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22S1A5B5A16056894)이며, 2022년 한국도시지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함.
References
- 강동진, 2009, "희망제작소와 함께하는 도심 르네상스 프로젝트: 도심 내 유휴공간 산업유산의 재활용," 도시문제 44(492), pp. 44-49.
- 곽수정, 2006,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22, 2021년 국토조사보고서, 국토조사 국토지표 데이터베이스(DB)보고서 자료.
- 김동한.서태성.이미영.한우석.임지영.김현아, 2015,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연구, 국토연구원 15-29, pp.1-169.
- 김민지.나인수, 2019,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기반 도시재생의 특성 및 유형별 전략분석 연구: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부동산연구 10(2), pp.59-76.
- 김선미, 2023, 유휴공간 문화재생에 관한 연구: 생활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성진, 2013, 유휴자원의 관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 김세영.이재규, 2014,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9(3), pp.17-29. https://doi.org/10.35216/kisd.2014.9.3.17
- 김영화, 2021,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지방소도시 지역 재생 실천방안 연구: 삼척시 신기면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은자.이유경.박미정.최진아.임창수.김상범, "농촌마을 유휴자원 활성화 방안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22(2), pp.33-57.
- 김지현.어성신.황연숙, 2018, "유휴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3), pp.85-87.
- 김현주.이상호, 2011,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7(6), pp.103-112.
- 도준석.오광석, 2019, "사례 분석을 통한 폐 산업시설 및 유휴공간 재생 방향 연구: 국내 폐 산업지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1(2), pp.17-25.
- 박미연, 2022,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재생공간 특성 연구: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 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미연.김선영, 2022, "군 유휴시설 문화재생의 특성 및 한계: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 9(1), pp.71-96. https://doi.org/10.26654/iagc.2022.9.1.071
- 서윤정.박정운.최진영.조록환.조창완, 2012, "농촌지역의 유휴시설 활용 활성화 방안," 농어촌관광연구 19(2), pp.65-88.
- 석정은, 2021,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 및 문화재생 효과 비교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나영, 2022a,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접경지역 도시재생의 특성 연구: 강원도 춘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32(4), pp.206-220.
- 이나영, 2022b,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568-582. https://doi.org/10.23841/EGSK.2022.25.4.568
- 이덕진, 2014,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이상준.한상욱.이정수, 2009,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전통시장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태안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2), pp.125-138.
- 이화용, 2016,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임유경.임현성, 201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기본-2012-3, pp.1-322.
- 최보경, 2017,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6, pp.203-226. https://doi.org/10.18658/humancon.2017.09.46.203
- 최순섭.오준걸, 2015, "공공적 유휴공간 재생 계획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공현상설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pp.2201-2211. https://doi.org/10.5762/KAIS.2015.16.3.2201
- 최유리, 2014,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청주 연초제조창(구.KT&G)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추용욱, 2015, 강원도 유휴공간의 재생과 가치 제고,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509, pp.1-12.
- 홍천군, 2023, 인구감소지역 대응 기본계획(안).
- 강원일보, 2023년 11월 7일, "홍천 인구 지속 감소세...7개 읍.면 주민 수 줄어"
- 뉴시스, 2019년 11월 6일, "홍천 탄약정비공장 예술공간 변신...'강원국제예술제2019'"
- 아시아투데이, 2023년 6월 18일, "홍천 청년마을, '와썹 타운'..인구소멸지역 새로운 활력 기대"
- 연합뉴스, 2021년 11월 18일, "홍천군 강원국제트리엔날레, 유휴공간이 문화공간 탈바꿈 효과"
- 이코노텔링, 2022년 8월 10일, "지방인구 소멸 위험 더 커졌다"
- 행정안전부, 2021년 10월 18일 보도자료,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지방 살리기 본격 나선다"
- 홍천뉴스, 2023년 8월 9일, "지속적인 인구감소에도 '홍천군 대책은 매년 비슷' 사실상 무대책"
- 횡성희망신문, 2022년 7월 18일, "20년간 폐쇄됐던 탄약 공장, 문화의 힘으로 활짝 열리다"
- 강원국제트리엔날레2021, http://www.gwit2021.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8일).
- 강원특별자치도상권활성화센터, https://www.gwmarket.or.kr/ (최종열람일: 12월 10일).
- 강원특별자치도청 종합 홍보 잡지 동트는 강원, https://www.dongtuni.com/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6일).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6일).
- 방위사업청 매거진 청아람, https://dapa-magazine.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6일).
- 통계청, https://kostat.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0일).
- 홍천군 통계연보 2022, https://www.hongcheon.go.kr/stats/statBook.do?key=1501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5일).
- 홍천향토문화자료실 블로그, https://m.cafe.daum.net/hcart/42FL/568?listURI=%2Fhcart%2F42FL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