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외상경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raumatic Experience on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 이민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투고 : 2022.06.14
  • 심사 : 2022.09.21
  • 발행 : 2022.10.31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traumatic experience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considering individual differences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traumatic exper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This study used an online survey and collected data from 235 respondents. The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one-way ANOVA test, Scheffe post-hoc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raumatic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and teach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depending on the age and career stage of the childcare teachers. Second, the childcare experience of childcare teach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xperience, and the traumatic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childcare teachers' traumatic experience had a negative effect on normative and continuous immersion, respective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recognizing the event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childcare and identified the cause of the decrease in childcare teachers' motivation to work. It also suggests the need for continuous research on traumatic events that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during work in order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childcare teacher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용노동부, 안전보건공단 (2017). 「보육교사」 직업건강 가이드라인. 안전보건공단 직업건강실.
  2. 고태순, 김종석 (2010).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65, 19-35.
  3. 김보영, 김현주 (2013). 교사-부모 관계에서 경험하는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6), 73-106. https://doi.org/10.14698/JKCCE.2013.9.6.073
  4. 김옥주 (2021). 보육교사의 감정노동, 교사효능감, 조직몰입의 구조적 관계 : 교사 경력에 따른 다집단 분석.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정희, 김동춘 (2010). 영유아교사의 조직몰입에 대한 사회 인구학적 변인, 조직커뮤니케이션 만족의 영향. 유아교육연구, 30(2), 167-191. https://doi.org/10.18023/kjece.2010.30.2.008
  6. 노인숙 (2020).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직무 만족 관계. 한국융합과학회지, 9(3), 421-433. https://doi.org/10.24826/KSCS.9.3.26
  7. 방성옥, 안지혜 (2021). 보육교사의 감정노동과 심리적 소진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아동중심실천연구, 16(1), 20-38. https://doi.org/10.53526/KACP.2021.16.1.20
  8. 변유경, 이지하 (2018).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 기관 종사자의 직무외상 경험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과 수퍼비전 기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9(1), 23-45. https://doi.org/10.16881/jss.2018.01.29.1.23
  9. 보건복지부 (2021.12). 영유아보육법. https://www.law.go.kr/LSW/lsInfoP.do?efYd=20211209&lsiSeq=232561#0000에서 2022년 4월 2일 인출
  10. 부찬주, 조윤오 (2018). 경찰관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7(4), 105-132. https://doi.org/10.38084/2018.17.4.5
  11.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사건: 종류 및 발생률.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71-701.
  12. 유해미, 강은진, 권미경, 박진아, 김동훈, 김근진, 등 (2018). 2018년 전국보육실태조사 - 어린이집조사 보고(연구보고서 2018-27). 세종: 보건복지부. https://repo.kicce.re.kr/handle/2019.oak/1590에서 2022년 8월 5일 인출
  13. 이경자, 문승연 (2015). 보육교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91, 63-89.
  14. 이숙, 권문경, 김연정 (2018). 간호사의 외상후성장, 외상사건경험 및 인지정서조절 간 관계. 스트레스연구, 26(1), 31-37. https://doi.org/10.17547/kjsr.2018.26.1.31
  15. 이영희 (2005). 학교 특성이 교사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이정은, 조영은 (2008). 클라이언트 폭력과 사회복지 종사자의 스트레스, 소진,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9, 83-104.
  17. 이혜원 (2011). 보육교사의 조직몰입과 경력몰입,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5(2), 109-126.
  18. 임진석, 정성춘, 권용준, 김근진, 도남희, 이재희, 최윤경 (2020). 보육교사의 산업재해 현황 및 사례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6(4), 73-92.https://doi.org/10.14698/jkcce.2020.16.04.073
  19. 장수진 (2019). 보육교사의 안전사고 스트레스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장수진, 구훈정 (2019). 보육교사의 안전사고 스트레스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인지행동치료, 19(3), 355-377. https://doi.org/10.33703/cbtk.2019.19.3.355
  21. 전순득, 조성제 (2022).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교수몰입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3(1), 340-347. https://doi.org/10.5762/KAIS.2022.23.1.340
  22. 정다운, 문혁준 (2009). 보육교사의 개인특성 및 보육시설의 조직특성이 조직갈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29(5), 163-183. https://doi.org/10.18023/kjece.2009.29.5.008
  23. 정미영 (2010). 보육교사가 지각한 시설장의 서번트 리더십 특성이 시설장 신뢰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4. 정선영, 조안나. (2019). 보육교사-학부모 간 의사소통 어려움과 직무만족도가 보육교사의 정서노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5(5), 87-111.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5.087
  25. 정애진, 장경애 (2020). 언어폭력경험이 외상 후 스트레스, 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구강보건과학회지, 8(1), 23-29. https://doi.org/10.33615/jkohs.2020.8.1.23
  26. 주봉관 (2008). 유아교사의 사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7. 최미현, 배현숙 (2015). 진료실 안전사고에 의한 치과위생사의 외상 경험 실태 및 예방 실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5(6), 845-850. https://doi.org/10.17135/jdhs.2015.15.6.845
  28. 최예린 (2020). 코로나 19에 대한 보육교사의 정서적 경험과 달라진 어린이집 일상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연구, 22(1), 253-279. https://doi.org/10.15409/riece.2020.22.1.12
  29. 최은정, 양정남, 박순희 (2015). 클라이언트의 폭력을 경험한 사회복지사의 스트레스, 우울,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43(1), 83-110.
  30. Allen, N.J., & Meyer, J.P. (1990).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63(1), 1-1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90.tb00506.x
  31. Bridgland, V. M. E., Moeck, E. K., Green, D. M., Swain, T. L., Nayda, D. M., Matson, L. A., et al. (2021). Why the COVID-19 pandemic is a traumatic stressor. Plos One, 16(1), 1-15.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40146
  32.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e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Ed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 practice(pp. 1-23).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3. Dailey, S. F., Gill, C. S., Karl, S. L., & Barrio, M. C. A. (2014). DSM-5 learning companion for counselors. American Counseling Association.
  34. Jackson, J., & Stevens, T. (2022). Predicting Teachers' Job Satisfaction from Student Aggression Toward Teachers and Related Trauma. Contemporary School Psychology, 1-12. https://doi.org/10.1007/s40688-022-00409-5
  35. Matsela, M. A., & Kirsten, T. (2014). Teachers' Experiences and Impact of Workplace Bullying on Their Health in Lesotho. Journal of Psychology Research, 4(6), 479-491. https://doi.org/10.17265/2159-5542/2014.06.008
  36. Mowday, R. T., Steers, R. M., & Porter, L. W. (1979). The measurem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224-247. https://doi.org/10.1016/0001-8791(79)90072-1
  37. Porter, L. W., Streers, R. M., Mowday, R. T., & Boulian, P. V. (1974). Organizational commitment,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among psychiatric technician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9(5), 603-609. https://doi.org/10.1037/h0037335
  38. Steers, R. M. (1977). Antecedents and outcome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22(1), 46-56. https://doi.org/10.2307/23917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