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y of the Insurance Agency : Focusing on the Case of Japan

보험대리점의 지속가능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일본 사례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9.01
  • Accepted : 2022.09.22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ole and merits and demerits of insurance agencies, which are the main sales channels of the domestic insurance market, from a neutral standpoint, and to present a roadmap by finding ways and task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insurance agency industry. Recently, criticisms and regulations on independent distribution channels have been strengthened due to deterioration in growth potential and profitability, and increase in civil complaints of insurance companies. In the 2000s, as the center of insurance sales channels shifted to GA and bancassurance, the supervisory authorities regarded the irrationality of project costs and recruitment fees as the root causes and announced a regulatory improvement plan.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 the operating status, problems of domestic insurance agencies and their contribution to the insurance industry were reviewed. In addition, we tried to find a mid-to-long term development plan by analyzing the case of insurance agency operation in Japan. This study identified the operating status and contribution of insurance agencies in South Korea, and focused on the major status of the Japanese insurance agency industry, ways to improve management efficiency, and the status and role of self-regulatory organizations for insurance agencies. Based on this, it was proposed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the sales organization, introduce a company specializing in insurance sales, and to strengthen the status of the association of the insurance agency as for the development plan of the insurance agency industry in South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보험시장의 주요 판매채널인 보험대리점의 역할과 공과(功過)를 중립적 입장에서 분석·평가하고, 보험대리점업계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방안과 과제들을 모색하여 로드맵을 제시하는데 있다. 최근 보험사의 성장성·수익성 악화, 민원증가 등의 이유로 비전속판매채널에 대한 비판 및 규제강화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보험판매 채널의 중심이 GA와 방카슈랑스로 이동하면서 감독당국은 사업비 및 모집수수료의 불합리성에 근본원인이 있다하여 규제개선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국내 보험대리점의 운영 현황과 문제점, 보험산업에 있어서의 기여도 등을 검토하고, 일본의 보험대리점 운영 사례를 분석하여 중장기적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험대리점의 운영 현황 및 기여도를 파악하고, 일본 보험대리점업계의 주요 현황과 경영 효율성 제고방안, 보험대리점 자율규제기구 현황과 역할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보험대리점업계의 발전방안에 대해 판매조직의 전문성 제고, 보험판매전문회사 도입 및 대리점협회의 위상 강화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시은, 은종성(2016), "독립 보험판매대리점의 역할과 발전과제에 관한 연구," 기업법연구, 30(4), 183-221.
  2. 김재현, 김헌수, 최덕상(2010), "생명보험 독립대리점(GA)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영전략을 중심으로," 보험학회지, 87, 35-62.
  3. 김창호(2019), "독립법인보험대리점(GA)의 현황 및 개선과제," 입법.정책보고서, 26, 국회입법조사처.
  4. 김헌수, 김재현(2009), "생명보험산업의 제판분리 현황과 전망: GA를 중심으로," 보험학회 정책세미나, 한국보험학회.
  5. 김헌수, 정세창. 김은경(2014), 보험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판매채널제도 개선방안 연구, 용역보고서.
  6. 류성경(2011), "일본 생명보험 영업인력의 자격 및 교육 현황에 관한 분석," 인적자원관리연구, 18(2), 103-119.
  7. 마정락, 배근호(2013), "독립대리점의 수수료체계가 보험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개선방안," 경제경영연구, 8(2), 29-44.
  8. 보험연구원(2009), "생명보험회사의 지속가능성장에 관한 연구," 경영보고서, 2009-4.
  9. 보험연구원(2015), 보험상품판매전문업 제도 도입 방안.
  10. 보험연구원(2016), 판매채널 인프라 개선방향 : 판매단계 의무 및 책임성 강화를 중심으로.
  11. 서대교(2009), "선지급 수수료 운영상의 부작용 및 개선방안," KiRi Weekly, 보험연구원.
  12. 서울대학교 금융법센터(2008), "금융상품판매전문업 도입방안 연구".
  13. 안철경, 권오경(2010), "독립판매채널의 성장과 생명보험회사의 대응," 경영보고서, 2010-1, 보험연구원.
  14. 안철경, 변혜원, 권오경(2010), "금융상품판매전문회사의 도입이 보험회사에 미치는 영향," 정책보고서, 2009-05,
  15. 보험연구원. 이성남(2014), "개정 상법상 보험대리상 등에 관한 규정의 법적 쟁점 연구," 기업법연구. 28(2), 245-281.
  16. 이순재, 류성경, 손성동(2019), 보험대리점의 지속가능 발전방안, 용역보고서, 한국보험대리점협회.
  17. 전희주, 안철경(2013), "일반화 로짓과 대응분석을 이용한 GA 사업모델 방향에 관한 연구," 보험금융연구, 24(1), 39-168.
  18. 정세창, 김은경, 김헌수(2015), "보험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비전속대리점의 책임성 및 전문성 강화 방안," 보험금융연구, 26(4), 39-75.
  19. 조승행(2015), "리조트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탐색 연구,"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ulture Product Art & Design, 43, 95-108.
  20. 한기정(2018), 보험법 제2판, 박영사.
  21. 한국보험대리점협회(2007), 일본손해보험대리점협회 운영 및 활동사항 연구.조사보고서.
  22. 한국보험대리점협회(2016), 미국의 보험산업과 보험대리점 해외조사보고서.
  23. Anderson, Erin, William Ross, and Barton Weitz(1998), "Commitment and its Consequences in the American Agency System of Selling Insurance," Journal of Risk and Insurance. 65(4), 637-669. https://doi.org/10.2307/253805
  24. 金奈橞(2017), "欧州における保険仲介者の報酬", 損保総研レポート, 22-34.
  25. 鈴木治.岩本憢(2013), 図説 損害保險代理店ビジネスの新潮流,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6. 鈴木治外 3人(2019), 図説 損害保險ビジネス,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7. 鈴木治外 6人(2019), 図説 生命保險ビジネス, 金融財政事情硏究會.
  28. 損害保險事業總合硏究所(2004), 諸外国における保険募集規制を中心とした保険監督行政.規制について -第1編 美國-
  29. 損害保険事業総合研究所(2004), 諸外国における保険販売規制を中心とした保険監督行政.規制について - 第2編 EU.イギリス.ドイツ.フランス.オ-ストラリア -
  30. 損害保險事業總合硏究所(2010), 欧米主要国における保險規制, 監督, 市場動向について, -保險販賣の規制と實
  31. 務- 損害保險事業總合硏究所(2012), 欧米主要國における保険募集.保険金支払に係る規制と実態.
  32. 西久保浩二(1999), "金融商品における顧客滿足の形成要因とその經營的成果," 生命保險經營, 66(5), 90-110.
  33. 日本損害保險協會(2019), 日本の損害保険, -ファクトブック2019 -
  34. 日本損害保險代理業協會(2013), 代協活動の現狀と課題, -課題と自律-
  35. 日本損害保險代理業協會 弘報資料(2019).
  36. 日本損害保險代理業協會 ホームページ(http//www.nihondaikyo.or.jp).
  37. 森慎一(2019), 保險代理店の人事.勞務管理と就業規則, 日本法令.
  38. 橫山隆美.宮宇地覚(2018), 変化を乘り切る保険代理店経営, 新日本保険新聞社.