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Organizational Smart Learning Success from an HRD Perspective

HRD 관점에서 기업의 스마트 러닝 성공을 위한 탐색적 연구

  • Received : 2023.12.15
  • Accepted : 2023.12.25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impact of COVID-19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corporat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thereby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Smart Learning in the field of HRD (Human Resource Development). This trend has le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personalized Smart Learning among employees due to the growth of hybrid work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smart work practices. This study aimed to illumin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that constitute Smart Learning from the perspective of HRD practitioners.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Smart Learning hierarchy and factors most fitting to the current context were identified, and their relative importance was determined using the AHP method. Consequently, in the first-tier factors, importance was confirmed in the order of 'Learning Activities', 'Teaching Activities', 'Learning Content', 'Assessment and Evaluations', and 'Learning Time and Space'. At the second-tier encompassing all factors, 'Pedagogical Strategy', 'Learning Results', 'Learning Tasks', 'Learning Goal', and 'Learning Support' emerged within the top five factors. These finding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define the concept of smart learning and propose an academic framework for future research. Additionally, from a practical perspectiv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valuable insights for HRD practitioners, aiding them in focusing on which factors to prioritize for enhancing and advancing Smart Learning initiatives.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기업의 혁신과 조직문화가 변화하고 있으며, HRD(Human Resource Development) 분야에서 스마트 러닝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HRD 담당자의 관점에서 스마트 러닝을 구성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선행 문헌 검토를 통해 현 상황에 가장 부합하는 스마트 러닝 계층 및 요인을 도출하고, AHP 방법을 활용하여 해당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결과적으로 1계층 요인에서는 '학습 활동', '교육 활동', '학습 콘텐츠', '평가 방법 및 평가', '학습 시간 및 공간' 순으로 중요도가 확인 되었다. 2계층 전체 요인에서는 '교육 전략', '학습 결과', '학습 과업', '학습 목표', '학습 지원'이 상위 5위에 나타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스마트 러닝 개념을 재정립하고, 추후 연구를 위한 학술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한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HRD 담당자들이 스마트 러닝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요인에 주력해야 하는지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금만, 김민재, 송영수 (2020). 직장인 대상 스마트 러닝에서의 적응형 학습분석 활용사례 발표. 2020년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53-56.
  2.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2012).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2), 283-303.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2.283
  3. 고은이 (2012).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 교육용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4. 김성태, 강현민, 박윤정 (2021). 스마트 러닝 수학 수업이 학업성취도, 수학적 흥미,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문화기술의 융합, 7(2), 217-226.
  5. 김예진, 조지연, 이봉규 (2015). 스마트 러닝의 공교육 정착을 위한 성공전략 연구.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16(6), 123-131. https://doi.org/10.7472/JKSII.2015.16.6.123
  6. 김향화, 오동인, 허균 (2014). 스마트교육 연구동향에 대한 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6(1), 156-165.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156
  7. 김희봉, 김소현, 박종민 (2011). 스마트 러닝 환경에서 토론 활성화 방안 도출. 학습과학연구, 5(1), 79-114.
  8. 노규성, 주성환, 정진택 (2011). 스마트 러닝의 개념 및 구현 조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9(2), 79-88. https://doi.org/10.14400/JDPM.2011.9.2.079
  9. 박병석, 최호규 (2020). Analytic Hierarchy Process 를 이용한 중소병원의 특성화방안 연구. 기업경영리뷰, 11(1), 191-214.
  10. 박인서, 김성철 (2019). 경력개발, 성과개발 및 조직개발을 통한 정부 출연 (연) 과학기술인재의 역량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1282-1298.
  11. 신기동, 유민지 (2020). 코로나19 시대, 언택트 소비와 골목상권의 생존 전략. 이슈 & 진단, 1-25.
  12. 안재영, 심소연, 윤혜정 (2022).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메타버스 증강현실 연구 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3(2), 123-142. https://doi.org/10.15813/KMR.2022.23.2.007
  13. 윤종혁, 안재영, 이중정 (2021). 데이터 과학자 필수 자격조건에 관한 고찰: AHP 기법 기반으로. 기업경영리뷰, 12(1), 41-62.
