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미숙, 김선경 (2020). 부모의 양육태도와 우울 및 불안과의 관계: 인터넷 중독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21(5), 299-314. https://doi.org/10.15703/kjc.21.5.202010.299
- 공영숙, 임지영 (2021). 아동의 학업스트레스, 그릿, 집행기능 곤란 및 미디어기기 과의존 간의 구조적 관계.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9(3), 387-400. https://doi.org/10.6115/fer.2021.028
- 권미영, 정윤주 (2018).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 양육효능감, 양육행동과 유아의 스마트폰 의존 간 관계. 놀이치료연구-한국놀이치료학회, 21(1), 153-169. https://doi.org/10.17641/KAPT.21.1.8
- 김경민 (2021). 부모의 허용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중독을 매개로. 육아정책연구, 15(2), 75-96. https://doi.org/10.5718/kcep.2021.15.2.75
- 김경민, 조은영, 송지은 (2018). 부모의 감독과 과잉간섭이 아동.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변화에 미치는 영향: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9(1), 7-32. https://doi.org/10.14816/sky.2018.29.1.7
- 김미숙, 전진아, 하태정, 김효진, 오미애, 정은희, 최은진, 이봉주, 김선숙 (2013). 아동종합실태조사(정책보고서 2013-92).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http://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289에서 2022년 7월 30일 인출
- 김보람, 홍창희 (2015). 사용자의 자기조절감이 인터넷게임의 몰입과 병리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1), 315-334. https://doi.org/10.15842/kjcp.2015.34.1.015
- 김신희, 안창일 (2005). 인터넷 게임중독자의 성격 및 의사결정 방식. 학국심리학회지: 건강, 10(4), 415-430.
- 김윤경, 박주희, 오소정 (2021). 어머니의 감독, 활동공유, 교육지향행동, 스마트폰 허용여부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스마트 미디어 이용패턴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7(3), 65-87.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3.065
- 김은향 (2020).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아동 스마트미디어기기 의존, 집행기능 곤란, 화용언어능력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7), 1037-1059. https://doi.org/10.22251/jlcci.2020.20.7.1037
- 김정민, 김지현 (2013). 3, 5세 유아의 실행기능과 언어능력의 관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24(3), 289-300. https://doi.org/10.7856/kjcls.2013.24.3.289
- 김효정, 이희선 (2015). 어머니 양육행동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와 유아의 스마트기기 과몰입 간의 관계. 한국보육학회지, 15(4), 113-134.
- 도남희, 배윤진, 이예진, 이윤진, 김문정, 임준범, 김희수 (2017). 한국아동 성장발달 종단 연구 2017 (한국아동패널II) (연구보고2017-35).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939에서 2022년 7월 30일 인출
- 민대기 (2006). 의사결정나무를 이용한 장기 운전자 상품 고객 패턴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4), 1417-1427.
- 민미희 (2020). 어머니의 권위적 양육행동, 아동의 자아존중감, 아동의 집행기능 곤란 및 아동의 미디어기기 중독 간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2(3), 149-166. https://doi.org/10.36431/JPE.12.3.7
- 박경애, 김희수, 이화자, 김옥희. (2009). 가족과 개인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41-51. https://doi.org/10.17315/kjhp.2009.14.1.003
- 박남심, 송승민, 박보경, 김정은, 변유정 (2017). 어머니의 우울과 거부-방임 양육행동 간의 관계에서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3(5), 1-19.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5.001
- 박라진, 박혜원 (2016). 유아의 실행기능 및 부모중재가 유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한국생애학회 공동추계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경기도.
- 박보경, 노지운 (2019).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이 미디어기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0(3), 87-103. https://doi.org/10.5723/kjcs.2019.40.3.87
- 박선영 (2005). 아동의 외톨이 성향과 게임중독 위험성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학원
- 백지은 (2009). 부모의 양육태도, 아동의 자기통제 및 문제행동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12(2), 111-127.
- 서미영, 임은미 (2010). 유아 및 초등 저학년 아동의 인터넷 게임 중독경향과 인성특성의 관계. 아동교육, 19(4), 163-175.
- 송하나 (2018). 어머니의 우울과 불안이 유아의 불순응과 외현적 문제 행동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어머니 통제적 양육 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아동학회지, 39(1), 119-128. https://doi.org/10.5723/kjcs.2018.39.1.119
- 송현주 (2011). 초등학생의 집행기능과 학교 적응. 한국심리치료학회지, 3(2), 31-39.
- 송현주 (2014). 간편형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집행기능 곤란 질문지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1), 121-137. https://doi.org/10.15842/kjcp.2014.33.1.008
- 우수정 (2018). 부모의 아동학대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인터넷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771-786. https://doi.org/10.22251/jlcci.2018.18.2.771
- 우애리 (2014).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외현화 및 내재화 문제행동 : 유아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경민, 이난, 양경화 (2018). 초등학생의 이타성과 행복감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복지상담교육연구, 7(2), 189-216. https://doi.org/10.20497/jwce.2018.7.2.189
- 이기영, 장성화, 최성열, 신성철 (2008).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이 초등학생의 학교적응 및 또래관계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5(4), 111-133.
