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thods for Regional Regeneration of Local Small City by Utilizing Idle Spaces: Focusing on the Case of Hongcheon-gun

유휴공간을 활용한 지방소도시 지역재생 방안: 홍천군 사례를 중심으로

  • Nayoung Lee (DMZ HELP Cente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23.12.28
  • Published : 2023.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ide methods and policy implications for vitalizing the regional regeneration of local small cities through utilizing idle spaces, with Hongcheon-gun as a case. Hongcheon-gun has been changed into cultural and art space since it was selected as the venue of Gangwon Triennales, and it is an example region that vitalized local areas by utilizing idle spaces on the basis of its placeness and characteristics. For the effective future utilization of idle spaces and regional regeneration, however, first, the survey of local resources is required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idle spaces. Second, foundations for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idle spaces should be constructed. Third, methods for utilization should be sough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idle spaces and local conditions. Fourth, connected projects should be vitalized in consideration of possibilities for the regeneration and utilization of idle spaces.

본 연구에서는 홍천군을 사례로 하여 유휴공간의 활용을 통해 지방소도시의 지역재생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홍천군은 강원국제예술제 대상지로 선정되면서 그 용도가 문화예술공간으로 변화하였고 지역이 가지고 있는 장소성과 특성을 바탕으로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지역을 활성화 시킨 사례지역이다. 그러나 향후 유휴공간의 효과적 활용과 지역재생을 위해서는 첫째, 유휴공간의 체계적 관리와 활용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유휴공간의 관리 및 운영기반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유휴공간의 특성과 지역여건을 고려한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넷째, 유휴공간의 재생 및 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연계사업을 활성화해야 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NRF-2022S1A5B5A16056894)이며, 2022년 한국도시지리학회 동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함.

