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분석 - 입양가족의 고정관념과 편견적 서술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the 'Adopted Family' of Major Textbooks in Child and Family Welfare Studies: With Focus on the Stereotypes of and Prejudiced Descriptions about Adoptive Families

  • 투고 : 2022.06.22
  • 심사 : 2022.08.10
  • 발행 : 2022.08.31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 내에서 '입양'과 '입양가족'에 대한 편견적 서술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출간된 아동가족학 전공교재 11권을 표집하여, 집필의 구성과 기술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입양 및 입양가족에 대한 내용에 있어, 최근 변화된 공개입양문화의 특성과 당사자에 대한 종합적 이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입양가족(부모, 아동)과 입양기관 등)에 대한 특성 기술에 있어, 일부 편견적 용어의 사용이 발견되어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최근 공개입양문화의 양적·질적인 이해와 입양가족의 사회적 편견에 대한 관점 등을 반영하여 입양가족의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권리)학 뿐 만 아니라 가족복지, 건강가정론 등에서 다양한 가족의 유형으로써 입양에 대한 내용을 전공 서적 안에 포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가족복지학 전공교재의 주제 구성과 내용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 내용 구성의 개편 등 교재 집필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ejudiced descriptions of adoption and adoptive families in the major textbooks in the field of child and family welfare studies.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mpositions and contents of eleven different textbooks and found four necessary changes to recommend: first, we found it essential for author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pen adoption culture and adoptive families. Second, we observed the need for the revision of prejudiced terminology found in textbooks' descriptions of adoptive families - about adopters, adoptees, and adoption institutions. Third, we advise an enhanc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adoptive families reflect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understandings of the open adoption culture and perspective about social prejudice against adoptive families. Finally, we advocate for the inclusion adoptive families as one of the diverse forms a family can take, not only in the curriculum of child (children's rights) studies but also in the curricula of other family-related disciplines such as family welfare and healthy family theory. Based on these four changes, we propose a new approach to authoring including a multifaceted review of the subject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the major textbooks and revision of the overall contents of the textbooks.

키워드

과제정보

이 논문은 2020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0S1A5B5A17089419).

