12,13,22,31), 消谷善飢9,12,13,28,31), 肢體困重9,12,13,20,28) 또한 각 5편에서 나타나 절반 이상의 문헌에서 기술되었다. 뒤이어 口臭 4편9,22,23,28), 脘腹脹滿10,13,23), 頭暈13,20,28)은 각 3편에서 나타났고, 舌象으로는 舌紅이 4편9,10,13,23), 苔黃膩 3편9,10,12), 脈象으로는 脈滑數이 6편9,12,13,20,23,28)으로 절반 이상의 문헌에서 높은 빈도로 서술되었다.
(2) 胃腸實熱, 腸胃積熱
胃腸實熱, 腸胃積熱의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은 2편 중 오직 1편22)에서만 찾아볼 수 있었으며, 多食, 大便乾結, 腹部脹滿, 按之作痛, 口臭, 喜飲, 舌苔黃燥, 脈滑數이 기술되었다 (Table 4).
3) 脾 복합 장부 변증
(1) 脾胃
脾胃와 관련된 변증이 서술된 문헌은 脾胃濕熱 2편17,24), 胃熱滯脾 2편10,25)으로 총 4편10,17,24,25)으로 나타났다. 脾胃濕熱의 임상 증상으로는 身熱口苦, 大便溏泄, 渴不多飲, 尿少而黃, 肢體困重이 2편17,24) 모두에서 나타났으며 消谷善飢17), 頭脹眩暈17), 口臭24), 脘腹脹滿17), 脘腹痞滿24)이 각 1편에서 기술되었고, 舌象과 脈象은 舌質紅, 苔黄, 脈濡數이 2편17,24) 모두에서 기술되었으며, 苔腻이 1편24)에서 나타났다. 胃熱滯脾의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은 2편 중 오직 1편10)에서만 善食易飢, 飯後脘腹脹滿,面色紅潤或頭重昏蒙, 口乾苦, 有異味, 胃脘部時有燒灼嘈雜感, 進食後緩解의 증상과 苔黃膩, 脈弦數으로 나타났다.
(2) 脾腎
脾腎과 관련된 변증이 서술된 문헌은 총 5편으로 脾腎陽虛 3편24,26,28), 脾腎兩虛 2편20,27)으로 나타났으며, 脾腎陽虛의 임상 증상으로는 疲乏無力, 腰膝酸軟이 2편24,28), 腰膝冷痛28), 畏寒或四肢冰涼28), 嗜睡28), 陽痿28), 陰寒28), 肌肤松弛28), 少氣懶言28), 大便溏薄或五更泄28), 脘腹脹滿24), 食慾不振24), 口淡無味24)이 각 1편에서 나타났다. 舌象은 舌質淡, 苔薄白이 3편 중 2편24,28)에서 나타났으며, 脈象은 脈細無力이 2편24,28)에서, 脈沉細28), 脈濡緩而弱20)이 각각 1편에서 나타났다. 脾腎兩虛의 임상 증상, 舌象, 脈象으로는 2편 중 1편20)에서만 神倦, 氣短, 腰膝酸軟, 浮腫, 夜尿較頻, 心悸, 舌淡紅, 苔白, 脈沉細, 脈濡緩而弱으로 기술되었다.
(3) 脾肺
脾肺와 관련된 변증을 서술한 문헌은 肺脾氣虛 1편30)이었으며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은 面色蒼白, 稍活動即氣喘吁籲, 疲乏, 汗多惡風, 反复感冒, 舌質淡,苔白滑, 脈細無力이 언급되었다 (Table 4).
4) 肝 관련 장부 변증
肝과 관련된 단일 장부 변증 유형을 기술한 문헌은 肝鬱氣滯 4편6,22,28,29)이 있었으며, 임상 증상으로는 胃脘痞滿 (2편22,28))이 절반 가량의 문헌에서 기술되었으며, 舌象은 舌質紅 2편22,28), 脈象은 脈弦細28), 脈弦數22)이 각 1편에서 나타났다.
