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istorical Study on Cho Heon-yeong's 『Eastern Medicine Series (東洋醫學叢書)』

조헌영의 『동양의학총서(東洋醫學叢書)』에 대한 의사학적 연구

  • KIM Do-won (Dept. of Korean Medicine, Graduated School, Kyung Hee University) ;
  • CHA Wung-seok (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 김도원 (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
  • 차웅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 Received : 2022.04.30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Cho Heon-yeong's 『Eastern Medicine Series (東洋醫學叢書)』. It consists of 5 clinical books, 『Therapy for People (民衆醫術理療法)』, 『Tuberculosis Eastern Medical Treatment (肺病漢方治療法)』, 『Neurasthenia Treatment (神經衰弱症治療法)』, 『Gastrointestinal Disease Treatment (胃腸病治療法)』 and 『Gynecological Treatment (婦人病治療法)』, which were published between 1935-1941. This series mainly succeeded 『Donguibogam (東醫寶鑑)』, and was influenced by 『Kyeongakjeonseo (景岳全書)』, and 『Hwangjenegyeong (黃帝內經)』. Cho Heon-yeong's medical philosophy appears in two ways. First, he emphasized invigoration in treatment for the people who lacked nutrition and medical care at the time. Second, eclecticism of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s specifically revealed through this series. He aimed for a comprehensive medicine that consists mainly of Korean medicine and includes only a part of Western medicine.

Keywords

References

  1. 조헌영. 「東洋醫學叢書 : 五種」. 서울:행림서원. 1963.
  2. 신창건. 「趙憲泳의 정치적 의학사상」: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론 42. 한국 근현대 과학기술사의 전개. 1. 과천:국사편찬위원회. 2005:117-154.
  3. 박윤재. 「1930~1940년대 조헌영의 한의학 인식과 동서절충적 의학론」. 한국근현대사연구. 2007;40:118-139.
  4. 백유상. 「趙憲泳의 생애와 醫學思想」.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9;32(3):103-130. https://doi.org/10.14369/JKMC.2019.32.3.103
  5. 황영원. 「일제하 조선 한의계와 한의학의 식민지적 근대」. 고려대학교 대학원 한국사학과 박사논문. 2019.
  6. 신규환. 「竝存과 折衷의 二重奏 : 日帝下 韓醫學의 西洋醫學 認識과 受容」. 역사교육. 2007;101:227-256.
  7. 정근식. 「일제하 서양 의료 체계의 헤게모니 형성과 동서 의학 논쟁」. 한국사회사학회 논문집. 1996;50:270-305.
  8. 임병묵. 「1930年代 韓醫學 復興 論爭」.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논문. 1996.
  9. 전혜리. 「1934년 한의학 부흥 논쟁」. 한국과학사회지. 2011;33(1):41-89.
  10. 김남일. 「醫書의 刊行을 중심으로 살펴본 日帝時代 한의학의 학술적 경향」. 의사학. 2006;15(2):77-105.
  11. 정지훈. 「韓醫學術雜誌를 중심으로 살펴본 日帝時代 韓醫學의 學術的 傾向」. 한국의사학회지. 2004;17(1):195-253.
  12. 김도원, 차웅석. 「조헌영의 婦人病治療法 연구 : 의학사상과 처방을 중심으로」. 한국의사학회지. 2021;34(1):11-22. https://doi.org/10.15521/JKMH.2021.34.2.011
  13. 김도원, 안상우, 차웅석. 「조헌영의 神經衰弱症治療法 연구」. 한국의사학회지. 2021;34(2):11-23. https://doi.org/10.15521/JKMH.2021.34.2.011
  14. 조헌영. 「通俗漢醫學原論」. 서울:學林社. 1990.
  15. 김남일. 「근현대 한의학 인물실록」. 서울:들녘. 2011.
  16. <朝鮮新聞>, 1927.11.16.「광고, 物理療法通信講座/24권」.
  17. <朝鮮新聞> 1932.01.24. 「광고, 專賣特許物理療法器で」.
  18. <동아일보> 1932.05.20 「朝鮮理療會 創立」.
  19. 平田內蔵吉, 「平田式心療法: 熱鍼快療術」, 東京:春陽堂, 1930.
  20. 안상우. <민족의학신문> 2018.03.03.「<고의서산책/812> - 「肺病漢方治療法」②」.
  21. 윤기령, 백유상, 장우창, 정창현. 「鍼無補法의 의미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18;3(2):141-153.
  22. 박윤재. 「일제의 한의학정책」: 연세대학교 의학사연구소, 한의학, 식민지를 앓다. 서울:아카넷. 2008:58-78.
  23. 김기욱, 김남일, 김도훈, 김용진, 김홍균, 김훈 외. 「韓醫學通史」. 고양:대성의학사. 2006:464-490.
  24. 조헌영, <조선일보> 조선일보, 1935.07.16. 「漢醫學上으로 본 茶山醫學의 特色」.
  25. 조헌영, <조선일보> 1934.07.04. 「漢醫學 臟腑論의 新硏究 (13)」.
  26. 한기원. 「클로드 베르나르의 일반생리학 : 형성과정과 배경」. 의사학. 2010;19(2):507-552.
  27. Henry Head. 「On Disturbances of Sensation withEspecial Reference to the Pain of Visceral Disease」. Brain. 1893;16(1-2):1-133. https://doi.org/10.1093/brain/16.1-2.1
  28. 조헌영. 「신의학의 발전과 한의학의 금후」: 정근식. 「漢醫學의 批判과 解說」. 서울:조합공동체 소나무. 1997:225-230.
  29. 김현구. 「일제강점기 한의학의 정체성 형성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논문. 2013.
  30. 장기무. <조선일보> 1934.02.16-20. 「漢方醫學復興策(一)-(三)」.
  31. 자오훙쥔 저. 이충열 역. 「근대 중국 동서의학 논쟁사」. 서울:집문당. 2020.
  32. 김성수. 「중국 전통과 서양 근대의 불안한 공존: 당종해(唐宗海)와 중서회통의경정의(中西匯通醫經精義)」. 의료사회사연구. 2020;6(1):59-63.
  33.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서울:문학과지성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