참고문헌

  1. 강운선(2010). 제 7차 사회ㆍ문화 교과서의 가족 단원에 대한 비판적 내용분석. 사회과교육, 49(2), 33-52. UCI : G704-001280.2010.49.2.003.
  2. 구미향(2008). 입양가정의 스트레스와 적응: 한국과 호주의 공개입양가정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9(6), 105-119.
  3. 구양연.유지회.현예함.장경은(2020). 유아의 성별, 연령 및 다문화 유아 접촉 경험에 따른 유아의 인종에 대한 인식 및 다문화 가족에 대한 편견. 한국유아교육연구, 22(2), 163-186. DOI : 10.15409/riece.2020.22.2.7.
  4. 권지성(2004).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아동복지학, 17, 7-48. UCI : G704-000946.2004.17.004.
  5. 권지성.변미희.안재진.최운선(2016). 국내 입양부모의 입양 후 적응을 위한 사후서비스 이용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1(2), 345-366. DOI : 10.13049/kfwa.2016.21.2.8.
  6. 권지성.안재진(2005). 국내 공개입양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9(3), 393-412. UCI : G704-000427.2005.9.3.006.
  7. 권충훈(2016).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정책 고찰과 학교폭력 예방의 이론과 실제 교과목 교재 내용 분석. 인문사회21, 7(5), 167-189. DOI : 10.22143/HSS21.7.5.9.
  8. 김보영.윤재희.정서연(2019). 아동권리와 복지 교재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3(5), 99-124. DOI : 10.323 49/ECERR.2019.10.23.5.99. https://doi.org/10.32349/ECERR.2019.10.23.5.99
  9. 김부경.원진숙(2015). 다문화 동화의 내용 요소 분석 -인물, 갈등의 양상, 해결 방식, 다수자의 편견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8(2), 69-96. DOI : 10.14328/MES.2015.6.30.69.
  10. 김외선(2016). 국내입양부모교육에 관한 방안 고찰. 부모교육연구, 13(1), 109-127.
  11. 김은주.이강훈(2017). 영유아 건강교육 관련 대학교재의 출판 동향 및 내용분석. 교사교육연구, 56(3), 324-335. DOI : 10.15812/ter.56.3.201709.324.
  12. 김임순(2021). 공개입양 부모가 입양상담 과정에서 경험하는 심리 현상. 제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김자영.조병은(2008). 초,중학교 실과(기술, 가정) 교과서의 가족관련 단원 내용 비교분석: 구조기능론과 건강가정 관점에서.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46(2), 137-153. UCI : G704-000012.2008.46.2.001.
  14. 김재민(2015). 한국의 해외입양 정책 연구: 국가기록물과 언론보도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김현수.정병삼.박분열(2019). 고등학교 생활과 윤리교과서에 나타난 결혼을 매개로 한 가족 윤리의 내용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637-666. DOI : 10.22251/jlcci.2019.19.21.637.
  16. 남연희.김의남(2006). 공개입양부모의 공개입양만족도와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아시아아동복지연구, 4(4), 123-140.
  17. 류희경(2012). 휴먼다큐멘터리의 입양에 대한 재현과 의미구성 : '네 번째 엄마'와 '고마워, 나의 열 손가락'에 대한 분석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박미정(2013). 공개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입양모의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0(2), 1-22.
  19. 박성민(2020). 보호아동의 가정보호를 위한 법률적 제언: 헤이그협약과 아동이익 최우선원칙에 관하여. 제2회 국회가정보호컨퍼런스 자료집, 17-28.
  20. 박현정(2014). 입양가족을 소재로 한 그림책의 출판현황과 내용분석. 한국도서교육학회지, 2(1), 153-177.
  21. 배윤진(2017). 입양가정 편견을 넘어 아동의 행복으로. 육아정책연구소 육아정책브리프, 58호, 1-4.
  22. 배윤진.김아름.송신영.권지성(2016). 돌봄 취약계층 맞춤형 육아지원 방안(2): 입양아동을 중심으로. 서울 : 육아정책연구소.
  23. 보건복지부(2021). 2020년 입양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
  24. 보건복지부(2022a). 2021년도 보호대상아동 현황보고 통계. 세종: 보건복지부 아동복지정책과.
  25. 보건복지부(2022b). 아동복지사업안내. 세종: 보건복지부.
  26. 신정훈(2015). 입양에 관한 편견과 차별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입양모의 관점으로.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아동권리보장원(2018). 입양아동통계(2017년). 서울 : 아동권리보장원.
  28. 아동권리보장원 홈페이지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281&cntntsId=1345에서2022.06 인출.
  29. 안재진.권지성.변미희.최운선(2010).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관련 의사소통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31, 143-172. UCI : G704-000946.2010.31.002. G704-000946.2010.31.002
  30. 안재진.권지성.변미희.최운선(2015). 입양아동 발달 에 관한 종단연구. 2015년 제5차 양적조사 결과 보고서. 서울 : 중앙입양원(현, 아동권리보장원).
  31. 안재진.최운선.변미희.권지성(2017). 국내입양아동의 학업성취수준과 영향 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9(3), 141-164. DOI : 10.20970/kasw.2017.69.3.006.
  32. 여성가족부(2021). 다양한 가족에 대한 국민인식 조사. 세종: 여성가족부.
  33. 이선형.임춘희.배지연(2021). 공개입양가족의 입양 적응과 입양관련 프로그램 참여경험 연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입양모를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정책, 25(3), 47-68. DOI : 10.22626/jkfrma.2021.25.3.004.
  34. 이효림.박은주(2022).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대학교재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7(1), 59-83. DOI : 10.20437/KOAECE27-1-03.
  35. 임영언.임채완(2012). 해외입양 한인 디아스포라: 한국내 주요 신문보도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재외한인연구, 0(26), 77-104. UCI : G704-SER000002250.2012.26.004.
  36. 장창수.배지연(2016). 대전시 입양가족실태 및 지원방안 연구. 대전: 대전세종연구원.
  37. 전유영.이은영(2012). 유아를 위한 장애 관련 그림책에 포함된 장애에 대한 편견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3(1), 81-106. UCI : G704-001817.2012.13.1.004.
  38. 정은주(2021a). 그렇게 가족이 된다. 서울: 민들레출판사.
  39. 정은주(2021b). 한국, 미디어의 입양에 대한 편견과 대안. 2021년 5월 입양의날 컨퍼런스: 한국사회 입양인식제고와 개선방안 자료집. 21-27.
  40. 최운선.안재진.변미희.권지성(2019). 국내 입양아동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아동과권리, 23(3), 553-578. DOI : 10.21459/kccr.2019.23.3.553.
  41. 통계청(2008, 2020). 각 년도 사회조사. 대전 : 통계청.
  42.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2020). 사회복지학 교과목 지침서. 2021-2022년도 서울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43. 한국유아교육신문(2021.10.21). ''복지부, 파양아동 실태 몰라''..고영인 의원 ''파양아동 실태 파악 비상''. http://www.kinder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3147에서 2020.03 인출.
  44. 현태옥(2004). 공개입양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Brodzinsky, D. M. & Schechter, M. D.(1993). Being Adopted. New York : Anchor Book.
  46. Brodzinsky, D. M., Smith, W. D. & Brodzinsky, B. A. (1998). Children's Adjustment to Adoption: Developmental and Clinical Issues, CA: SAGE Pub.
  47. Guttmann, J. Geva, N. & Gefen, S.(1988). Teachers' and School Children's Stereotypic Perception of ''The Child of Divor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4), 555-571. https://doi.org/10.3102/00028312025004555
  48. Jones, E. & Sparks, D. L.(1992). Meeting the challenge of diversity. Young Children, 4, 154-170.
  49. Kim K. H.(2003). A Proposal for the Psychological Integr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n People in the Unified Korea. Seoul: Korea Institute for National Unification, 141-183.
  50. Park, S. Y.(2009). Representations of Transracial Korean Adoption in Children's Literature.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Illinois. http://hdl.handle.net/2142/81560.
  51. Siller, J.(1969). The psychological situation of the disabled with spinal cord injuries. Rehabilitation Literature, 30, 290-2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