肝과 관련된 복합 장부 변증유형을 기술한 문헌은 肝脾不調 1편24), 肝腎陰虛 2편6,28)이 있었다. 肝脾不調의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으로는 兩脇脹滿或疼痛, 脘腹脹滿, 納呆, 腸鳴矢氣, 善太息, 情緒抑鬱或急躁易怒, 舌苔白或膩, 脈弦緩24)이 있었고, 肝腎陰虛의 임상증상과 舌象은 眩暈, 耳鳴, 腰腿酸軟, 口咽乾燥, 五心煩熱, 舌紅少津이 1편28)에서 언급되었다 (Table 4).
5) 기타 변증
기타 유형 중 濕과 관련된 문헌은 총 8편으로 濕重 유형을 기술한 문헌 2편11,21), 痰濕内盛 관련 유형 6편10,18,23,25,28,30)이 있었다. 나머지 기타 변증유형으로는 食積 2편11,21), 陰虛內熱 5편19,20,27-29), 陽虛濕濁 1편25), 氣陰不足 1편28)이 있었다. 가장 많이 언급된 陰虛內熱 임상 증상과 舌象은 夜寐不寧, 舌尖紅苔薄으로 5편 중 2편20,28)의 문헌에서 언급되었다 (Table 4).
4. 변증 유형별 치법 및 한의치료 분석
최종 선정된 25편의 문헌을 분석해보면, 소아 단순 비만에 시행된 한의치료에는 한약, 침, 이침, 이압요법, 매선, 추나, 부항 요법이 있었다. 이를 빈도순으로 나열하면 한약 치료를 시행한 문헌은 총 20편7-11,13,14,16-21, 23-25,27-30), 침 치료를 기술한 문헌은 4편15,21,24,28), 추나요법 4편12,17,22,24), 이압 요법 2편16,22), 혈위 매선 요법 2편15,26), 이침 치료 1편6), 부항 요법 1편23)으로 소아 단순 비만 치료에 가장 높은 빈도로 언급된 한의치료는 한약, 침, 추나 요법이었다.
변증 유형별로 기술된 한약명과 치료 혈위, 치료 원칙을 분석해보면, 가장 많은 유형인 脾虛濕阻 (脾虛濕盛) (16편6-10,14,15,20,22-29))에 사용된 한약으로는 防己黃芪湯加減 (3편25,28,29)), 平胃散加減20,27), 荷澤顆粒8,23), 五苓散加減24,28) (2편), 苓桂朮甘湯7), 四君子湯8), 蔘苓白朮散8), 六君子湯加味28) (1편) 등이 있었다. 그 중 平胃散加減은 2편 중 1편20)에서 3개월의 치료 기간 동안 투여되었으며, 脾虛濕阻 (脾虛濕盛)에 다용된 혈위로는 足三里가 4편15,22,24,26)으로 가장 많았고, 脾俞15,22,24), 腎俞15,22,24), 中脘15,24,26), 天樞15,24,26), 大橫15,24,26), 豐隆15,24,26)이 각 3편에서, 耳穴로는 脾, 肺, 三焦가 각 2편6,22)에서 언급되었다. 脾虛濕阻의 치료 원칙으로는 健脾益氣8,9,24,28), 健脾助運8,9,24,28), 健脾化濕9,14,24,28)이 16편 중 각 4편에서 언급되어 가장 높은 빈도로 기술되어 있었으며, 健脾化痰7,14), 溫中化濕7,14), 利水消腫9,29)은 각 2편에서 기술되었다.
두 번째 다빈도 유형인 胃熱濕阻 (胃腸濕熱) (10편6,9,12,13,20,23,27-29,31))에 다용된 한약으로는 瀉黃散加減 (4편9,12,20,27)), 防風通聖散加減 (2편28,29))이 있었다. 瀉黃散加減은 4편 중 2편9,20)에서 3개월 동안 투여된 바가 있으며 防風通聖散加減은 투여기간이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다용 혈위로는 天樞, 足三里, 曲池, 豐隆, 中脘(2편23,28))이 있었으며 2편 중 1편23)에서 4주간의 치료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치료 원칙으로는 清熱이 4편9,13,28,29), 뒤이어 健脾가 2편13,29)에서 언급되어 있었다.