  14. 윤혜정, 안재영, 박상철 (2023). 공공 메타버스 거버넌스에 대한 탐색적 연구. 지능정보연구, 29(1), 353-376. https://doi.org/10.13088/JIIS.2023.29.1.353
  15. 이동혁, 김상춘, 박남제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언택트 교육 환경을 대비한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학습 플랫폼.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18(11), 109-121.
  16. 이용상 (2020).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의 온라인 교육 실태 연구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23(4), 39-57.
  17. 이재영, 임지영 (2022). 뉴노멀 시대 비대면 실시간 교육에 대한 HRD 담당자 인식과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인적자원개발연구, 25(1), 81-110.
  18. 이제현, 설현도 (2021). 스마트워크 (Smart Work) 도입의 문제와 대응방안-리더십, 커뮤니케이션, 조직문화와 인적자원관리를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22(1), 107-121.
  19. 이준민, 홍지훈 (2021). 주 52 시간 근로제의 도입이 임금, 고용 및 고용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제연구, 39(3), 35-65.
  20. 장정재 (2020). 코로나 19 시대 부산의 '비대면 마케팅' 활성화 방안-언택트 소비 증가에 대응하는 '라이브 커머스(live commerce);'에 주목. BDI 정책포커스, (387), 1-16.
  21. 최홍규 (2020). 코로나 시대 언택트 콘텐츠 혁명에 대하여 콘텐츠 변화의 측면(내용, 선택, 향유, 연결, 재이용)을 조명하며. 방송과미디어, 25(4), 61-72.
  22. 한국은행 (2020). 코로나19 이후 경제구조 변화와 우리 경제에의 영향. https://www.bok.or.kr/portal/cmmn/file/file Down.do?menuNo=200774&atchFileId=FILE_000000000018340&fileSn=1
  23. 한상준, 김화성, 허균 (2014). 스마트 러닝 효과성 메타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26(1), 148-155. https://doi.org/10.13000/JFMSE.2014.26.1.148
  24. Cheung, S. K., Kwok, L. F., Phusavat, K., & Yang, H. H. (2021). Shaping the future learning environments with smart element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in Higher Education, 18, 1-9. https://doi.org/10.1186/s41239-020-00238-7
  25. Garcia-Tudela, P. A., Prendes-Espinosa, P., & Solano-Fernandez, I. M. (2021). Smart learning environments: A basic research towards the definition of a practical model. Smart Learning Environments, 8(1), 1-21. https://doi.org/10.1186/s40561-020-00145-4
  26. Iqbal, H. M., Parra-Saldivar, R., Zavala-Yoe, R., & Ramirez-Mendoza, R. A. (2020). Smart educational tools an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Supportive framework. International Journal on Interactive Design and Manufacturing (IJIDeM), 14, 1179-1193. https://doi.org/10.1007/s12008-020-00695-4
  27. Kinshuk, Chen, N. S., Cheng, I. L., & Chew, S. W. (2016). Evolution is not enough: Revolutionizing current learning environments to smart learning environm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26, 561-581. https://doi.org/10.1007/s40593-016-0108-x
  28. Koper, R. (2014). Conditions for effective smart learning environments. Smart Learning Environments, 1(5), 1-17. https://doi.org/10.1186/s40561-014-0005-4
  29. Lee, J., Zo, H., & Lee, H. (2014). Smart learning adoption in employees and HRD manager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45(6), 1082-1096. https://doi.org/10.1111/bjet.12210
  30. Liu, D., Huang, R., & Wosinski, M. (2017). Smart learning in smart cities. Springer.
  31. Rosmansyah, Y., Putro, B. L., Putri, A., Utomo, N. B., & Suhardi. (2022). A simple model of smart learning environment.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1-22.
  32. Saaty, T. L. (1980).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New York: McGraw-Hill.
  33. Tseng, C. C., & McLean, G. N. (2008). Strategic HRD practices as key factors in organizational learning. Journal of European Industrial Training, 32(6), 418-432. https://doi.org/10.1108/03090590810886544
  34. Yusufu, G., & Nathan, N. (2020). A novel model of smart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university system. In 2020 International Conference in Mathematics, Computer Engineering and Computer Science(ICMCECS),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