- 이다솔, 김광민, 문상호, 권기헌 (2019).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중독) 영향요인 분석: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9(4), 241-270. https://doi.org/10.23036/kapae.2019.29.4.009
- 이대웅, 손주희, 권기헌 (2016). 학교폭력 위험예측을 통한 선제적 정책대안의 모색: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중심으로. 정책분석평가학회보, 26(2), 95-125. https://doi.org/10.23036/kapae.2016.26.2.004
- 이명주, 홍창희 (2006). 실행기능의 차원과 영역별 발달. Kor 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5(2), 587-602.
- 이미경 (2004). 초등학생의 컴퓨터 게임과 공격성과의 관계. 전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선이 (2016). 초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과 부모감독이 스마트폰의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장영애, 박주은 (2011). 부모-자녀관계 특성과 인터넷 사용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아동교육, 20(4), 319-331.
- 전은옥 (2021).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학습시간, 여가시간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11), 99-112. https://doi.org/10.22251/jlcci.2021.21.11.99
- 전혜연, 현명호, 전영민 (2011). 인터넷 중독 성향자의 전두엽 실행기능의 특징. 학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215-229. https://doi.org/10.17315/kjhp.2011.16.1.013
- 조정진, 조안나 (2015). 유아의 스마트폰 게임 과몰입 정도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10), 647-657. https://doi.org/10.5392/JKCA.2015. 15.10.647
- 조해연 (2001).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과 성격특성변인 연구 : 자기효능감, 자기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혜빈, 임영진. (2021). 충동성과 SNS 과의존의 관계: 고양동기, 대처동기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8(1), 249-276. https://doi.org/10.21509/KJYS.2021.01.28.1.249
- 진정명 (2005). 초등학생의 컴퓨터 중독과 심리적 특성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종후, 서두성 (1999). 데이터마이닝 의사결정나무의 응용. 통계분석연구, 4(1), 61-83.
- 최지수, 최나야 (2019). 초등 3 학년생의 디지털미디어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집행기능곤란, 화용능력, 행복감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629-651. https://doi.org/10.22251/jlcci.2019.19.13.629
- 박고은 (2021. 5. 23). 코로나 장기화, 청소년 인터넷.스마트폰 중독 가파르게 늘어.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96314.html에서 2022년 8월 11일 인출
- 한국정보화진흥원 (2012). 스마트미디어중독 특성 및 중독 해소 개입 전략 개발 연구(NIA IV-RER-12090). 한국정보화진흥원.
- 허묘연 (2004).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2(2), 170-189.
- 황태경 (2013). 유아의 스마트기기 사용실태와 몰입경향성, 자기조절력,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Alizadeh, S., Talib, M. B. A., Abdullah, R., & Mansor, M. (2011).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yle and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sian Social Science, 7(12), 195-200. https://doi.org/10.5539/ass.v7n12p195
- Anderson, P. (2002).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 (EF) during childhood. Child Neuropsychology, 8(2), 71-82. https://doi.org/10.1076/chin.8.2.71.8724
- Anderson, V. A., Anderson, P., Northam, E., Jacobs, R., & Catroppa, C. (2001). Development of executive functions through late childhood and adolescence in an Australian sample.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85-406. https://doi.org/10.1207/S15326942DN2001_5
- Baker, K., Segalowitz, S. J., & Ferlisi, M. C. (2001). The effect of differing scoring methods for the tower of london task on developmental patterns of performance. Clinical Neuropsychologist, 15(3), 309-313. https://doi.org/10.1076/clin.15.3.309.10273
- Baumrind, D. (1967). Child care practices anteceding three patterns of preschool behavior.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75(1), 43-88. https://doi.org/10.1037/h0024919
- Breiman, L., & Ihaka, R. (1984). Nonlinear discriminant analysis via scaling and ACE.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 Clark, L. S. (2011). Parental mediation theory for the digital age. Communication Theory, 21(4), 323-343. https://doi.org/10.1111/j.1468-2885.2011.01391.x
- Corbett, B. A., Constantine, L. J., Hendren, R., Rocke, D., & Ozonoff, S. (2009). Examining executive function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ypical development. Psychiatry Research, 166(2-3), 210-222. https://doi.org/10.1016/j.psychres.2008.02.005
- Corkin, M. T., Peterson, E. R., Henderson, A. M., Waldie, K. E., Reese, E., & Morton, S. M. (2021). Preschool screen media exposure, executive functions and symptoms of inattention/hyperactivit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73, 101237. https://doi.org/10.1016/j.appdev.2020. 101237
- Gentile, D. A., Reimer, R. A., Nathanson, A. I., Walsh, D. A., & Eisenmann, J. C. (2014). Protective effects of parental monitoring of children's media use: A prospective study. JAMA Pediatrics, 168(5), 479-484. https://doi.org/10.1001/jamapediatrics.2014.146
- Gioia, G. A., Isquith, P. K., & Guy, S. C. (2001). Assessment of executive functions in children with neurological impairment. In R. J. Simeonsson & S. L. Rosenthal (Eds.),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assessmen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ronic conditions (pp. 317-356). Guilford.