세 번째 다빈도 유형인 痰濕内盛 (6편10,18,23,25,28,30))에 사용된 한약으로는 二陳湯加減 이 3편10,25,28)으로 절반 가량의 문헌에서 언급되어 있었으며 투여 기간은 3편 중 1편10)에서만 10일로 언급되어 있었다. 加味蒼附導痰顆粒은 6편 중 2편18,23)에서 사용되었으며 그중 1편18)에서만 12주의 투여 기간이 기술되어 있었다. 치료 혈위는 오직 1편28)에서 脾俞, 胃俞, 中脘, 建里, 足三裡, 三陰交, 關元, 陰陵泉, 水分, 豐隆, 列缺, 合谷으로 언급되어 있었으며, 치료 원칙으로는 燥濕化痰이 3편10,28,30)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나 있었다.
네 번째 다빈도 유형인 陰虛內熱 (5편19,20,27-29))의 한약 치료로는, 杞菊地黃丸加味가 3편20,27,28), 六味地黄丸 등이 1편19)에 기술되어 있었으며 치료 혈위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치료 원칙으로는 滋養肝腎 (2편19,28))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다.
마지막 다섯 번째 다빈도 유형인 肝鬱氣滯 (4편6,22,28,29))의 치료 한약으로는 柴胡疏肝散加減이 1편28), 大柴胡湯, 大承氣湯, 苓桂朮甘湯, 核桃承氣場, 九味半夏湯, 桂枝茯苓丸, 麻子仁丸, 荷葉散이 각 1편29)에서 기술되었으나 Zhang29)은 해당 한약을 肝鬱氣滯와 腸胃積熱이 결합된 변증에 서술하고 있으므로 肝鬱氣滯 단독 처방으로는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치료 혈위로는 耳穴인 肝, 膽이 4편 중 2편6,22)의 문헌에서 나타나 가장 많이 보고된 혈위였으며, 오직 1편6)에서만 1개월의 치료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치료 원칙으로는 疏肝理氣清熱28), 瀉肝29)이 각 1편에서 언급되었다 (Table 5)
Table 5. Frequency Analysis of Pattern Identification and Related Treatment Principle, Herbal Medicine or Acupuncture Points, Duration of Treatment
d: day, EP: Ear Point, mo: month, min: minute, NR: Not reported, w: week.
Ⅳ. Discussion
소아 및 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의 이행이 쉽고5) 최근 20년 동안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관심이 대두되고 있는 만성 질환이다. 국내에서도 소아비만의 한의치료에 대한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일차의료기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다빈도 질환이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 비만 환아의 변증 유형에 따른 임상 증상과 舌象, 脈象, 사용된 한의치료, 치법에 대한 중의학적 최신 지견을 중국학술정보원 (CNKI) 중심으로 보고하고자 하였다.
전체 문헌을 분석하기에 앞서, 본 연구에 포함된 소아 단순 비만 종설 문헌 8편23-30)을 1차적으로 분석한 결과, 문헌마다 기술되어 있는 변증 유형은 각기 달랐으나 ①脾虛濕盛, ②胃熱濕阻, ③痰濕內盛, ④肝鬱氣滯, ⑤脾腎陽虛, ⑥陰虛內熱의 6가지 유형이 높은 빈도순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된 제 3회 전국 비만 연구학회가 제정한 단순 비만의 한의학 증후군 감별 기준33)과 ≪한방소아청소년의학≫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아 비만의 5가지 유형 (脾虛濕阻, 胃熱濕阻, 肝鬱氣滯, 腎脾陽虛, 陰虛內熱)과 痰濕內盛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각종설 문헌에서는 변증 유형별 임상 증상과 치법, 처방명, 치료 혈위 등이 정형화되어 있지 않고 산발적으로 기술되어 있었으며, 舌象과 脈象 또한 언급되어 있지 않거나 일관되게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임상 현장에서 