References

  1. 강동진, 2009, "희망제작소와 함께하는 도심 르네상스 프로젝트: 도심 내 유휴공간 산업유산의 재활용," 도시문제 44(492), pp. 44-49.
  2. 곽수정, 2006, 유휴공간의 문화공간화를 위한 콘텐츠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국토교통부 국토지리정보원, 2022, 2021년 국토조사보고서, 국토조사 국토지표 데이터베이스(DB)보고서 자료.
  4. 김동한.서태성.이미영.한우석.임지영.김현아, 2015, 국토 유휴공간 현황과 잠재력 분석연구, 국토연구원 15-29, pp.1-169.
  5. 김민지.나인수, 2019,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기반 도시재생의 특성 및 유형별 전략분석 연구: 인천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부동산연구 10(2), pp.59-76.
  6. 김선미, 2023, 유휴공간 문화재생에 관한 연구: 생활문화센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성진, 2013, 유휴자원의 관광 활용을 촉진하기 위한 정책추진방안,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8. 김세영.이재규, 2014, "문화콘텐츠를 활용한 유휴공간의 재생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9(3), pp.17-29. https://doi.org/10.35216/kisd.2014.9.3.17
  9. 김영화, 2021, 유휴산업시설을 활용한 지방소도시 지역 재생 실천방안 연구: 삼척시 신기면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은자.이유경.박미정.최진아.임창수.김상범, "농촌마을 유휴자원 활성화 방안 연구," 농어촌관광연구 22(2), pp.33-57.
  11. 김지현.어성신.황연숙, 2018, "유휴시설을 활용한 복합문화공간의 재생사례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0(3), pp.85-87.
  12. 김현주.이상호, 2011, "유휴공간 재활용 계획에 나타나는 도시재생개념의 영향 분석: 기존 연구에 등장하는 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7(6), pp.103-112.
  13. 도준석.오광석, 2019, "사례 분석을 통한 폐 산업시설 및 유휴공간 재생 방향 연구: 국내 폐 산업지 재생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21(2), pp.17-25.
  14. 박미연, 2022,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문화재생공간 특성 연구: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 장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박미연.김선영, 2022, "군 유휴시설 문화재생의 특성 및 한계: 캠프 그리브스, 평화문화진지, 탄약정비공장을 중심으로," 한국지역문화학회 9(1), pp.71-96. https://doi.org/10.26654/iagc.2022.9.1.071
  16. 서윤정.박정운.최진영.조록환.조창완, 2012, "농촌지역의 유휴시설 활용 활성화 방안," 농어촌관광연구 19(2), pp.65-88.
  17. 석정은, 2021, 유휴공간의 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특성 및 문화재생 효과 비교 분석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나영, 2022a, "군 유휴시설을 활용한 접경지역 도시재생의 특성 연구: 강원도 춘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32(4), pp.206-220.
  19. 이나영, 2022b, "접경지역의 군 유휴지 활용과 도시재생: 강원도 철원군을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5(4), pp.568-582. https://doi.org/10.23841/EGSK.2022.25.4.568
  20. 이덕진, 2014, 유휴공간을 재활용한 문화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이상준.한상욱.이정수, 2009,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전통시장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 태안 전통시장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0(2), pp.125-138.
  22. 이화용, 2016, 장소마케팅 관점에서 유휴공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하여, 중앙대학교 건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임유경.임현성, 2012, 근린 재생을 위한 도시 내 유휴공간 활용 정책방안 연구, 건축도시공간연구소 AURI-기본-2012-3, pp.1-322.
  24. 최보경, 2017, "미군기지 유휴공간의 문화재생 사례 연구: 캠프 그리브스 문화재생사업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46, pp.203-226. https://doi.org/10.18658/humancon.2017.09.46.203
  25. 최순섭.오준걸, 2015, "공공적 유휴공간 재생 계획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문화적 재생을 위한 공공현상설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6(3), pp.2201-2211. https://doi.org/10.5762/KAIS.2015.16.3.2201
  26. 최유리, 2014, 유휴공간 활용을 통한 지역 활성화 방안 연구: 청주 연초제조창(구.KT&G)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추용욱, 2015, 강원도 유휴공간의 재생과 가치 제고, 강원연구원 정책메모 509, pp.1-12.
  28. 홍천군, 2023, 인구감소지역 대응 기본계획(안).
  29. 강원일보, 2023년 11월 7일, "홍천 인구 지속 감소세...7개 읍.면 주민 수 줄어"
  30. 뉴시스, 2019년 11월 6일, "홍천 탄약정비공장 예술공간 변신...'강원국제예술제2019'"
  31. 아시아투데이, 2023년 6월 18일, "홍천 청년마을, '와썹 타운'..인구소멸지역 새로운 활력 기대"
  32. 연합뉴스, 2021년 11월 18일, "홍천군 강원국제트리엔날레, 유휴공간이 문화공간 탈바꿈 효과"
  33. 이코노텔링, 2022년 8월 10일, "지방인구 소멸 위험 더 커졌다"
  34. 행정안전부, 2021년 10월 18일 보도자료, "인구감소지역 89곳 지정, 지방 살리기 본격 나선다"
  35. 홍천뉴스, 2023년 8월 9일, "지속적인 인구감소에도 '홍천군 대책은 매년 비슷' 사실상 무대책"
  36. 횡성희망신문, 2022년 7월 18일, "20년간 폐쇄됐던 탄약 공장, 문화의 힘으로 활짝 열리다"
  37. 강원국제트리엔날레2021, http://www.gwit2021.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8일).
  38. 강원특별자치도상권활성화센터, https://www.gwmarket.or.kr/ (최종열람일: 12월 10일).
  39. 강원특별자치도청 종합 홍보 잡지 동트는 강원, https://www.dongtuni.com/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6일).
  40.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6일).
  41. 방위사업청 매거진 청아람, https://dapa-magazine.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6일).
  42. 통계청, https://kostat.go.kr/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0일).
  43. 홍천군 통계연보 2022, https://www.hongcheon.go.kr/stats/statBook.do?key=1501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5일).
  44. 홍천향토문화자료실 블로그, https://m.cafe.daum.net/hcart/42FL/568?listURI=%2Fhcart%2F42FL (최종열람일: 2023년 12월 1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