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process, the history of use and performed rituals of Gyeongungung Heungdeokjeon

경운궁 흥덕전의 조영 및 사용 연혁과 설행된 의례의 특징

  • Received : 2021.12.29
  • Accepted : 2022.02.02
  • Published : 2022.03.30

Abstract

Heungdeokjeon was the first pavilion built on the site of Sueocheong during the expansion of Gyeongungung. In this study, we tried to clarify the specific construction process of Heungdeokjeon, which was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copy location for Portraits of ancestors, temporary enshrinement site, and the funeral building for the rest of the body, which is Binjeon. In addition, we tried to confirm the historical valu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derived by the history of the building and the rituals performed. Heungdeokjeon began to be built in the second half of 1899, and is estimated to have been completed between mid-February and mid-March 1900. It was a ritual facility equipped with waiting rooms for the emperor and royal ladies as an annex. The relocation work was planned in April 1901 and began in earnest after June, and it was closely linked to the construction of attached buildings of Seonwonjeon. In addition, comparing the records on the construction and relocation cost of Heungdeokjeon with those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Seonwonjeon, it was confirmed that annex buildings of Heungdeokjeon were relocated and used as annex buildings of Seonwonjeon. The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process of Heungdeokjeon used as a place to copy portrai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used as a place to copy portraits twice in a short period of time. Second, it was the place where the first unprecedented works were carried out in relation to the copying of portraits. Third, the pavilion, which was specially built for imperial rituals, was used as a place to copy portraits. Since then, it has been used as a funeral building for the rest of the body, and feature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period are identified. It was the building dedicated to rituals for use as Binjeon, and was also a multipurpose building for copying portraits. In other words, Heungdeokjeon, along with Gyeongbokgung Taewonjeon, is the building that shows the changes in the operation of Binj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aracteristics are also confirmed in portrait-related rituals performed at Heungdeokjeon. The first is that Jakheonlye was practiced frequently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 second is that the ancestral rites of Sokjeolje and Bunhyang in Sakmangil, which are mainly held in the provincial Jinjeon, were identified. This is a very rare case in Jinjeon of the palace. The last is that Jeonbae, jeonal, and Bongsim were implemented mutiple times. In conclusion, Heungdeokjeon can be said to be a very symbolic building that shows the intention of Gojong, who valued imperial ritua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nstruction process of Gyeongungung.