단순 소아 비만 환자를 진료할 시 참고할만한 한의 변증안을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또한 교과서 상에서도 상기 5개 변증 유형을 제외하고는 변증에 따른 임상 증상, 한의치료, 舌象, 脈象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웠으며 한약 치료를 제외한 침, 이침과 같은 기타 한의치료는 변증별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소아 비만의 전체 변증 유형에 따른 변증안과 한의치료법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중국 전자 데이터베이스 (CNKI)에서 검색한 결과, 최종적으로 증례 보고 6편, 무작위배정 비교 임상시험 11편, 종설 8편의 총 25편의 문헌이 선정되었다. 문헌에서 보고된 소아 비만의 변증 유형으로는 脾虛濕阻, 脾虛痰阻, 脾氣虛, 胃熱濕阻, 胃火亢盛, 胃腸實熱, 脾胃濕熱, 胃熱滯脾, 肺脾氣虛, 脾腎陽虛, 脾腎兩虛, 肝鬱氣滯, 肝脾不調, 肝腎陰虛, 濕重, 痰濕内盛, 食積, 陰虛內熱, 陽虛濕濁, 氣陰不足의 총 20개 유형이 있었다. 그 중 脾虛濕阻 (16편), 胃熱濕阻 (10편), 痰濕内盛 (6편), 陰虛內熱 (5편), 肝鬱氣滯 (4편)의 5가지 유형이 높은 빈도로 언급되었다.
본 연구에서 소아 비만 유형으로 가장 많이 언급된 脾虛濕阻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疲乏無力, 肢體困重, 大便溏薄, 納差, 腹脹, 腹滿,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質淡, 齒痕, 苔白薄膩, 舌胖, 脈沉滑, 脈濡緩이 다빈도 기술되었다. 이에 따르면 임상에서 脾虛濕阻型 단순 비만 환아 진료시 처방으로는 健脾益氣, 健脾助運, 健脾化濕의 치법에 따른 防己黃芪湯加減, 平胃散加減, 五苓散加減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치료 혈위로는 足三里를 위주로 脾俞, 腎俞, 中脘, 天樞, 大橫, 豐隆 등을 고려해볼 수 있다. 胃熱濕阻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口渴喜饮, 大便秘結, 食慾旺盛, 消谷善飢, 肢體困重이 절반 이상의 문헌에서 보고되었으며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紅, 苔黃膩, 脈滑數이 관찰되었다. 이 유형에서는 清熱健脾의 치법으로 瀉黃散加減, 防風通聖散加減을 고려할 수 있다. 胃熱濕阻의 부항, 침 치료 혈위로는 天樞, 足三里, 曲池, 豐隆, 中脘이 공통으로 다수 언급되었고 추나 혈위로 神闕穴 또한 보고된 바 있으므로 추가로 시행할 수 있다. 痰濕内盛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肢體困重, 倦怠乏力, 舌象과 脈象으로는 苔白膩, 脈滑이 다수 관찰되며 처방 선택시 燥濕化痰의 치법에 따른 二陳平胃散加減, 二陳湯合澤瀉湯加減과 같은 二陳湯加減, 加味蒼附導痰顆粒을 선택할 수 있고, 치료 혈위로는 脾俞, 胃俞, 中脘, 建里, 足三裡, 三陰交, 關元, 陰陵泉, 水分, 豐隆, 列缺, 合谷을 고려할 수 있다. 陰虛內熱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夜寐不寧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肥胖程度不重, 頭昏眼花, 頭脹頭痛, 腰膝酸软, 五心煩热 등의 증상이,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尖紅苔薄, 脈細數微弦, 脈沉澀이 보고된 바 있으므로 滋養肝腎의 치법으로 杞菊地黃丸加味, 六味地黄丸 등을 고려할 수 있다. 肝鬱氣滯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胃脘痞滿이 가장 많이 보고되었으며, 舌象, 脈象으로는 舌質紅, 苔白或薄膩, 苔薄黃, 脈弦細, 脈弦數이 다수 관찰되었기 때문에 처방 선택시 疏肝理氣清熱, 瀉肝의 치법으로 柴胡疏肝散加減, 大柴胡湯, 大承氣湯 등을, 치료 혈위로는 肝, 膽 耳穴을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大柴胡湯, 大承氣湯 등은 肝鬱氣滯와 腸胃積熱이 결합된 변증에 공통으로 서술된 처방29)이므로 肝鬱氣滯 단독 처방으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어 처방시 추가 변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병인에 대해 살펴보면, 소아 비만과 관련이 가장 높은 장부로는 1차적으로 脾, 胃가 있었다. 