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amily Strengths on Social Networking Services Addiction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3.08.24
  • Accepted : 2023.11.10
  • Published : 2023.1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s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SNS) addiction tendency.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of 349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version 28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4.3.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exhibited higher-than-average levels of SNS addiction tendency, family strengths, and ego resilience. Second, the SNS addiction tendenc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verage time spend on SNS per day. while demonstrating a negative correlation with family strengths and ego resilience. Thir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lated that gender, frequency of contact with family, average time spend on SNS per day, qualitative bond as a sub variable of family strengths, and control as a sub variables of ego resilience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NS addiction tendency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Fourth, the study confirmed the complete mediation of ego resilience in the effect of family strengths on SNS addiction tendenc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pecific direc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aimed at mitigating SNS addiction tendencies among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 3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version 28 프로그램과 SPSS Process Macro 4.3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가족건강성, 자아탄력성을 살펴보면 중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은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성별, 가족과의 연락 빈도, SNS 하루 평균 이용 시간, 가족건강성 중 질적 유대감, 자아탄력성 중 통제성이 유학생들의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건강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완전 매개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변인으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중국 유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 개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휘(2019). 대학생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SNS 중독경향성간의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홍찬(2015). 대학생의 사회건강상태에 따른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고보숙.박정환(2018). 대학생의 부모애착형성과 SNS 중독경향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5), 236-243. https://doi.org/10.5762/KAIS.2018.19.5.236
  4. 권수경.민윤희.장성화(2015).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학교적응, 가족건강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상담심리교육복지, 2(2), 1-14.
  5. 권여은.이지민(2017).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5(2), 17-29.
  6. 김시연(2020). Zoom을 활용한 중국 대학 온라인 한국어 말하기 교육 사례: 상해 S 대학 한국어과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80, 1-29.
  7. 김영경(2009). 학교상담: 중국, 일본 유학생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요구분석. 상담학연구, 10(1), 535-559. https://doi.org/10.15703/KJC.10.1.200903.535
  8. 김영숙(2017).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SNS 중독경 향성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종원.김은정(2019).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24(4), 99-112. https://doi.org/10.9723/JKSIIS.2019.24.4.099
  10. 김종임(2019). 대학생의 자아 존중감, 자아탄력성, 충동성,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7), 192-202. https://doi.org/10.5762/KAIS.2019.20.7.192
  11. 김주연(2007). 대학생의 정서지능과 자아탄력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지현(2015). 20대 소셜네트워크(SNS) 사용자의 가족체계기능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아(2018).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과 SNS 과몰입 경향성의 관계: 타인인정추구의 매개효과.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김진영(2003). 미디어 의존 이론 연구: 미국 유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민족 정체성, 미디어 의존적, 그리고 인지적, 행동적 변화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3(2), 119-154.
  15. 김형수.조우홍(2009).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과학연구, 1(23), 61-90. https://doi.org/10.17939/HUSHSS.2009.1.23.003
  16. 남현지(2022).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마언타오(2021).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게임중독 경향성 및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민수인(2022). 병리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 박민정(2016).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박순아.박근우(2017). 가족기능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325-333. https://doi.org/10.5762/KAIS.2017.18.4.325
  21. 박순영(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아름(2022).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이 COVID-19로 인한 생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박애경(2017).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인터넷 과몰입에 미치는 영향.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박웅기(2013). 청소년의 SNS 중독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언론과학연구, 13(4), 305-342.
  25. 박재진.황성욱.박홍원(2013).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 사회과학연구, 39(2), 93-109. https://doi.org/10.15820/KHJSS.2013.39.2.005
  26. 박정애(2015). 빈곤아동과 일반아동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자아탄력성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박정혜(2020).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 위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8. 배찬욱(2020).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서효붕.서창갑(2011). 중국인 유학생들의 SNS 활용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24(2), 1149-1167.
  30. 성미화(2017). 아동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적응유연성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성요안나.현명호(2016). 대학생의 SNS 이용 동기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스트레스, 24(4), 257-263.
  32. 신가영(2019). 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신영아(2019).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4. 신우열.김민규.김주환(2009).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연구, 20(4), 105-131.
  35. 안중근(2021).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 영향요인 구조모형.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 오원옥.신현정(2016). 대학생의 우울, 자아탄력성,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인터넷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韓國保健看護學會誌, 30(1), 56-69.
  37. 오윤경(2012). SNS 중독경향성과 외로움, 우울, 대인관계,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왕매.나미수(2015).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인터넷 이용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8(1), 77-98.
  39. 우공선(2011).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의 이용충족과 중독 연구: 트위터 (Twitter)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유영주(2004). 가족강화를 위한 한국형 가족건강성 척도 개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0), 119-151.
  41. 윤지영(2016).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성숙도와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 및 자아탄력성의 관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이승화.장여옥(2021). 가족건강성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2), 1667-1680.
  43. 이하정(2020). 유튜브를 활용한 한국언어문화 교육 방안: 현지 베트남 학습자를 중심으로.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임채식(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및 자아탄력성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17(1), 191-197. https://doi.org/10.7236/JIIBC.2017.17.1.191
  45. 장문광(2013). 중국 유학생들의 SNS의 이용 행태가 문화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장민위(2015). 중국 유학생들의 SNS이용과 문화적응 유형의 관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장성연(2013). 치위생학 전공 대학생에서 가족건강성이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圓光大學校 박사학위논문.
