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rudimentary review of the ancient Saka Kurgan burial rituals - Focused on the case of Katartobe Ancient Tombs in the Zhetisu Region -

고대 사카 쿠르간 매장의례의 초보적 검토 - 제티수지역 카타르토베 유적 사례를 중심으로 -

  • NAM, Sangwon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KIM, Younghyun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SEO, Gangmin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JEONG, Jongwon (Research Division of Archaeolog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남상원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
  • 김영현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
  • 서강민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
  • 정종원 (국립문화재연구원 고고연구실)
  • Received : 2021.09.29
  • Accepted : 2021.11.09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One of the ancient nomadic cultures, the Saka is generally regarded as an important intermediary in the ancient Eurasian cultural network. This study is the reinterpretation of the excavations conducted on the Katartobe tombs site of the Saka culture through a joint three-year-long project by the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in collaboration with the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under the National Museum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The main discussion of the study deals with the burial rituals performed by the community who built the Katartobe tombs by the comparison and review of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Saka tombs based on the archaeological artifacts discovered during excavation. The research has shown that the Saka tribes maintained the tradition of burying domesticated animals, such as horses, with its owner and performed burial rituals which often involved the use of fire.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the Saka also show that the burial rituals like these formed the key aspect of their cultural heritage. The archaeological discoveries also show that the Saka mourners built wooden cists under a single mound when they needed to bury multiple corpses at once and sustained the practice of excarnation when burying the bodies of those who died in the different periods of time. Some burials included a tomb passage which was used not only for carrying the deceased but also for a separate burial ritual. The main discussion of this study also deals with the remnants of bones of animals buried with their deceased owners in the same kurgan, as well as the animal species and their locations in the kurgan, resulting in the discovery of diverse meanings connected with them. The pottery buried in the tombs were largely ceremonial offering vessels, just like others excavated at nearby Saka tombs and located around the buried corpse's head facing toward the west. The excavation of the tombs also shows that two vessels were arranged at the corners of the coffin where the feet are locate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burial practices maintained by the tribe who built the Katartobe tombs. It may be too early to come to a definite conclusion on the burial practices of the Saka due to the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the kurgans across Central Asia. Excavations so far show that the kurgans clustered in a single archaeological site tend to display differences as well as uniformities. In conclusion, the ancient Central Asian tombs need more detailed surveys and researches to be able to make strides in an effort to restor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ancient Central Asian tribes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urasian cultural landscape.

고대 유목문화 중 하나인 사카(Saka)문화는 유라시아 고대 문화 네트워크의 중요한 매개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평가받는다. 이들에 의해 조영된 카타르토베(Katartobe) 고분군에 대해 대한민국 국립문화재연구원과 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문화유산연구소가 3년간 공동 발굴하였던 내용을 재해석해 보았다. 조사 과정에서 확인되었던 고고학적 자료들을 토대로 주변의 사카문화권에서 확인된 고분 조사 사례들과 비교·검토하여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 집단의 매장의례를 유추해 보고자 하였다. 그들은 매장의례 과정에서 동물을 함께 매장하기도 하고 제사를 지내기도 하며, 망자를 땅속에 묻고 불을 사용한 의식을 치르기도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매장의례는 사카문화에 있어 중요한 부분이었음을 다른 유적 사례를 통해 확인하였다. 또한 당시 하나의 봉분 아래 다수의 목곽이 설치될 경우 대부분 동시에 매장이 이루어졌으며, 망자의 죽음 시점이 다를 때는 2차장인 세골장이 이루어졌다는 것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묘도가 발견된 경우도 있었는데, 이는 단지 매장을 위한 통로가 아닌 별도의 의식이 이루어지는 장소였음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들의 삶에 있어 중요한 동반자 역할을 하였던 동물들도 쿠르간 내 출토되는 위치와 종류, 뼈에 나타난 흔적들을 통해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매장 의례의 각 단계에서 서로 달리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물의 매장은 출토된 위치와 동물의 종, 뼈에 나타난 흔적을 통해 다양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부장토기들은 인근 사카문화계 고분군들과 비교해 본 결과 대부분의 비슷한 기종들이 공헌용기로 사용되었으며, 두향을 서쪽으로 하고 있는 피장자들의 두부(頭部)쪽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족부(足部)가 위치하는 목곽 모서리에 토기를 한 점씩 배치하는 것은 카타르토베 고분군 축조집단의 독특한 매장의례였다. 현재 중앙아시아 쿠르간에 대한 조사자료가 다량 축적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성급한 일반화를 논하기는 어려운 단계이다. 실제로 하나의 유적 내에서도 일부 정형성이 있는가 하면 그 안에서도 다양성이 내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세세한 관찰과 연구가 지속된다면 고대 유라시아 문화 네트워크 주역들의 문화를 복원하는 데 큰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욱, 2018, 「북방 유라시아 초원지역과 한반도 교류의 고고학」, 「한국상고사학보」100.