흥덕전은 경운궁의 확장 과정에서 궁역으로 편입된 수어청 부지에 최초로 지어진 전각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어진 모사처, 임시 봉안처, 빈전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던 흥덕전의 구체적인 조영 과정을 밝히는 한편, 흥덕전의 사용 연혁을 구체적으로 조사하고 설행된 의례를 분석하여 도출한 특징을 토대로 흥덕전의 역사적 가치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흥덕전은 1899년 하반기에 건립되기 시작되어, 1900년 2월 중순에서 3월 중순 사이에 완공된 것으로 추정된다. 흥덕전은 부속 전각으로 어재실과 내재실을 갖춘 의례시설이었다. 흥덕전의 이건은 1901년 4월에 계획되어 6월 이후에 본격적으로 진행되었는데, 이건 공사는 선원전 부속 전각의 공사 및 선원전 중건의 추가 공사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진행되었다. 또, 흥덕전의 영건 역비와 이건비의 기록, 선원전 중건 관련 비용 내역을 비교 검토한 결과, 흥덕전의 부속 전각인 어재실과 내재실이 선원전의 어재실과 이안청으로 이건되어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덕전은 1900년 초 영건되자마자 두 차례에 걸쳐 어진 모사처로 사용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확인되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짧은 시간 동안 두 차례의 어진 모사처로 사용되었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조선 및 대한제국 시기의 어진 모사와 관련하여 선례가 없는 최초의 작업들이 진행된 장소였다는 점이다. 세 번째는 황실 의례를 위하여 별도로 건립된 전각을 어진 모사처로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이후 흥덕전은 빈전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전 시기의 빈전과는 다른 특징이 확인된다. 흥덕전은 빈전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미리 준비된 의례용 전용 전각이었으며, 어진 모사처로도 사용된 다목적의 의례용 전각이었다. 즉, 흥덕전은 경복궁 태원전과 함께 조선 후기 빈전 운영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전각인 것이다. 흥덕전에서 설행된 어진 관련 의례에서도 주목되는 특징이 확인된다. 첫 번째는 짧은 기간 동안 다수의 작헌례가 설행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주로 지방의 진전에서 거행되는 속절제와 삭망일의 분향이 확인되었다는 점으로, 이는 궁궐 내 진전에서는 매우 드문 사례이다. 마지막은 전배 및 전알, 봉심이 다수 시행되었다는 점이다. 즉, 흥덕전은 황실 의례를 매우 중시하였던 고종의 의도와 경운궁 중건 과정의 특징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매우 상징적인 전각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
  2. 「고종실록(高宗實錄)」
  3. 「순종실록(純宗實錄)」
  4.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5. 「주본(奏本)」
  6. 「[효정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孝定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7. 「[순명비]빈전혼전도감도청의궤([純明妃]殯殿魂殿都監都廳儀軌)」
  8. 「영정모사도감보완의궤(影幀摸寫都監補完儀軌)」
  9.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광무 4년)」
  10. 「영정모사도감의궤(影幀摹寫都監儀軌)(광무 5년)」
  11. 「진전중건도감의궤(眞殿重建都監儀軌)」
  12. 「황성신문(皇城新聞)」 1899년 11월 16일
  13. 건축사사무소 강희재, 2014, 「덕수궁 선원전 복원정비 기본 계획」, 문화재청, p.168, pp.173~177, pp.283~285.
  14. 國立古宮博物館, 2013, 「國譯 影幀摹寫都監儀軌」, pp.43~55.
  15. 명지대학교 한국건축문화연구소, 2019, 「덕수궁 선원전영역 학술조사연구(건축.미술사) 연구보고서」, 문화재청
  16. 文化財廳, 2005, 「景福宮 泰元殿圈域 造景整備工事 修理報告書」, p.91.
  17. 오다 쇼고 외, 1938, 「덕수궁사(德壽宮史)」, 李王職
  18. (재)동양문물연구원, 2013, 「덕수궁 선원전지 발굴조사 약보고서」
  19. (재)동양문물연구원, 2015, 「德壽宮 興德殿址.興福殿址 -서울 덕수궁 선원전지 복원정비구역내 유적-」, 문화재청
  20. (주)삼풍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2005, 「덕수궁 복원정비 기본계획」, 문화재청
  21. 姜成今, 2009, 「朝鮮時代 眞殿 誕辰茶禮 硏究」,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6, pp.13~17, pp.49~54.
  22. 安慶鎬, 2007, 「朝鮮後期 殯殿建築에 대한 硏究」,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26.
  23. 이민아, 2021, 「고종대 궁궐 儀禮空間 정비의 지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62~63.
  24. 황준원, 2005, 「朝鮮時代 宮闕內 吉禮.凶禮의식 공간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9~20, pp.53~59.
  25. 김세은, 2013.08., 「조선시대 眞殿 의례의 변화」, 「진단학보」제118호, pp.6~8.
  26. 김지영, 2011, 「19세기 眞殿 및 御眞奉安處 운영에 대한 연구」, 「장서각」제26호
  27. 유재빈, 2011.10., 「조선 후기 어진 관계 의례 연구: 의례를 통해 본 어진의 기능」, 「미술사와 시각문화」10권, pp.75~76.
  28. 홍은기, 김상태, 장헌덕, 2012, 「조선시대 혼전(魂殿)공간의 구성에 관한 연구」, 「문화재」제45권 제4호, p.76.
  29. 양진조, 2010, 「어진 봉안의 공간 - 진전(眞殿), 그 의례에 대하여」, 「최후의 진전 - 창덕궁 신선원전(新璿源殿)」, 국립문화재연구소, p.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