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국민담 <하늘에서 빌려온 복>에 대한 분석심리학적 이해

An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Fairy-Tale "Borrowed Fortune From Heave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 투고 : 2023.03.30
  • 심사 : 2023.06.18
  • 발행 : 2023.06.25

초록

본 연구는, 한국민담 "하늘에서 빌려온 복"을 인간 심성이 표현된 자료로서 분석심리학적 입장에서 살피면서 인간 심성의 이해에 한층 더 다가가 보고자 하는 하나의 시도이다. 이로부터, 우리의 마음 깊은 곳에서는 새로운 차원의 의식성을 기획하고 실현하고자 하는 근원적 활동이 늘 펼쳐지고 있다는 것을 다시금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새로운 의식성을 이루게 될 심적 요소들이 무의식에서 어떻게 준비되며 어떻게 의식으로 통합되어 가는지, 나아가, 그 과정의 진행과 완성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관한 실마리를 얻을 수 있었다. 이야기는, 주인공 나무꾼이 가난에서 벗어나고자 두 배 많은 나뭇짐을 마련해 오기 시작하는 데서 시작한다. 그런데, 새로 구해온 짐은 하룻밤이 지나면 사라지고 만다. 이에 나무꾼은 의문을 품고 짐이 어디로 사라지는 것인지를 추적하려 하고, 그러다 뜻하지 않게 하늘 여행을 하게 되며, 마침내, 그간 짐을 거두어 간 게 하늘이라는 것, 그 이유는 그에게 허락된 복 분량이 한 짐뿐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아울러, 태어나지 않은 어떤 이의 큰 복을 확인하고는, 그 복을, 장차 원래 주인에게 돌려주는 조건으로 빌려오게 된다. 이후의 이야기는, 나무꾼이 일련의 새로운 계기들을 만나면서 부농이 되는 과정, 마침내 복 주인이 등장하여 약속된 때에 복을 돌려주는 사건을 거쳐, 최종적인 대반전의 창조적 결말로 이어지게 된다. 전체 서사는, 복 주인에게 복이 온전히 이양된 후에 열리게 될 새로운 삶의 지평, 즉, 진화된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목적하고 진행되는 일련의 심적 사건으로 이해될 만했다. 여기서 주인공 나무꾼은, 변화가 필요한 낡은 의식으로, 동시에,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준비하며 장차 거기에 참여하게 될 심적 요소로, 이해해 볼 수 있었다. 그런 가운데, 주인공에게 일어났던 일련의 사건과 변화들은, 새롭게 등장할 의식성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점층적·구체적 예고로 이해해 볼 수 있었다. 주인공은 이야기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잘 수행해간다. 그러나 그런 그도, 복을 이양해야 하는 결정적 순간이 다가오자, 갈등과 고민이 깊어진다. 이는 새로운 의식성의 실현을 위한 마지막 과정의 어려움을 잘 시사해 준다. 특기할 것은, 이야기 속의 모든 심적 사건이 이 마지막 지점에 수렴되고 있었다는 점, 아울러, 문제의 해결이 결국은, 주인공이 자신이 누리고 있는 모든 걸다 내려놓고 하늘의 뜻에 온전히 따르는 순간 일어나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민담은, 새로운 의식성의 도래에는 그것에 참여하며 경험을 하게 될 이의 몫이 있음을, 그리고 이 몫은 그 전체 과정을 기획하고 진행해 온 정신 심층의 중심에 온전히 순응하는 것임을, 잘 시사해 주고 있었다. 그때 비로소 체험 주체가 그 최종 열매에 참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만약 체험 주체가 이에 반해 중간 단계의 어느 성과에 집착하며 머무르고자 한다면, 무의식은 최종 목적지를 향해 또 다른 험난한 과정을 전개할 수 있음을, 이는, 한 개인에서든 사회에서든, 새로운 차원의 의식성과 삶이 요청되는 곳에서라면 늘 적용되는 것임을, 본 민담은 아울러 시사해 주고 있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folklore "Borrowed Fortune from Heaven" from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considering it a manifestation of the human psyche, and trie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what happens in our mind. Through the exploration, the researcher was able to re-identify the ongoing psychological process operating in the depths of our mind, pertaining to the emergence of a new dimension of consciousness. Particularly the researcher was able to gain some insights into how the potential psychic elements for the new consciousness are prepared in the unconscious, how they get integrated into the conscious life, and what is essential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process. The tale begins with a poor woodcutter who, in order to escape from poverty, starts gathering twice as much firewood. However, the newly acquired amount disappears overnight, so the woodcutter gets perplexed and curious about where it goes and who is taking it. He seeks to find out the truth, which leads him to an unexpected journey to Heaven. There he learns the truth concerning his very tiny amount of fortune, and discovers another big fortune for an unborn person. By pleading with the ruler of Heaven, the woodcutter borrows that grand fortune, on the condition that he must return it to the owner when the time comes. After that, the woodcutter's life undergoes a series of changes, in which he finally becomes a wealthy farmer, but gradually is reminded more and more that the destined time is approaching. In the end, the fortune is completely transferred to the original owner, resulting in a dramatic twist and the creation of a new life circumstances. The overall plot can be understood as a reflection of the psychological process aiming at the evolu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renewal. In this context, the