  2. 강인욱, 2019, 「강인욱의 고고학 여행」, 민음사.
  3.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2018, 「카자흐스탄 초원의 황금문화」.
  4.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2019, 「카자흐스탄 제티수지역의 고분문화」.
  5. 국립문화재연구소, 2019, 「물리탐사 V」.
  6. 김용성, 2014,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중앙고고연구」15.
  7. 남상원, 2020, 「카자흐스탄 카타르토베 고분군 조사 성과와 의미」, 「2020 Asian Archaeology」.
  8. 사마셰프 Z., 2018, 「고대 카자흐스탄의 위대한 유산, 베렐 쿠르간」, 「카자흐스탄 초원의 황금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 박물관.
  9. 에렉젠, 2009, 「몽골 흉노 무덤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온가르 A., 2018a, 「사카인의 대형 쿠르간과 대초원 사르마트인의 성소」, 「카자흐스탄 초원의 황금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11. 온가르 A., 2018b, 「카자흐스탄 서부 초원의 지배자들」, 「카자흐스탄 초원의 황금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12. 온가르 A., 하세노바 B., 2018, 「제티수의 사카 왕자 무덤, 이식 쿠르간」, 「카자흐스탄 초원의 황금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카자흐스탄 국립박물관.
  13. 이준정, 2017, 「꿩 대신 닭?: 고분 부장 동물유존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제41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14. 장윤정, 2012, 「동물 부장양상을 통해 본 북흉노의 매장습속-몽골지역을 중심으로」, 「문물연구」22.
  15. 천진기, 2005, 「충복(忠僕).비천(卑賤)의 개」, 「제45회 「개와 한국민속」 학술강연회 우리의 오랜 친구 개」.
  16. 코신체프 P.A., 김라노프 D.O., 2019, 「II. 카타르토베 고분군의 동물고고학적 분석」, 「카자흐스탄 제티수지역의 고분문화」, 국립문화재연구소.
  17. 헤로도토스(천병희 역), 2009, 「역사(The Histories)」, 숲, 4권 61-63장.
  18. N.V. 폴로스막(강인욱 역), 2016, 「알타이 초원의 기마인」, 주류성출판사.
  19. 巫新華, 唐自華, 王鵬, 覃大海, 中國社會科學院考古研究所新疆工作隊, 2015, 「新疆塔什庫爾幹吉爾贊喀勒墓地發掘報告」, 「考古學報」2.
  20. 新疆文物考古研究所, 1998, 「新疆察布查爾縣索墩布拉克古墓群」, 「考古」8.
  21. 新疆文物考古研究所, 2004, 「伊犁州尼勒克縣奇仁托海墓地發掘簡報」,「新疆文物」3.
  22. 新疆文物考古研究所.伊犁州文物管理所, 2005, 「特克斯縣葉什克列克墓葬發掘簡報」,「新疆文物」3.
  23. 新疆文物考古研究所.西北大學文化遺産與考古學硏究中心, 2006, 「2005 年度伊犁州鞏留縣山口水庫墓地考古發掘報告」,「新疆文物」1.
  24. 新疆文物考古研究所, 2006, 「特克斯縣恰甫其海 A 區 X 號墓地發掘簡報」,「新疆文物」1.
  25. 新疆文物考古研究所.西北大學文化遺産與考古學研究中心, 2006, 「新疆特克斯恰甫其海 A 區 XV 號墓地發掘簡報」,「文物」9.
  26. 新疆文物考古研究所.西北大學文化遺產與考古研究中心.伊犁州哈薩克自治州文物局, 2011, 「新疆尼勒克縣加勒克斯卡茵特墓地發掘簡報」,「考古與文物」5.
  27. 新疆文物考古研究所, 2012, 「新疆新源縣別斯托別墓地 2010 年的發掘」,「考古」9.
  28. 陝西省考古研究院.哈薩克斯坦伊塞克國家曆史文化博物館, 2020, 「哈薩克斯坦伊塞克拉哈特東南墓地早期鐵器時代M1 發掘簡報」, 「考古與文物」3.
  29. 吐魯番學硏究院, 2013, 「新疆吐魯番市勝金店墓地發掘簡報」, 「考古」2.
  30. 新疆文物考古研究所.中國人民大學考古文博繫.伊犁州文物局.尼勒克縣文物局, 2020, 「新疆伊犁州墩那高速公路尼勒克段沿線古代墓葬的發掘」, 「考古」12.