脾氣虛로 인해 脾主運化 기능이 약화되면 음식물이 氣와 血로 바뀌지 못하고 水濕内停되어 痰濕이 쌓이게 되고17), 이는 濕重, 痰濕内盛 등의 유형으로 소아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 ≪素問·至真要大論≫에 따르면 ‘諸濕腫滿, 皆屬於脾’이며 ‘小兒有脾常不足’으로 脾胃의 운화기능이 왕성하지 못한 소아들은 脾胃의 기능 장애가 쉽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체내 水濕이 쌓일 경우 소아 비만으로 쉽게 이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문헌을 분석한 결과, 脾胃에 이어 肝, 腎의 기능장애도 소아 비만과 깊은 연관이 있었는데, 肝과 연관된 변증으로는 肝鬱氣滯, 肝脾不調, 肝腎陰虛가 있었으며 그중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은 肝鬱氣滯 (4편)이었다. 肝主疏泄의 기능장애로 인해 전신의 氣를 布散시키지 못하게 되면 氣血순환에 장애가 생기게 되고 이는 곧 脾主運化 기능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痰濕이 쌓이게 되면서 비만을 유발할 수 있다. 腎 관련 변증으로는 단독 변증이 아닌, 脾와 복합된 변증으로 찾아볼 수 있었는데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문헌 중에서는 脾腎陽虛, 脾腎兩虛가 있었다. 따라서 단순 소아 비만은 소아의 생리적인 특징이 腎常虛, 脾常不足인 것과 같은 맥락으로 腎과 관련된 선천 양기 부족과 脾胃의 후천적 기능장애가 복합적으로 일어날 경우, 2차적으로 濕痰과 같은 과도한 陰 형성이 유발32)되어 발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한방소아청소년의학≫ 교과서에서는 소아 비만의 병인으로 瘀血을 서술하고 있고 氣滯血瘀의 변증 유형과 그 치법으로 活血化瘀, 益氣活血 등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에 포함된 문헌에서는 瘀血 관련 증상과 변증은 찾아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차이는 본 연구가 중의학 문헌만을 포함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국내 소아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관련 연구를 통해 국가 혹은 민족적 차이에 따른 소아 비만 변증 유형의 차이가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국내 실정을 반영한 소아 단순 비만 대상 표준화된 한의 변증안이 도출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의학 임상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소아 비만의 한의학적 변증 유형을 정리하고 유형별 임상 증상, 한의치료 (처방명, 치료 혈위), 치법 등을 최초로 분석했다는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가 국내 소아 비만 환자 진료시 참고할 만한 표준화된 변증안 개발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V. Conclusion
중국 전자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인 CNKI에서 2022년 8월 20일까지 출판된 문헌을 검토하여 소아 단순 비만의 변증 유형 및 임상 증상, 한의치료 등을 정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총 25편의 문헌에서 소아 단순 비만의 변증으로 脾虛濕阻, 脾虛痰阻, 脾氣虛, 胃熱濕阻, 胃火亢盛, 胃腸實熱, 脾胃濕熱, 胃熱滯脾, 肺脾氣虛, 脾腎陽虛, 脾腎兩虛, 肝鬱氣滯, 肝脾不調, 肝腎陰虛, 濕重, 痰濕内盛, 食積, 陰虛內熱, 陽虛濕濁, 氣陰不足의 20개 유형이 보고되었으며, 脾虛濕阻, 胃熱濕阻, 痰濕内盛, 陰虛內熱, 肝鬱氣滯가 높은 빈도로 보고되었다.