  48. 장성화.박영진(2013). 초등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인터넷 중독 간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7), 463-47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7.463
  49. 전준희(2023).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우울의 관계.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0.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22). 세대별 SNS 이용 현황.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1. 정소영(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정수연(2014). 남.여 중학생의 자기통제력과 가족건강성이 인터넷중독경향에 미치는 영향.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3. 정승록(2020). 제주지역 대학생의 SNS 이용동기가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4. 정지은(2017).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사회적자기효능감이 중독경향 SNS 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5. 조선숙(2020). 공적자의식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소외에 대한 두려움(Fear of Missing Out: FoMO)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6. 조윤미(2013). 주의집중성 기질,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태도 및 가족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7. 조혁수.전경태(2009). 중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실태조사 및 관리방안 연구. 사회과학연구, 20(3), 193-223.
  58. 주애자.황혜원(2019).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인터넷중독의 관계에서 자기분화와 또래.교사관계의 매개효과. 人間發達硏究, 26(1), 49-67.
  59. 주학(2022).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재한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 차소연(2023). 대학생의 정서적 요인이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최아랑.김용범.김영호(2019). 성인애착과 자아탄력성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독과 복지, 3(1), 25-45.
  62. 한국교육개발원(2022). 2022년 국내 고등교육기관 내 외국인 유학생 통계. 한국교육개발원.
  63.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2022).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 조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64. 한미경(2023). 대학생의 아동기 트라우마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5. 현태자(2022). 남녀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6. 홍구표.전혜성(2017).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保健社會硏究, 37(1), 34-67.
  67. 홍신영(2015). 대학생의 SNS 이용특성과 자아정체감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8. 홍희정(2017).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관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9. 황유나(2020). 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0. 황윤지.조수현(2020). 선택의 종류가 선택후 선호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2), 189-195. https://doi.org/10.22172/COGBIO.2020.32.2.005
  71. 황혜지(2017).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광주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2. Jin Ailing.오인수(2017).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유형별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8(4), 209-224. https://doi.org/10.15703/KJC.18.4.201708.209
  73. Andreassen, C. S., Torsheim, T., Brunborg, G. S. &Pallesen, S.(2012). Development of a facebook addiction scale. Psychological Reports, 110(2), 501-517. https://doi.org/10.2466/02.09.18.PR0.110.2.501-517
  74. Curran, P. J., West, S. G. &Finch, J. F.(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
  75. Durkee, T., Kaess, M., Carli, V., Parzer, P., Wasserman, C., Floderus, B., ... & Wasserman, D.(2012). Prevalence of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adolescents in Europe: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Addiction, 107(12), 2210-2222. https://doi.org/10.1111/j.1360-0443.2012.03946.x
  76. Forbush, E. & Foucault-Welles, B.(2016). Social media use and adaptation among Chinese students beginning to study in the United Stat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cultural Relations, 50, 1-12. https://doi.org/10.1016/j.ijintrel.2015.10.007
  77.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Guilford Press.
  78. He & Q.(2022).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and social media. In 2022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ental Health,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 318-322.
  79. Hjemdal, O., Vogel, P. A., Solem, S., Hagen, K. & Stiles, T. C.(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adolescents. Clinical psychology & psycho- therapy, 18(4), 314-321. https://doi.org/10.1002/cpp.719
  80. Kirschner, P. A. & Karpinski, A. C.(2010). Facebook® and academic perform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6(6), 1237-1245. https://doi.org/10.1016/j.chb.2010.03.024
  81. Kuss, D. J. &Griffiths, M. D.(2011). Online social networking and addiction-a review of the psychological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9), 3528-3552. https://doi.org/10.3390/ijerph8093528
  82. Li, X., Shi, M., Wang, Z., Shi, K., Yang, R. & Yang, C.(2010). Resilience as a predictor of internet addi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perceived class climate and alienation. In 2010 IEEE 2nd Symposium on Web Society, 66-70.
  83. Lim, C. S.(2017). Effect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self-efficacy and ego resiliency on sns addiction tendency.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17(1), 191-197. https://doi.org/10.7236/JIIBC.2017.17.1.191
  84. Marzilli, E., Cerniglia, L., Ballarotto, G. & Cimino, S.(2020). Internet addiction among young adult university students: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family functioning, impulsivity, depression, and anxiet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21), 8231. DOI: 10.3390/ijerph17218231.
  85. Putri, A. A. H. & Khairunnisa, H.(2019). The relationship of family function and social media addiction among adolescents. In 4th ASEAN Conference on Psychology, Counselling, and Humanities(ACPCH 2018), 127-130.
  86. Robertson, T. W., Yan, Z. & Rapoza, K. A.(2018). Is resilience a protective factor of internet addic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8, 255-260. https://doi.org/10.1016/j.chb.2017.09.027
  87. SchouAndreassen, C. &Pallesen, S.(2014). Social network site addiction-an overview.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20(25), 4053-4061. https://doi.org/10.2174/13816128113199990616
  88. Shi, X., Wang, J. & Zou, H.(2017). Family functioning and internet addiction among Chinese adolescents: The mediating roles ofself-esteem and lonelines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6, 201-210.
  89. Stavrova, O. & Denissen, J.(2021). Does using social media jeopardize well-being? The importance of separating within-from between-person effects.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12(6), 964-973. https://doi.org/10.1177/1948550620944304
  90. Wang, J. L., Jackson, L. A., Gaskin, J. &Wang, H. Z.(2014). The effects of social networking site (sns) use on college students' friendship and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37, 229-236.
  91. Wisniewski, P., Jia, H., Wang, N., Zheng, S., Xu, H., Rosson, M. B. & Carroll, J. M.(2015). Resilience mitigates the negative effects of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and online risk exposure. In Proceedings of the 33r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4029-4038.
  92. 刘莹(2021).家庭功能对青少年社交媒体成瘾的影响: 社交焦虑与心理韧性的链式中介作用 湖南师范大学硕士学位论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