  31. K.A.아키셰프, G.A.쿠셰프, 1963, 「일리강 분지의 고대 사카 및 오손 문화」, 카자흐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 과학원, 알마아타. (К.А.Акишев, Г.А.Кушаев, 1963, Древняя культура саков и усуней долины реки Или, Изд-во АН Казахской ССР, Алма-Ата, 1963)
  32. A.Z.베이세노프, D.B.두이센바이, E.P.키토프, M.A.쿨코바, 2018, 「제티수 카스판 계곡의 사카시기 쿠르간」, 「고고 연구의 가설과 실제」1, 제23권, 3호(2018), pp.138~162 (А.З. Бейсенов, Д.Б. Дуйсенбай, Е.П. Китов, М.А. Кулькова, 2018, Исследование сакских курганов в урочище Каспан в Же тысу // Теория и практика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1. Т. 23, № 3.)
  33. 막시모바, 1978, 「이식 고분군의 또 하나의 쿠르간」, 「카자흐스탄의 고고학유적」, 알마아타. (Максимова А.Г., 1978, Еще один курган Иссыкского могильника // Археологические памятники Казахстана. - Алма-Ата, С. 188-194.)
  34. 베이세노프, 2014, 「고고학 연구에서의 카자흐스탄 민족지학 자료 활용」, 「국제학술회의 '아르긴바예프 독회' 자료집」, 알마티. (Бейсенов А.З., 2014, Об использовании данных казахской этнографии в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ях // Материалы международной конференции «II Аргынбаевские чтения». - Алматы: Казахский Национ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С. 87-90.)
  35. 베이세노프&키토프, 2014, 「카자흐스탄 중부 사카시대 엘리트 매장시설 내 두개골 사후 절개술」, 「알타이 국립대학교 회보」, 바르나울. (Бейсенов А.З., Китов Е.П., 2014, Посмертная трепанация черепов в элитных захоронениях сакской эпохи Централь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 Известия АлтГУ. - Барнаул: ИздвоАлтГУ, - № 4-2(84). - С. 31-41.)
  36. 베델바예바 М.В., 2011, 「카자흐스탄 사카 문화 연구사」, 「유라시아 초원의 민족사회문화적 과정 연구 맥락에서 본 사리아르카의 사카 문화」, Technology of Imaging. (Бедельбаева М.В., 2011, История изучения сакской культуры Казахстана, Сакская культура Сарыарки в контексте изучения этносоциокультурных процессов степной Евразии. Тезисы докладов Круглого стола, посвящённого 20-летию Независимости Республики Казахстан. - Караганды, с. 135)
  37. A.가스, 2011, 「지질고고학 자료를 통해 본 남동 세미레치예의 초기철기시대 유적 연구 문제」, 「유라시아의 고고학, 민족학, 인류학」 3(47), 러시아과학원 시베리아지소. (А. Гасс, 2011, К проблеме изучения памятников раннего железного века юго-восточного Семиречья в свете данных гео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исследований, Археологии, этнография и антропология Евразии 3(47), с. 68)
  38. 온가르 A., 2002, 「초기 유목민 쿠르간 열의 대형구조에 관한 연구」, 「시베리아와 극동의 고대와 현대 사회의 문화학과 역사」, 옴스크 국립 교육대학교. (Онгар А., 2002, К изучению мегаструктуры цепочек курганов ранних кочевников // Культурология и история древних и современных обществ Сибири и Дальнего Востока. Омск. С. 345-347.)
  39. 베크세이토프 G.T. 외, 2018, 「남동 세미레치예 초기 유목민 매장-의례 관행의 몇 가지 특징」, 「국립 카자흐스탄 교육대학교 회보 "역사와 사회 정치학"」3(58), 카자흐스탄 국립 교육대학교. (Бексеитов Г.Т., Оспанов Е.Б., Тулегенов Т.Ж., 2018, Некоторые особенности погребально-поминальной практики ранних кочевников Юго-Восточного Семиречья, КНПУ ВЕСТНИК Серия «Исторические и социально-политические науки» №3(58), КНПУ.)
  40. 온가르 A. 2008, 동카자흐스탄과 세미레치예의 초기 유목민 엘리트 쿠르간: 건축적 특징」, 「카자흐스탄 초원의 유목민: 스키토-사카 시기 유라시아의 민족사회적, 문화적 과정과 접촉」, 카자흐스탄 공화국 대통령 문화센터. (Онгар А., 2008, Элитарные курганы ранних кочевников Восточного Казахстана и Семиречья: конструктивные особенности, Номады Казахских степей: этносоциокультурные процессы и контакты в Евразии скифо-сакской эпохи: междунар. науч. кон ф, ПЦК Р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