2. 脾虛濕阻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疲乏無力, 肢體困重, 大便溏薄, 納差, 腹脹, 腹滿,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質淡, 齒痕, 苔白薄膩, 舌胖, 脈沉滑, 脈濡緩, 처방으로는 健脾益氣, 健脾助運, 健脾化濕의 치법으로 防己黃芪湯加減, 平胃散加減, 五苓散加減, 荷澤顆粒, 치료 혈위로는 足三里가 높은 빈도로 보고되었다.
3. 胃熱濕阻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口渴喜饮, 大便秘結, 食慾旺盛, 消谷善飢, 肢體困重,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紅, 苔黃膩, 脈滑數, 처방으로는 清熱健脾의 치법으로 瀉黃散加減, 防風通聖散加減, 부항, 침 치료 혈위로는 天樞, 足三里, 曲池, 豐隆, 中脘이 높은 빈도로 보고되었다.
4. 痰濕内盛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肢體困重, 倦怠乏力, 舌象과 脈象으로는 苔白膩, 脈滑, 처방으로는 燥濕化痰의 치법으로 二陳湯加減과 加味蒼附導痰顆粒, 치료 혈위로는 脾俞, 胃俞, 中脘, 建里, 足三裡, 三陰交, 陰陵泉, 豐隆등이 다빈도 보고되었다.
5. 陰虛內熱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夜寐不寧, 舌象과 脈象으로는 舌尖紅苔薄, 脉细数微弦, 脈沉澀, 처방으로는 滋養肝腎의 치법으로 杞菊地黃丸加味가 다빈도 보고되었다.
6. 肝鬱氣滯의 경우, 임상 증상으로는 胃脘痞滿, 舌象, 脈象으로는 舌質紅, 苔白或薄膩, 苔薄黃, 脈弦細, 脈弦數, 처방으로는 疏肝理氣清熱, 瀉肝의 치법으로 柴胡疏肝散加減, 치료 혈위로는 耳穴인 肝, 膽이 가장 많이 보고 되었다.
Ⅵ.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의 재원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보건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지원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임 (과제고유번호: HF22C0035).
References
- Kim BY, Kim JH, Gang GH, Gang SH, Gang SM, Kim KG, Kim GB, Kim BT, Kim SJ, Kim YH, Kim JH, Kim JH, Kim EM, Nam GE, Park GH, Son JW, Sin YA, Sin HJ, Oh TJ, Jeon EJ, Jeong SJ, Hong YH. Quick reference guideline 2020 [Internet]. Seoul: Korean Society of the Study of Obesity. 2020:32-6. Available from: https://doi.org/10.979.1190483/162.
- Koo EJ, Kweon JH, Kim KB, Kim BNR, Kim JH, Min SY, Park EJ, Baek JH, Sung HK, Yu SA, Lee SH, Lee JH, Lee JY, Lee HL, Chang GT, Jung MJ, Jung AR, Jung HS, Cheon JH. Hanbangsoacheongsonyeonuihak. 3rd ed. Seoul: Ui Sung Dang Publishing Co. 2020:966-7.
- Seo HY, Han JK, Kim YH.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besity in young age and comparison of obesity in adults in Cheon-an. J Pediatr Korean Med. 2010;24(2):31-9.
- Oh YM, Kim DY. Obesity statistical data collection for national health promotion (2016-2020). Seoul: Korea Health Prom Instit. 2021:16-27.
- Mossberg HO. 40-year follow up of overweight children. Lancet. 1989;2:491-3. https://doi.org/10.1016/S0140-6736(89)92098-9
- Zhang L. Curative effect observation of 35 cases of simple obesity in children treated with acupuncture and auricular acupuncture. Chin Med Dev Info 2020;26(12):157-81.
- Zhang XJ, Song QL. Experience of chief physician song qilao in using lingguishugan decoction. Mod Chin Med. 2020;40(2):47-9.
- Peng Z, Xiang XX. Professor xiang xixiong's experience in treating simple obesity in children from phlegm-dampness. J Pediatr Tradit Chin Med. 2020;16(1):21-3.
- Liao ZJ, Dong Q. Director dong qin's experience in treating simple obesity in children from the spleen and stomach. J Shaanxi Univ Tradit Chin Med. 2016;39(4):45-7.