woodcutter can be considered a psychic element that undergoes a continuous transformation in prepar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upcoming new consciousness. In other words, the changes brought about by this figure can be interpreted as a gradual and increasingly detailed foreshadowing of what the forthcoming new consciousness would be like. Interestingly, as the destined time approaches, the protagonist's anguish in conflict reaches its climax, despite his good performance in his role until then. This effectively portrays the difficulty of achieving a new dimension of consciousness, which requires moving past the last step. All the events in the story ultimately converge at this point. After all, the resolution occurs when the protagonist lets go of everything he has and follows the will of Heaven. This implies what is essential for the renewal of consciousness. Only by completely complying with the entire mind, the potential constituents of the new consciousness that should play important roles in a renewal and evolution of consciousness through experiencing, can participate in the ultimate outcome. As long as they remain trapped in any intermediate stage, the totality of the psyche would develop another detour aiming at the final destination, which means the beginning of another period of suffering carrying a purposeful meaning. The tale suggests that this truth will be applied everywhere that renewal of consciousness is directed, whether for an individual or a society.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덕희(역음) (2003): ≪세계민담전전집 프랑스편≫, 황금가지, 서울.
  2. 김열규(역) (2007): ≪그림형제 동화집≫ 중쇄본, 현대지성사, 경기.
  3. 김지연 (2017): "민담 <외쪽이>의 분석심리학적 해석", ≪심성연구≫, 32(2), 한국분석 심리학회, 서울.
  4. 배도식 (2009): "차복여행 설화의 구조와 의미", ≪동남어문논집≫ 제27집.
  5. 박상학 (2009): "한국민담 <구복여행>의 분석심리학적 고찰", ≪심성연구≫, 24(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6. 신동흔(엮음) (2003): ≪세계민담전집 한국편≫, 황금가지, 서울.
  7. 이도희, 이부영 (1993): "심리학적 상징으로서의 어린이", ≪심성연구≫, 8(1, 2),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8. 이부영 (1999): ≪그림자≫, 한길사, 서울.
  9. 이부영 (2002): ≪자기와 자기실현≫, 한길사, 서울.
  10. 이부영 (2011): ≪분석심리학≫ 제3판, 일조각, 서울.
  11. 이부영 (2011):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제2판, 집문당, 서울.
  12. 이부영 (2012): ≪노자와 융≫ 도덕경의 분석심리학적 이해, 한길사, 파주
  13. 이유경 (2006): "민담 〈손 없는 색시〉 를 통한 여성 심리의 이해", ≪심성연구≫, 21(1), 한국분석심리학회, 서울.
  14. 이유경 (2018): ≪한국민담의 여성상≫, 분석심리학연구소, 서울,
  15. 이인경 (2008): ≪한국구비문학대계 소재 설화 해제≫, 장서각 연구총서4, 민속원, 서울.
  16. 임석재 (1988-1993): 임석재 전집 ≪한국구전설화≫ 1-12, 평민사, 서울.
  17. 장용규(엮음) (2012): ≪세계민담전집, 남아프리카편≫, 황금가지, 서울.
  18. 정재민 (1997): "차복설화의 구조와 복에 관한 인식", ≪구비문학연구≫, 제4집.
  19. 조희웅 (1996): ≪한국설화의 유형≫ 증보개정판, 일조각, 서울.
  20. 최래옥 (1979): ≪전북민담≫, 형설출판사, 경기.
  21. 한국문화상징사전 편찬위원회 (1995): ≪한국문화상징사전2≫, 두산동아, 서울.
  2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집부(엮음) (1980-1989): ≪한국구비문학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서울.
  23. Abt T, 이유경(역) (2005):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분석심리학 연구소, 서울.
  24. Barker WH, Sinclair C (2007): West African Folk-Tales, "Farmer Mybrow and the Faries", Yesterday's Classics, Ithaca.
  25. Chevalier J, Gheerbrant A (translated by John Buchanan Brown) (1996): Dictionary of symbols, Penguine Books, London.
  26. Eliade M, 이용주(역) (2008): ≪세계종교사상사1≫, 이학사, 서울.
  27. Eliade M, 이용주 (2008): ≪세계종교사상사2≫, 이학사, 서울.
  28. Hannah B (2006): The archetypal symbolism of animals, Chiron Publications, Wilmette.
  29. Jung CG, 한국융연구원 C.G. 융 저작번역위원회(역) (2002): C.G. 융 기본저작집 제2권, ≪원형과 무의식≫, 솔출판사, 서울.
  30. Jung CG (2008): C.G. 융 기본저작집 제4권, ≪인간의 상과 신의 상≫, 솔출판사, 서울.
  31. Jung CG (2004): C.G. 융 기본저작집 제6권, ≪연금술에서 본 구원의 관념≫, 솔출판사, 서울.
  32. Jung CG (2005): C.G. 융 기본저작집 제7권, ≪상징과 리비도≫, 솔출판사, 서울.
  33. Jung CG (2006): C.G. 융 기본저작집 제8권, ≪영웅과 어머니 원형≫, 솔출판사, 서울.
  34. Jung CG (1990): CW 6, The Psychological Typ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Princeton,
  35. Thompson S (1964): The Types of the Folktale, 2nd rev. FFC No.284, Helsinki.
  36. Von Franz ML, 이부영, 이광자(역) (2018): ≪민담의 심리학적 해석≫, 한국융연구원, 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