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amination of Potential Unplanned Land Use in Asan City with a Spatial Analysis Method

아산시 국지적 난개발 발생 가능지역 탐색 방안 실증연구

  • Received : 2022.10.03
  • Accepted : 2022.10.12
  • Published : 2022.10.30

Abstract

Unplanned land use, that is, unplanned development, causes various negative externalities. In the past, Korea has experienced significant socio-economic costs due to reckless development centered on the boundary between urban and non-urban areas.. Unplanned land use can be viewed as a result of the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velop in areas where unplanned land use occurs intensivel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legal and institutional measures so that negative externalities do not persis. In this study, we present a spatial analysis methodology to effectively find spatial clusters where unplanned land use is concentrated. By demonstrating and applying this to individual development activities that occurred in Asan City, we examine the usefulness of information to support decision making when establishing mid-to-long-term growth management strateg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무계획적 토지이용 즉, 난개발은 다양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초래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도시지역과 비도시지역 경계를 중심으로 난개발로 인한 상당한 사회경제적 비용을 경험한 바 있다. 무계획적 토지이용은 다양한 요인의 상호작용 결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무계획적 토지이용이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난개발로 인한 부정적 외부효과가 지속되지 않도록 법·제도적 조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무계획적 토지이용이 집중된 공간 군집지역을 효과적으로 찾아내는 탐색하기 위한 공간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이를 아산시에서 발생한 개별 개발행위에 실증·적용하여 난개발 발생지역을 찾아내고, 지자체 수준에서 중장기 성장관리전략을 수립할 때 의사결정 지원정보로서 활용성을 살펴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교통부(2019), 「비시가화지역 계획적 관리를 위한 성장관리방안 제도개선 연구」, 세종.
  2. 김재익(2008), "지역별 난개발 수준의 측정",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0(2): 127~148.
  3. 박세훈.이경주.전성연(2013), "비시가화지역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도시성장관리계획 도입과 성장관리지역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8(2): 249~261.
  4. 이경기(2009), 「난개발방지를 위한 제조업 개별입지 관리방안: 충북 음성지역을 중심으로」, 청주: 충북개발연구원.
  5. 이경주.권일(2012), "비도시 지역의 공장 개별입지 난개발에 관한 실증적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5): 145~160.
  6. 이경주.권일(2013), "공장 개별입지로 인한 난개발의 공간통계학적 모니터링기법 개발: 비도시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2): 89~114.
  7. 이경주.임준홍(2016), "개발행위허가 잠재력 분석을 통한 난개발 우려지역 검토 시뮬레이션 실증연구: GWR과 확률적 중력모형 결합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67~88.
  8. 이영재.박지현.성찬용(2015), 「계획관리지역 토지이용 실태분석 및 환경관리 방안」,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9. 이영재.성찬용(2016), 「비도시지역 주거-공장 혼재형 난개발 평가기준 개발 및 활용방안 마련」, 세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10. 이정전(2015), 「토지경제학」, 박영사.
  11. 조재성(2002), "도시 난개발 현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2): 227~242.
  12. Getis, A. and J. K. Ord (1992), "The Analysis of Spatial Association by Use of Distance Statistics", Geographical Analysis, 24(3): 189~206. https://doi.org/10.1111/j.1538-4632.1992.tb00261.x
  13. Lee, G. and H. Lim (2009), "A Spatial Statistical Approach to Identifying Areas with Poor Access to Grocery Foods in the City of Buffalo", Urban Studies, 46(7): 1299~1315. https://doi.org/10.1177/00420980091045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