- Li Jl. 67 cases of childhood obesity treated by TCM syndrome differentiation. Chin J Pediatr. 2012;8(1):33-4.
- Huang LP, Zhang H. Observation of curative effect of Jiawei fuling decoction on 22 cases of childhood simple obesity. J Pediatr Tradit Chin Med .2008;01:36-7.
- Ju W, Zhang YH. Clinical observation on the effect of TCM massage on blood lipids and sex hormones in children with simple obesity. Chin Naturop. 2015;23(5):19-21.
- Shen XL. Clinical observation on dong-he-xie-huang Hataek granules in treating children with simple obesity. [master]. [Shandong]: Shandong University; 2013. 16p.
- Yang RJ, Xiong L. Clincal studies on treating simple obesity of children with xiaoer jianfei capsule. J Yunnan College Chin Med. 2003;26(4):42-4.
- Zhao W, Clinical study on acupoint catgut embedding therapy in the treatment of simple obesity with spleen deficiency and dampness. Chinese Community Doctors. 2012;14(18):255-6.
- Yao T, Zhao J. Clinical curative observation on jiawei erchen decoction combined ear points therapy to treat 60 simple obesity children. Tianjin J Tradit Chin Med. 2019;36(2):145-7.
- Song XM. Clinical research of activating spleen to eliminate turbid therapy in treatment of childhood simple obesity (spleen and stomach dampness-heat type). [master]. [Changchun]: Changchun University; 2013. 38p.
- Qin X. Clinical observation on cangfu daotan decoction in treating children with simple obesity of phlegm and dampness type. [master]. [Heilongjiang]: Heilongjiang University; 2016. 51p.
- Mei YJ, Liu Y, Tu LX, Wang HY, Gu SM, Lu RR. Effects of liuwei dihuang pills on serum endothelin in simple obese children. Mod Pract Med. 2014;26(6):720,729.
- Pang Y, Du XO. Chinese medicine identification with movement of obese children blood fat and artery lesions impact. Natil Med Front China. 2010;5(17):9-10.
- Xing 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tegrated treatment of children with simple obesity and leptin in serum clinical observation. [Master]. [Hubei]: Hubei University; 2009. 27p.
- Zhu SC, Yu LQ, Song PJ. Study on massage therapy for simple obesity in children. Chinese Manipulation & Qi Gong Therapy. 2000;16(1):9-12.
- Yang Y, Gu SN, Liu LJ, Yu HY, Wang YP. Treatment of simple obesity in children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a review. World J Integr Tradit West Med. 2022;17(6):1270-2.
- Sun DE, Chen BR. Mechanism of children obesity and comprehensive treatment of tuina for children. J Pract Tradit Chin Intern Med. 2020;34(1):96-9.
- Ding XY, Wang MR, Jiang L, Wu YF, Zhang GJ. Progress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by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Jilin J Chin Med. 2019;39(4):545-7.
- Zhang ZY, Li L, Li QH, Lu XY, Gong YX, Yang D. Summary of influence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weight. Chin Med Mod Distance Edu Chin. 2018;16(24):150-2.
- Zhang GJ, Shen XL. Recent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with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od Drug. 2014;16(3):226-8.
- Liu JZ, Lin LM. Research prog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treating simple obesity in children. Hubei J Tradit Chin Med. 2013;35(5):79-81.
- Zhang J. TCM pathogenesis thinking on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imple obesity in children. J Guangxi Tradit Chin Med Univ. 2003;6(4):77-8. https://doi.org/10.3969/j.issn.1008-7486.2003.04.048
- Xiong L. My opinion on the treatment of simple obesity in children. J Yunnan Colleg Tradit Chin Med. 1997;20(2):33-4,37.
- Wang LL. Clinical research on three methods of cupping therapy in treatment of childhood simple obesity(gastric-fever and dampness-stagnation type). [Master]. [Changchun]: Changchun University; 2019. 41p.
- Feng ZE. Treatment of childhood obesity from the perspective of spleen and kidney. J Ningxia Medl College. 2007;29(6):668-70.
- Qu ZF. Research progress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on simple obesity. J Hubei Institut Natl. 2008;25(1):6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