- Goodman, R. (1997). The strengths and difficulties questionnaire: A research note. Journal of Child Psychol Psychiatry, 38(5), 581-586. https://doi.org/10.1111/j.1469-7610.1997.tb01545.x
- Griffiths, M. (1996). Behavioral addictions: An issue for everybody. The Journal of Workplace Learning, 8(3), 12-25. https://doi.org/10.1108/13665629610116872
- Hingson, R. W., & Zha, W. (2009). Age of drinking onset, alcohol use disorders, frequent heavy drinking, and unintentionally injuring oneself and others after drinking. Pediatrics, 123(6), 1477-1484. https://doi.org/10.1542/peds.2008-2176
- Hull, D. C., Williams, G. A., & Griffiths, M. D. (2013). Video game characteristics, happiness and flow as predictors of addiction among video game players: A pilot study.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2(3), 145-152. https://doi.org/10.1556/jba.2.2013.005
- Jessor, R. (1991). Risk behavior in adolescence: A psychosoci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and action. Journal of Adolescent Health, 12(8), 597-605. https://doi.org/10.1016/1054-139X(91)90007-K
- Kardefelt-Winther, D. (2014). A conceptual and methodological critique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Towards a model of compensatory internet us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 31, 351-354. https://doi.org/10.1016/j.chb.2013.10.059
- King, D. L., Delfabbro, P. H., Billieux, J., & Potenza, M. N. (2020). Problematic online gaming and the COVID-19 pandemic. Journal of Behavioral Addictions, 9(2), 184-186. https://doi.org/10.1556/2006.2020.00016
- Korkman, M., Kemp, S. L., & Kirk, U. (2001). Effects of age on neurocognitive measures of children ages 5 to 12: A cross- sectional study on 800 children from the United States.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20(1), 331-354. https://doi.org/10.1207/S15326942DN2001_2
- Kuo, S. Y., Chen, Y. T., Chang, Y. K., Lee, P. H., Liu, M. J., & Chen, S. R. (2018). Influence of internet addiction on executive function and learning attention in Taiwanese school-aged children.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54(4), 495-500. https://doi.org/10.1111/ppc.12254
- Liu, C. Y., & Kuo, F. Y. (2007). A study of Internet addiction through the lens of the interpersonal theory. CyberPsychology & Behavior , 10(6), 799-804. https://doi.org/10.1089/cpb.2007.9951
- McCloskey, G., Perkins, L. A., & Van Divner, B. (2008). Assessment and intervention for executive function difficulties. Routledge.
- MCS (2008). MCS child paper self completion questionnaire. Retrieved January 21, 2015, from http://www.cls.ioe.ac.uk/page.aspx?&sitesectionid=957&sitesectiontitle=Surveys+and+documentation
- Mendoza, J. A., Zimmerman, F. J., & Christakis, D. A. (2007). Television viewing, computer use, obesity, and adiposity in US preschool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4(1), 1-10. https://doi.org/10.1186/1479-5868-4-44
- Orzack, M. H., & Orzack, D. S. (1999). Treatment of computer addicts with complex co-morbid psychiatric disorders. Cyber Psychology & Behavior , 2(5), 465-473. https://doi.org/10.1089/cpb.1999.2.465
- Park, C., & Park, Y. R. (2014). The conceptual model on smart phone addiction among early childhood.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y, 4(2), 147. https://doi.org/10.7763/IJSSH.2014.V4.336
- Robinson, C. C., Mandleco, B., Olsen, S. F., & Hart, C. H. (1995). Authoritative, authoritarian, and permissive parenting practices: Development of a new measure. Psychological Reports, 77(3), 819-830. https://doi.org/10.2466/pr0.1995.77.3.819
-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mith, L. J., Gradisar, M., & King, D. L. (2015). Parental influences on adolescent video game play: a study of accessibility, rules, limit setting, monitoring, and cybersafety. Cyberpsychology, Behavior , and Social Networking, 18(5), 273-279. https://doi.org/10.1089/cyber.2014.0611
- Welsh M. C., & Pennington B. F. (1988).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3), 199-230. https://doi.org/10.1080/87565648809540405
- Willcutt, E. G., Doyle, A. E., Nigg, J. T., Faraone, S. V., & Pennington, B. F. (2005). Validity of the executive function theory of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 meta-analytic review. Biological Psychiatry, 57(11), 1336-1346. https://doi.org/10.1016/j.biopsych.2005.02.006
- World Health Organization. (n.d.) Healthy At Home. 2020. Retrieved August 11, 2022, from https://www.who.int/campaigns/connecting-the-world-to-combat-coronavirus/healthyath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